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홍성준, 저 허재영, 저 최석원, 저 邵永海, 저 이기원, 저 渡邊浩, 1946- 靑野正明, 저 이건식, 저 김경남, 저 박나연, 저
서명 / 저자사항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 홍성준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경진출판,   2019  
형태사항
571 p. ; 24 cm
총서사항
지식인문학총서. 지식기반 ;1
ISBN
9788959962501
일반주기
공저자: 허재영, 최석원, 소영해, 이기원, 와타나베 히로시, 아오노 마사아키, 이건식, 김경남, 박나연  
기획: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해제: 조사시찰단 보고서, 조준영 『문부성 소할 목록』 / 홍성준  
부록: 문부성 소할 목록 번역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1582
005 20220721115831
007 ta
008 201223s2019 ulk b AF 000c kor
020 ▼a 9788959962501 ▼g 93000
035 ▼a (KERIS)BIB000015311677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001 ▼2 23
085 ▼a 001 ▼2 DDCK
090 ▼a 001 ▼b 2019 ▼c 1
245 0 0 ▼a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 ▼d 홍성준 외 지음
260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19
300 ▼a 571 p. ; ▼c 24 cm
490 1 0 ▼a 지식인문학총서. ▼a 지식기반 ; ▼v 1
500 ▼a 공저자: 허재영, 최석원, 소영해, 이기원, 와타나베 히로시, 아오노 마사아키, 이건식, 김경남, 박나연
500 ▼a 기획: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500 ▼a 해제: 조사시찰단 보고서, 조준영 『문부성 소할 목록』 / 홍성준
500 ▼a 부록: 문부성 소할 목록 번역
536 ▼a 이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7S1A6A3A01079180)
700 1 ▼a 홍성준, ▼e
700 1 ▼a 허재영, ▼e
700 1 ▼a 최석원, ▼e
700 1 ▼a 邵永海, ▼e
700 1 ▼a 이기원, ▼e
700 1 ▼a 渡邊浩, ▼d 1946- ▼0 AUTH(211009)110205
700 1 ▼a 靑野正明, ▼e
700 1 ▼a 이건식, ▼e
700 1 ▼a 김경남, ▼e
700 1 ▼a 박나연, ▼e
830 0 ▼a 지식인문학총서. ▼p 지식기반 ; ▼v 1
900 1 0 ▼a 와타나베 히로시, ▼e
900 1 0 ▼a Watanabe, Hiroshi, ▼e
900 1 0 ▼a 아오노 마사아키, ▼e
900 1 0 ▼a Aono, Masaaki,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 2019 1 등록번호 5110440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 2019 1 등록번호 5110440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01 2019 1 등록번호 1513543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 2019 1 등록번호 5110440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 2019 1 등록번호 5110440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01 2019 1 등록번호 1513543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식인문학총서 지식기반 1권. 단국대학교 일본 연구소가 지향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놓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책은 2부와 부록으로 구성하였는데, 제1부에서는 본 사업단의 아젠다에 관한 연구 책임자(허재영)의 연구 방법론과 지식의 기반과 관련한 홍성준 연구교수의 '지식 생산의 연구 대상과 범위', 최석원 연구교수의 '지식 탄생과 지식 생산 기반'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제2부에서는 지식의 생산과 전파?