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구조심질환 매뉴얼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구조심질환연구회
서명 / 저자사항
구조심질환 매뉴얼 = The manual of structural cardiovascular intervention / 구조심질환연구회 저
발행사항
서울 :   메디컬에듀케이션,   2020  
형태사항
382 p. : 천연색삽화, 도표 ; 29 cm
ISBN
9791190531054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1618
005 20210105110731
007 ta
008 201223s2020 ulkad b 001c kor
020 ▼a 9791190531054 ▼g 93510
035 ▼a (KERIS)BIB000015511035
040 ▼a 221016 ▼c 221016 ▼d 221008 ▼d 211092 ▼d 211009
082 0 4 ▼a 616.12 ▼2 23
085 ▼a 616.12 ▼2 DDCK
090 ▼a 616.12 ▼b 2020
110 ▼a 구조심질환연구회
245 1 0 ▼a 구조심질환 매뉴얼 = ▼x The manual of structural cardiovascular intervention / ▼d 구조심질환연구회 저
246 3 1 ▼a Manual of structural cardiovascular intervention
260 ▼a 서울 : ▼b 메디컬에듀케이션, ▼c 2020
300 ▼a 382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9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5210053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5210053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1310547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1513542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5210053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5210053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1310547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616.12 2020 등록번호 1513542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역사와 관련된 해부학을 언급하고, 각 질환 별로 선천성 심질환, 대동맥 판막 협착증, 좌심방이 결찰술과 뇌졸중 예방, 승모판과 삼첨판 질환, 그 외 기타 질환의 중재 시술로 나누어 관련된 영상, 시술, 평가를 망라하여 집대성한 매뉴얼이다. 특히 영상자료는 심장 초음파 전문가와 CT등 영상 의학과 전문가의 같은 질환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시각을 살펴 볼 수 있도록 배치하였고, 중재 시술 전문가와 영상 전문가가 소통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그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되도록 그대로 유지하였다.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특성상 최대한 그림과 도표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도록 노력하였다.

저자 머리말
구조 심질환 중재시술 매뉴얼을 출간하며

대한 심혈관 중재 학회 회원 여러분, 그리고 구조 심질환 연구회(K-SCI) 임원과 회원 여러분의 성원과 노고로 구조 심질환 중재시술 매뉴얼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은 심혈관 중재 시술 분야에서도 가장 뜨겁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우리 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I), 좌심방이 결찰술(LAAO), 심방 중격 결손 폐쇄술(ASD closure)등이 활발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향후 승모판과 삼첨판의 경피적 시술도 급격히 발전할 것으로 생각되어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이 심혈관 중재 시술의 핵심적인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명이 발전하면서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고령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구조 심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치료 연령도 확대되어 시술이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필요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의학의 큰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은 어느 분야보다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환자의 선택과 시술 전 계획 단계, 시술 중 그리고 시술 후 평가와 합병증 관리에 있어서도 중재 시술 전문가와 영상 전문가, 외과, 소아과, 신경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최선의 치료를 위해 협동하여야 하는 분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과 관련된 매뉴얼이 없어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시술을 시작하는 선생님들이나 다른 분야의 의견을 참고하고자 하는 전문가 분들이 쉽게 참고할 만한 한글 매뉴얼의 필요성이 점점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구조 심질환 연구회는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초심자부터 대가에 이르기 까지 그리고 여러 분야의 전문가 선생님들이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을 시행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다양한 견해와 지식을 담은 한글 매뉴얼을 기획하여 만들게 되었습니다.
본 매뉴얼은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역사와 관련된 해부학을 언급하고, 각 질환 별로 선천성 심질환, 대동맥 판막 협착증, 좌심방이 결찰술과 뇌졸중 예방, 승모판과 삼첨판 질환, 그 외 기타 질환의 중재 시술로 나누어 관련된 영상, 시술, 평가를 망라하여 집대성하였습니다. 특히 영상자료는 심장 초음파 전문가와 CT등 영상 의학과 전문가의 같은 질환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시각을 살펴 볼 수 있도록 배치하였고, 중재 시술 전문가와 영상 전문가가 소통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그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되도록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였습니다. 초심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특성상 최대한 그림과 도표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도록 노력하였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특성상 매뉴얼을 준비 하는 도중에 나온 새로운 시술이나 업데이트 된 가이드 라인들이 빠져 있을 수 있으니 양해를 구합니다.
바쁘신 중에도 구조 심질환 매뉴얼의 주옥 같은 원고를 써 주신 분야 별 전문가 선생님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자 분들의 헌신과 재능이 없었다면 매뉴얼은 출간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좋은 매뉴얼이 출판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메디컬에듀케이션 이문수 대표님과 직원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대표 저자
임도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PART I 역사와 해부 
Chapter 1 구조 심질환 중재 시술의 역사 · 3
 Chapter 2 심장-해부 · 7

