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뉴스 스토리 : 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 (Loan 1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재영
Title Statement
뉴스 스토리 : 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 = News story : how to write narrative news / 박재영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채,   2020  
Physical Medium
464 p. : 삽화 ; 23 cm
ISBN
979118578823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52-459)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1325
005 20201222131555
007 ta
008 201221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91185788234 ▼g 930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43 ▼2 23
085 ▼a 070.43 ▼2 DDCK
090 ▼a 070.43 ▼b 2020z7
100 1 ▼a 박재영
245 1 0 ▼a 뉴스 스토리 : ▼b 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 = ▼x News story : how to write narrative news / ▼d 박재영
260 ▼a 서울 : ▼b 이채, ▼c 2020
300 ▼a 464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452-459)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3 2020z7 Accession No. 11184056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1-0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20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 저술지원 우수저작물 선정작. 스토리(STORY)! 독자들은 소설을 떠올렸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 스토리는 신문 기사를 가리킨다. ‘뉴스 아티클’, ‘뉴스 스토리’, ‘내러티브’는 모두 기사의 다른 이름이다.

뉴스는 재미있으면 안 될까? 사건을 극적으로 전달할 수는 없을까? 감동이 진하게 배어나오는 뉴스가 정보 전달에는 역부족인가? 또 디지털 모바일 시대에 걸맞게 뉴스의 길이는 짧아야 하는가? 저자 박재영 교수(고려대 미디어학부)는 『뉴스 스토리_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에서, 이와 같은 질문과 함께 기사 영역에서의 새로운 글쓰기를 제안한다.

존 스타인벡, 트루먼 카포티의 내러티브가 한국에서도 가능하다?

스토리(STORY)! 독자들은 소설을 떠올렸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 스토리는 신문 기사를 가리킨다. ‘뉴스 아티클’, ‘뉴스 스토리’, ‘내러티브’는 모두 기사의 다른 이름이다.
뉴스는 재미있으면 안 될까? 사건을 극적으로 전달할 수는 없을까? 감동이 진하게 배어나오는 뉴스가 정보 전달에는 역부족인가? 또 디지털 모바일 시대에 걸맞게 뉴스의 길이는 짧아야 하는가? 저자 박재영 교수(고려대 미디어학부)는 『뉴스 스토리_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도서출판 이채, 값 30,000원)에서, 이와 같은 질문과 함께 기사 영역에서의 새로운 글쓰기를 제안한다.
기자의 혈통을 지닌 조지 오웰, 어니스트 헤밍웨이, 존 스타인벡은 저널리즘 영역에서 내러티브를 구축했다. 트루먼 카포티와 톰 울프 등은 뉴 저널리즘의 선두에 서 있다. 그들은 기사에 과감하게 소설 작법을 적용하여 상황을 실감 나게 전하려고 했다. 서구에서 오래 전부터 구현된 ‘새로운 기사 쓰기’ 현상이, 우리나라 언론에서 없었던 것은 아니다. 독자들이 『뉴스 스토리』 속에 등장한 국내 내러티브 기사를 접하게 된다면, 새로운 글쓰기에 대해 낙관할 것이다.

내러티브 글쓰기 전도사, 역피라미드 기사의 대안은 없는가

“전신 사정이 불안정했던 시대에 갑자기 전신이 끊기더라도 기사의 주요 내용은 전달되도록 하려고 리드에 주제를 담는 식으로 개발됐다. 분량에 따라 전송비를 물어야 했으므로 기사를 되도록 짧게 압축적으로 써야 했다. 역피라미드 구조는 편집자가 신문 지면의 사정에 따라 기사의 끝을 마음대로 잘라내기에도 편했다.” -본문 34쪽

역피라미드 구조는 미국에서 탄생하여 1900년쯤 기사 작성의 표준으로 정착됐다. 한국 언론은 미국 언론을 통해 역피라미드 구조를 배웠고 천편일률적으로 정형화했다. 이에 비해 미국의 역피라미드 기사는 상당히 유연하며 내러티브 분위기를 풍기는 하이브리드 형태도 많다. 한국 역피라미드 기사는 미국의 원형에 비해 다소 왜곡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역피라미드 구조는 독보적인 장점을 갖고 있지만, 기사의 완독이나 감동과 무관한 태생적 한계를 지닌다. 저자는 이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서 내러티브 기사에 주목한다. 『뉴스 스토리』에는 국내외 뛰어난 내러티브 기사가 담겨 있고 그 구조에 대해 친절하게 분석해놓았다.