수용과 관련한 실제적인 모습을 사업단에서 발표한 논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지식 생산의 기반 총서는 의식과 사상, 학문 이론이어떻게 형성되며,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지식이란 사물이나 대상에 대한 인간의 명료한 의식 전반을 일컫는 용어로, 실증적 학문 이론뿐만 아니라 때로는 종교적이거나 형이상학적 인식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동서양의 지식 관련 담론과 서적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고 다양하다. 지식의 탄생과 진화, 지식의 체계와 구조 등에 대한 연구 성과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인간 사회와 역사에서 지식의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곧 지식은 그 자체로서 이데올로기성을 띨 뿐만 아니라 권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뜻이다.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은 단국대학교 일본 연구소가 지향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놓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책은 2부와 부록으로 구성하였는데, 제1부에서는 본 사업단의 아젠다에 관한 연구 책임자(허재영)의 연구 방법론과 지식의 기반과 관련한 홍성준 연구교수의 ‘지식 생산의 연구 대상과 범위’, 최석원 연구교수의 ‘지식 탄생과 지식 생산 기반’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제2부에서는 지식의 생산과 전파.수용과 관련한 실제적인 모습을 사업단에서 발표한 논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북경대 소영해 교수의 ‘동아시아 지식 교류 탐구의 시작’, 와타나베 히로시 교수의 ‘Religion과 종교’, 아오노 마사아키 교수의 ‘근대 일본의 종교 정책’ 등은 사업단에서 개최한 해외 석학 초청 강연 원고를 번역한 것이며, 이기원 교수의 ‘근세적 지 형성의 한 유형으로서 ‘오라이모노’’는 사업단에서 행한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던 논문이다. 다만 이건식 교수의 ‘지식 교류의 관점에서 본 현전 유일의 어휘 질정록과 조선시대 질정관 사행 목적과 근거’는 본 사업단의 연구 취지에 적합한 논문으로, 사업단에서 특별히 부탁을 드려 총서의 취지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이다. 김경남 연구교수의 ‘근대지와 견문 담론으로서의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의 계몽성과 문체 변화 연구’와 박나연 연구보조원의 ‘1827년 순조의 존호의례 진행과 그 의미’도 총서의 주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논문이다.
또한 부록으로 제시한 ‘문부성 소할 목록’은 한국 근대지의 형성에 단초를 제공했던 조사시찰단 일원이었던 조준영의 보고서를 번역한 것이다. 1880년 당시 일본의 교육 제도에 대한 보고서가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음은 1895년 근대식 학제 도입을 전후한 다수의 학교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이 자료는 한국 근대 지식 생산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자료로 판단하여 전문을 입력하고 번역.수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허재영(지은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장, HK+사업 연구 책임자. ≪일제 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김경남(지은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난 전쟁 소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음. 건국대, 경기대, 국민대, 성신여대, 협성대 등에서 고전문학과 글쓰기를 강의하였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고전소설의 전쟁 소재와 그 의미』(보고사, 2007), 『시대의 창』(경진, 2018) 등이 있으며, 다수의 편저와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와타나베 히로시(지은이)

