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0845 | |
005 | 20201221153234 | |
007 | ta | |
008 | 201215s2020 ggka 000c kor | |
020 | ▼a 9791188287086 ▼g 03800 | |
035 | ▼a (KERIS)BIB000015716512 | |
040 | ▼a 244009 ▼c 244009 ▼d 211009 | |
082 | 0 4 | ▼a 700.2 ▼2 23 |
085 | ▼a 700.2 ▼2 DDCK | |
090 | ▼a 700.2 ▼b 2020z3 | |
100 | 1 | ▼a 이정 |
245 | 2 0 | ▼a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재미있는 예술상식 110 = ▼x Interest art common sense : ▼b 문학·미술·음악 상식으로 스펙을 무장하라! / ▼d 이정 지음 |
260 | ▼a 고양 : ▼b 푸른e미디어, ▼c 2020 | |
300 | ▼a 368 p. : ▼b 삽화 ; ▼c 19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2 2020z3 | 등록번호 1118401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재창조된 인간과 세계를 확인함으로써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문학과 미술, 음악 속에 숨어 있는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동시에 단편적으로 존재하던 지식의 파편들을 하나로 연결시키게 될 것이다.
인문주의에서 시작된 자아自我의 확립과 근대사회의 발전으로 예술은 신에게서 벗어나 인간에게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전에도 예술은 그 시대의 세계관과 철학에 순응하며, 또는 대항하며 창조되어왔다. 따라서 예술 작품을 보면 그 시대를 산 사람들과 그 시대가 보인다. 즉, 예술은 인류가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이름의 역사인 것이다.
Why or What
호기심Curiosity은 인간의 특성이다. 호기심에서 과학과 철학이 시작되었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류는 예술을 창조해냈다.
‘왜’ 또는 ‘무엇’인가에 대한 끝없는 호기심과 질문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지식의 습득과 함께 삶을 풍성하게 해줄 자양분을 얻는다.
재창조된 인간과 세계를 확인함으로써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문학과 미술, 음악 속에 숨어 있는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동시에 단편적으로 존재하던 지식의 파편들을 하나로 연결시키게 될 것이다.
예술로 세계를 재창조하다
인문주의에서 시작된 자아自我의 확립과 근대사회의 발전으로 예술은 신에게서 벗어나 인간에게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전에도 예술은 그 시대의 세계관과 철학에 순응하며, 또는 대항하며 창조되어왔다. 따라서 예술 작품을 보면 그 시대를 산 사람들과 그 시대가 보인다. 즉, 예술은 인류가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이름의 역사인 것이다.
마음의 정화에 이르는 길, 예술
우리의 귀는 하루 종일,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각종 소음에 노출되어 있으며, 우리의 눈은 각종 활자와 난잡한 색깔에 시달리고 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재미있는 예술상식 110≫은 아름다운 그림으로 당신의 눈이 정화되고, 아름다운 음악으로 당신의 귀가 정화되고, 아름다운 문학으로 당신의 마음이 정화되길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001 인문주의 002 단테 003 신곡 004 폴 귀스타프 도레 005 인상주의 006 클로드 아실 드뷔시 007 낭만주의 | CHECK POINT | 낭만주의 대표 작가 008 페르디낭 빅토르 외젠 들라크루아 009 미켈란젤로 디 로도비코 부오나로티 시모니 010 다비드 011 피렌체 대성당 012 안드레아 피사노 013 고대부흥 | Level up-01 |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은 다비드의 그림처럼 당당했을까? 014 고전고대 015 헬레니즘 016 고전주의 | CHECK POINT | 프랑스 고전주의 대표 극작가 017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CHECK POINT |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018 레퀴엠 | CHECK POINT | 다양한 음악의 형식들 019 그레고리오 성가 020 루이 엑토르 베를리오즈 021 윌리엄 셰익스피어 022 라파엘전파 | CHECK POINT | 라파엘전파 3대 화가의 작품들 023 산치오 라파엘로 024 그리스도의 변용 025 바로크 026 마니에리스모 027 르네상스 028 지오토 디 본도네 029 조반니 보카치오 030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031 소네트 032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033 고답파 | CHECK POINT | 폴 베를렌의 시 〈가을의 노래〉 034 상징주의 035 에드바르 뭉크 036 헨리크 입센 037 페르 귄트 | Level up-02 | 모차르트는 곤궁했다? 038 에드바르 하게루프 그리그 039 민족음악 040 안토닌 레오폴트 드보르자크 041 신고전주의 042 자크-루이 다비드 043 로마대상 044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045 파블로 루이스 피카소 046 아비뇽의 아가씨들 047 야수파 048 표현주의 049 블라우에 라이터 050 바우하우스 051 아방가르드 052 미래주의 053 다다이즘 054 입체파 055 파올로 우첼로 056 국제고딕양식 057 랭부르 형제 058 주지주의 059 김기림 060 이미지즘 061 에즈라 루미스 파운드 062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Level up-03 | 뮤지컬 〈캐츠Cats〉 063 제임스 오거스틴 앨로이시어스 조이스 064 예술지상주의 065 순수문학 066 프롤레타리아 문학 067 신경향파문학 068 자연주의 069 에밀 졸라 | CHECK POINT | 드레퓌스 사건과 에밀 졸라 070 폴 세잔 071 앵데팡당전 072 조르주 피에르 쇠라 073 신인상주의 074 오르피즘 075 기욤 아폴리네르 | CHECK POINT | 기욤 아폴리네르의 시 〈미라보 다리〉 076 모더니즘 077 사실주의 078 르나르 이야기 079 풍자문학 080 미겔 데 세르반테스 081 패러디 | CHECK POINT | 폴리포니와 호모포니 082 조지 고든 바이런 083 악마주의 084 유미주의 085 월터 호레이쇼 페이터 086 문예비평 087 뉴크리티시즘 088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089 서정가요집 090 윌리엄 워즈워스 | CHECK POINT | 윌리엄 워즈워스의 시 〈무지개〉 091 계관시인 092 아폴로 093 이고르 페도로비치 스트라빈스키 094 모음곡 | Level up-04 | 발레는 남성의 전유물이었다? 095 부수음악 096 루트비히 판 베토벤 | Level up-05 | 〈엘리제를 위하여〉는 누구를 위한 곡일까? 097 교향곡 | CHECK POINT | 표제음악과 절대음악 098 리트 형식 099 변주곡 100 류트 음악 101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102 다감양식 103 로코코 음악 104 나폴리 악파 105 아리아 106 오라토리오 107 오페라 | CHECK POINT | 바그너의 오페라 108 리브레토 109 그리스 연극 110 소포클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