PART II 선천성 심장 질환 
Chapter 1 심방 중격 결손(ASD)의 기본 영상(CT) · 17
 Chapter 2 심방 중격 결손(ASD)의 기본 영상(심초음파) · 25
 Chapter 3 심실 중격 결손(VSD)의 기본 영상(CT) · 31
 Chapter 4 심실 중격 결손(VSD)의 기본 영상(심초음파, post-MI 포함) · 33
 Chapter 5 난원공 개존증(PFO)의 기본 영상(CT) · 45
 Chapter 6 난원공 개존증(PFO)의 기본 영상(심초음파) · 49
 Chapter 7 동맥관 개존증(PDA)의 기본 영상(CT) · 57
 Chapter 8 동맥관 개존증(PDA)의 기본 영상(심초음파) · 61
 Chapter 9 선천성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협착에 대한 풍선판막 성형술 · 65
 Chapter 10 심방 중격 결손과 난원공 개존증의 경피적 폐쇄술 · 71
 Chapter 11 동맥관 개존증의 경피적 폐쇄술 · 81
 Chapter 12 대동맥 축착의 경피적 카테터 중재술 · 87
 Chapter 13 선천성 심장 질환에서의 풍선 성형술과 스텐트 삽입술 · 93
 Chapter 14 관상동맥누공과 폐동정맥누공의 경피적 폐쇄술 · 101

PART III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Chapter 1 기본 영상(CT) · 113
 Chapter 2 기본 영상(심초음파) · 119
 Chapter 3 대동맥 판막 협착증의 역학과 자연 경과 · 123
 Chapter 4 환자 선정 및 시술 전 평가 · 127
 Chapter 5 시술 혈관 접근의 선택 · 133
 Chapter 6 풍선 확장형 판막의 특성, 시술 테크닉과 시술 과정 · 143
 Chapter 7 자가 팽창형 판막 · 153
 Chapter 8 기타 판막 · 165
 Chapter 9 주요 임상 연구 결과 · 169
 Chapter 10 시술 합병증 · 179
 Chapter 11 시술 후 환자 관리 · 185
 Chapter 12 최소 침습 경피적 치환술 · 191
 Chapter 13 이엽성 대동맥판막에서의 경피적 치환술 · 197
 Chapter 14 판막 내 판막 삽입술 · 203
 Chapter 15 대동맥 판막 역류에서의 경피적 치환술 · 209

PART IV 심방세동의 비약물적 뇌졸중 예방 
Chapter 1 기본 영상(CT) · 219
 Chapter 2 경피적 좌심방이 폐색을 위한 심초음파 검사 · 225
 Chapter 3 좌심방이 폐색술/결찰술의 이론적 배경 및 연구결과 · 235
 Chapter 4 좌심방이와 그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 · 241
 Chapter 5 좌심방이 폐쇄기구의 종류 및 특징 · 247
 Chapter 6 심방중격 천자 테크닉 및 주의할 점 · 255
 Chapter 7 시술 단계별 테크닉 및 주의할 점 · 265
 Chapter 8 경피적 좌심방이 폐색술 관련 부작용 및 대처법 · 269
 Chapter 9 흉강경을 이용한 좌심방이 폐쇄술 · 277

PART V 승모판과 삼첨판의 경피적 시술 
Chapter 1 기본 영상(CT) · 승모판(MV) · 283
 Chapter 2 기본 영상(CT) · 삼첨판(TV) · 289
 Chapter 3 기본 영상(심초음파) - 승모판과 삼첨판(MV & TV) · 297
 Chapter 4 경피적 승모판 성형술 기구 - 에지 투 에지 성형 테크닉 · 307
 Chapter 5 경피적 승모판 성형술 기구 - 승모판륜(승모판막 고리) 성형 테크닉 · 313
 Chapter 6 경피적 승모판 치환술 · 319
 Chapter 7 경피적 삼첨판 성형술 기구 · 331

PART VI 기타 시술들 
Chapter 1 판막 누출 시술 시 영상 · 341
 Chapter 2 판막 주위 누출의 경피적 폐쇄술· 349
 Chapter 3 만성 혈전 색전성 폐 고혈압: 혈관 내 치료· 353
 Chapter 4 기타(Percutaneous repair of coronary aneurysm, Percutaneous treatment of pulmonary vein stenosis, Percutaneous approach to pericardial window)· 363

관련분야 신착자료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