1946년 일본 요코하마橫浜 출생. 1969년 도쿄東京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뒤, 도쿄대학 법학부에서 조수와 조교수를, 1983년부터 2010년까지는 교수를 역임했다. 이후 호세이法政대학 법학부 교수로 2017년까지 교편을 잡았다. 현재 도쿄대학과 호세이대학의 명예교수이자 일본학사원 회원이다. 주요 저서로 《近世日本社會と宋學》(東京大學出版會, 1985, 增補新裝版 2010; 한국어판: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예문서원, 2004), 《日本政治思想史 十七~十九世紀》(東京大學出版會, 2010; 한국어판: 《일본정치사상사 -17~19세기》,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明治革命·性·文明 政治思想史の冒險》(東京大學出版會, 2021)이 있으며, 공저로 《トクヴィルとデモクラシ-の現在》(東京大學出版會, 2009)가 있다.

이기원(지은이)

강원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일본 교토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및 철학상담치료 인재양성 프로그램 사업팀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마음: 철학으로 치료한다》(공저), 《철학상담 방법론》(공저), 《동서철학상담 10강》(공저), 《철학의 여러 문제와 철학실천》(공저), 옮긴 책으로는 《시련과 성숙: 자기변용의 철학》 등이 있다.

이건식(지은이)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아오노 마사아키(지은이)

1958년생. 오사카외국어대학(大坂外國語大學) 외국어학부 조선어학과를 졸업했다. 쓰쿠바대학(筑波大學) 대학원 지역연구 연구과 석사과정과 동대학원 역사.인류학연구과 박사과정을 거쳐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國際日本文化硏究センタ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근대사 전공. 현재 모모야마학원대학(桃山學院大學) 국제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朝鮮農村の民族宗敎-植民地期の天道敎金剛大道を中心に>(社會評論社, 2001), 공저로 <종교와 식민지 근대-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책과함께, 2013) 등이 있다.

박나연(지은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 연구 보조원

홍성준(지은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최석원(지은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소영해(지은이)

북경대학(北京大學) 중국어문학과 교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기획)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지식 생산과 전파ㆍ수용에 따른 지식 권력 연구 방법론 _ 허재영
1. 서론
2. 지식의 개념과 속성
3. 지식의 생성과 영향력
4. 결론: 지식 권력의 연구 과제와 태도

지식 생산의 연구 대상과 범위 _ 홍성준
1. 지식 생산의 개념
2. 지식 생산의 연구방법
3. 연구의 대상
4. 연구의 범위
5. 결론

지식의 탄생과 지식 생산 기반 _ 최석원
1. 들어가며
2. 지식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원천: 이성, 경험, 기억 그리고 상상력
3. 지식 생성의 메커니즘
4. 21세기 지식 생성과 그 유통 과정의 변화


동아시아 지식교류 탐구의 시작 _ 소영해(邵永海)
: 고대문헌 독법의 원칙과 방법
1. 독서는 문해에서 시작된다[讀書自識字始]
2. 문장 구조와 특성에 관한 분석
3. 각 문장의 화용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분석
4. 장지(章旨)의 이해 및 간파
5. 전체와 부분 관계의 처리
6. 소결

근세적 지(知) 형성의 한 유형으로서 ‘오라이모노’ _ 이기원
1. 머리말
2. 오라이모노 연구의 시점
3. 교훈형 오라이모노의 작가
4. 교훈형 오라이모노의 보급과 서민 교화
5. 교훈형 오라이모노의 知의 안목
6. 맺음말

Religion과 종교 _ 와타나베 히로시(渡? 浩)
: 19세기 일본인의 곤혹과 대응
1. 일본의 ‘종교’ 현황
2. Religion에 대한 놀라움
3. Religion이란 무엇인가
4. ‘종교’의 필요
5. 그리스도교의 대체물로서의 천황 숭배
6. 천황제 국가의 붕괴와 현황

근대 일본의 종교 정책 _ 아오노 마사아키(?野 正明)
: 국가 신도와 ‘유사종교’
1. 들어가며
2. 일본 ‘내지’ 에서의 신종교와 관련된 법령과 결사
3. 조선에서의 결사와 관련된 법령
4. ‘내지’에서의 유사종교 개념의 두 계통
5. 조선에서 먼저 나타난 ‘유사종교’의 개념
6. 유사종교는 공인된 것인가
7. ‘내지’의 두 갈래, 그 후
8. 나오며

지식 교류의 관점에서 본 현전 유일의 어휘 질정록과 질정관 _ 이건식
: 사행 목적과 근거를 중심으로
1. 서언
2. 현전 유일의 어휘 질정록
3. 조선 시대 질정관 사행 목적과 근거
4. 결언

근대지와 견문 담론의 계몽성과 문체 변화 _ 김경남
: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을 중심으로
1. 서론
2.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의 계몽 담론
3.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의 문체 비교
4. 결론

1827년 순조의 존호의례 진행과 그 의미 _ 박나연
: 지식 활용을 통해 본 명분론 강화 양상
1. 머리말
2. 행사의 진행
3. 행사의 특징
4. 명분 강화를 위한 지식의 활용
5. 맺음말


[해제] 조사시찰단 보고서, 조준영 ≪문부성 소할 목록≫ _ 홍성준
[번역] 문부성 소할 목록 _ 김경남?허재영
[원문] 文部省所轄目錄47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