왜 내러티브 기사인가? 한국 신문을 낙관적으로 전망한 글쓰기 도움말 책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Show, don’t tell!)라는 내러티브 글쓰기 지침을 따라, 이 책도 내러티브를 말로 설명하기보다 기사 사례로 보여주려고 했다. 『뉴스 스토리』는 기사의 처음과 끝, 또는 중간 어디라도 쉽게 구사할 수 있는 내러티브 장치부터 기사 전체를 소설처럼 구성하는 내러티브 논픽션까지 아우른다. 에디터, 중견기자, 주니어기자, 수습기자, 기자 지망생은 물론이며 매력적인 글쓰기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도 내러티브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배려했다. 박재영 교수는 오랜 동안 많은 신문사와 기관에서 ‘새로운 글쓰기’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고, 글쓰기 코치로서 현직 기자들과 함께 실제 내러티브 기사를 만들었으며 700여 명의 기자 지망생을 교육했다. 이 책을 통해, 내러티브 기사가 죽어가는 뉴스를 되살릴 수 있다고 믿는 ‘내러티브 전도사’가 전하는, 내러티브의 매력에 빠져보기를 권한다. 2020년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 저술지원 우수저작물로 선정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재영(지은이)

조선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미국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 스쿨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로서 KUMA(고대언론인교우회 후원 기자양성프로그램)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4

1장 기사 비교 11
1. 교통사고 미담 13
2. 가출 청소년 기획 17

2장 내러티브 대 역피라미드 29
1. 차이 31
2. 내러티브 기사의 여러 차원 36

3장 캐릭터 39
1. 몇 가지 개념 41
‘야마’와 넛 41 / 앵글 42 / 캐릭터 42 / 개인화 43
2. 상황 매개물 65
사례 연구 72
3. 월스트리트저널 이야기 공식 72
4. 내러티브 기사의 특징 74
5. 내러티브 기사에 대한 오해 76

4장 리드 81
1. 주인공 도입 84
2. 주제 쪽으로 문맥 전환 85
3. 회상: 결정적 장면의 재현 86
4. 장면 재구성 88
5. 복선, 전조 99
6. 호기심 유발 103
7. 긴장감 조성 107
8. 핵심적 한 문장 108
9. 장면 대조 109
10. 영화의 한 장면 110
11. 신속한 장면 전환 111
12. 연대기 112
13. 병렬 구조 113
14. 가상 시나리오 116

5장 중간 장치 117
1. 묘사 119
묘사의 정의 119 / 설명 대 묘사 120 / 관찰에 의한 묘사 122 / 시각화 123 / 공간 묘사 125 / 상황 묘사 131 / 디테일 141 / 인물 묘사 147 / 현장 정밀 묘사 150 / 르포 157 / 정밀 재구성 162 / 내러티브 완급 조절 167 / 설정 숏 169
2. 정보 늦춰 주기 170
3. 직관적 증거 183
4. 대화 189
5. 내레이션 195
6. 질문 던지기 199
7. 하드 팩트 200
8. 주연-조연 구도 205
9. 내러티브 구슬 실 213
10. 등장인물 소개 215

6장 엔딩 221
1. 수미쌍관 224
2. 강도 높여가기 226
3. 여운 남기기 227
4. 궁금증 풀어주기 230
5. 희망 배반하기 232
6. 속편 예고형 233
7. 주제 재강조 234
8. 상쾌한 엔딩 236
9. 연재 내러티브 238

7장 윤리 243

8장 특수 유형 251
1. 내러티브 에세이 253
2. 일인칭 내러티브 257
문학 저널리즘, 뉴 저널리즘 263
3. 프로파일 265
4. 취재 과정 드러내기 276
5. 내러티브 탐사보도 281

9장 이야기 구조 285
1. 일반적 5단계 구조 287
2. 내러티브 논픽션 5단계 구조 310
3. 기자들의 습작 329

10장 왜 내러티브 기사인가? 359
1. 인간의 본질 다루기 362
2. 사회의 본질 다루기 387

11장 내러티브 기사의 효과 397
1. ASNE 연구 399
2. 해외 연구 410
3. 국내 연구 413
4. 소결 416

12장 내러티브 기사의 실행 417
1. 서론 419
2. 한국인의 뉴스 소비 420
3. 뉴스 제작의 대원칙 2개 423
4. 언론사에 퍼진 미신 423
5. 뉴스 인식 혁명 430
6. 취재 혁명 433
7. 글쓰기 혁명 438
8. 에디터의 변화 443
9. 실험정신 446
10. 뉴스의 미래 449

참고문헌 452
찾아보기 46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