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1379 | |
005 | 20201222172340 | |
007 | ta | |
008 | 201221s2020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61930350 ▼g 0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0.952 ▼2 23 |
085 | ▼a 320.952 ▼2 DDCK | |
090 | ▼a 320.952 ▼b 2020z2 | |
100 | 1 | ▼a 한의석 |
245 | 1 0 | ▼a 일본의 정치체제와 제도 / ▼d 한의석 지음 |
260 | ▼a 서울 : ▼b 명인문화사, ▼c 2020 | |
300 | ▼a xi, 290 p. ; ▼c 19 cm | |
490 | 1 0 | ▼a 지식과 문화 |
504 | ▼a 참고문헌(p. 275-284)과 색인수록 | |
830 | 0 | ▼a 지식과 문화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952 2020z2 | Accession No. 1118406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일본의 과거, 현재를 객관적으로 하기 위해 일본이라는 국가의 각 분야를 살펴보면서 비교정치 관점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을 설명하는 책이다. 이를 위해 일본이라는 국가의 국내 정치적 사건과 제도뿐만 아니라 외부 변수로 국제적 환경도 함께 고려하며 분석한다.
1869년 메이지유신 시대와 이후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과 근대국가 형성과 제국주의.군국주의 시기, 1952년 4월까지의 점령기, 자민당이 성립된 1955년부터 1993년까지의 ‘55년 체제’, 1990년대 이후의 변혁기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적 분류를 토대로 현대 일본정치를 설명하고, 일본 자민당의 장기 집권 이유와 아베의 장기 집권과 스가 총리 집권에 대해 분석한다. 더불어 일본경제의 성장과 정체 이유, 일본사회 특히 시민단체의 특성화 활동, 보수.우경화 문제, 일본의 대외관계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일본은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지만, 과거사문제, 독도를 둘러싼 문제, 일본의 우경화 현상 등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한국과 일본의 갈등관계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편견없이 일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분석하기는 쉽지 않지만, 세계화 시대 국가 간 교류와 국제사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으로 일본을 파악하고 있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 책은 일본의 과거, 현재를 객관적으로 하기 위해 일본이라는 국가의 각 분야를 살펴보면서 비교정치 관점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이라는 국가의 국내 정치적 사건과 제도뿐만 아니라 외부 변수로 국제적 환경도 함께 고려하며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1869년 메이지유신 시대와 이후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과 근대국가 형성과 제국주의?군국주의 시기, 1952년 4월까지의 점령기, 자민당이 성립된 1955년부터 1993년까지의 ‘55년 체제’, 1990년대 이후의 변혁기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적 분류를 토대로 현대 일본정치를 설명하고, 일본 자민당의 장기 집권 이유와 아베의 장기 집권과 스가 총리 집권에 대해 분석한다. 더불어 일본경제의 성장과 정체 이유, 일본사회 특히 시민단체의 특성화 활동, 보수?우경화 문제, 일본의 대외관계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지금의 일본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우리는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는지,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일본을 냉철하면서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의석(지은이)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The Politics of the Growth of Regional Inequality in Japan”을 연구했으며, 주요 저서로 『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공저, 청아출판사, 2017), 『한국의 민주주의 어디로 가고 있는가』(공저, 푸른길, 2017) 등이 있으며, 「21세기 일본의 국가안보전략」, 『국제정치논총』(2017), 「일본 정치의 변화와 정당-유권자 연계」, 『한국정치학회보』(2014)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서론: 일본과 일본정치 1. 일본과 일본인 2. 일본정치 이해하기 3. 이 책의 구성 제1부 일본정치의 변천 2장 근대 일본의 형성과 제국주의 1. 도쿠가와 막부 2. 메이지유신 3. 제국주의의 형성과 전개 4. 패전과 극동국제군사재판 3장 전후 일본의 정치와 55년체제 1. 점령기의 정책 2. 정당정치의 재개와 자유민주당 결성 3. 55년체제의 전개와 붕괴 4. 55년체제의 특징 4장 탈냉전과 세계화 시대의 일본 1. 비자민연립정권과 정치개혁 2. 자민당의 정권 복귀와 하시모토 개혁 3. 고이즈미의 등장과 구조개혁 4. 자민당의 위기와 민주당의 집권 5. 아베 시대의 일본 제2부 일본정치의 제도와 구조 5장 선거와 정당 1. 선거제도 2. 55년체제의 정당정치 3. 1990년대의 변화와 정당정치 4. 최근의 선거와 정당장치 6장 정부와 관료제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2. 정부·내각의 주요 기관 3. 행정개혁과 도주제 4. 정책결정체계의 변화 5. 사법부 7장 정치문화와 시민사회 1. 일본의 정치문화 2. 신도, 천황제와 단일민족론 3. 일본의 보수·우경화 4. 시민사회 제3부 일본정치의 현안과 쟁점 8장 정치경제 1. 전후 일본의 경제성장 2. 일본경제의 위기와 변화 3. 아베정부의 경제정책 9장 헌법과 개헌논쟁 1. 전후 일본의 헌법과 개헌논쟁 2. 아베 총리와 개헌논의 3. 헌법 9조 개정과 보통국가화 10장 외교안보 1. 대외관계와 안보정책 2. 경제외교 11장 미일동맹과 중일관계 1. 미일동맹 2. 중일관계 12장 한일관계 1. 한일관계의 전개 2. 갈등과 협력 3. 한일관계의 현재와 미래 13장 결론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