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현대의 사회정치 이념과 세력

한국 현대의 사회정치 이념과 세력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복룡, 발제 김두수, 연찬 김진욱, 연찬 박홍순, 연찬 성희엽, 연찬 이형용, 연찬 주요섭, 연찬 허숭, 연찬
단체저자명
한국사회연찬회
서명 / 저자사항
한국 현대의 사회정치 이념과 세력 / 한국사회연찬회 엮음
발행사항
서울 :   휴머니즘,   2020  
형태사항
112 p. : ; 21 cm
총서사항
한국사회연찬 리포트 ;7
기타표제
세계사를 선도하는 새로운대한민국을 위한 10년 기획
ISBN
9791185571249
일반주기
발제: 신복룡 ; 연찬: 김두수, 김진욱, 박홍순, 성희엽, 이형용, 주요섭, 허숭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0784
005 20201221174254
007 ta
008 201215s2020 ulk 000c kor
020 ▼a 9791185571249 ▼g 0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1.09519 ▼2 23
085 ▼a 301.0953 ▼2 DDCK
090 ▼a 301.0953 ▼b 2020z19
110 ▼a 한국사회연찬회
245 1 0 ▼a 한국 현대의 사회정치 이념과 세력 / ▼d 한국사회연찬회 엮음
246 0 3 ▼a 세계사를 선도하는 새로운대한민국을 위한 10년 기획
260 ▼a 서울 : ▼b 휴머니즘, ▼c 2020
300 ▼a 112 p. : ; ▼c 21 cm
490 1 0 ▼a 한국사회연찬 리포트 ; ▼v 7
500 ▼a 발제: 신복룡 ; 연찬: 김두수, 김진욱, 박홍순, 성희엽, 이형용, 주요섭, 허숭
700 1 ▼a 신복룡, ▼e 발제
700 1 ▼a 김두수, ▼e 연찬
700 1 ▼a 김진욱, ▼e 연찬
700 1 ▼a 박홍순, ▼e 연찬
700 1 ▼a 성희엽, ▼e 연찬
700 1 ▼a 이형용, ▼e 연찬
700 1 ▼a 주요섭, ▼e 연찬
700 1 ▼a 허숭, ▼e 연찬
830 0 ▼a 한국사회연찬 리포트 ; ▼v 7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953 2020z19 등록번호 1118401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사회연찬 리포트 7권. 한국사회연찬 리포트 시리즈 중 7권으로, “한국 현대의 사회정치 이념과 세력”을 주제로 신복룡 건국대 명예교수를 발제자로 하여 7명의 50대 사회 활동가들이 연찬한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연찬 참여자들은 일제강점기, 해방정국, 군사독재 시기, 민주화 이후 현재에 이르는 시기를 넘나들며, 한국 사회의 이념과 세력의 현실과 문제들을 짚어보고, 미래에 대한 메시지와 길을 모색한다.

일제 강점기를 지나 남의 손으로 해방을 맞이한 한국인들은 좌익과 우익이라는 생소한 이데올로기 앞에서 영문도 모르고 전쟁을 치르고, 희생을 당한 아픈 경험이 있다.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해석함에 있어서 의견을 달리하는 건국절 시비부터 시작해서 진영의 논리에 따라 여전히 싸움을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인간은 합리적인가 비합리적인가, 인간의 역사를 이끌어 가는 것이 민중인가 엘리트인가, 이념이 혈육을 넘을 수 있는지 등 폭넓은 이슈들에 대해 사회 정치 운동 현장 경험과 진지한 연구에서 우러나온 진솔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또한 자유와 평등의 문제, 민족주의자와 국제주의자의 문제, 더 나아가서 좌익과 우익의 문제, 친미와 반미 문제와 같은 예민한 주제에 대해서도 격의없이 토로한다.

이 책은 한국사회연찬 리포트 시리즈 중 7권으로, “한국 현대의 사회정치 이념과 세력”을 주제로 신복룡 건국대 명예교수를 발제자로 하여 7명의 50대 사회 활동가들이 연찬한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연찬 참여자들은 일제강점기, 해방정국, 군사독재 시기, 민주화 이후 현재에 이르는 시기를 넘나들며, 한국 사회의 이념과 세력의 현실과 문제들을 짚어보고, 미래에 대한 메시지와 길을 모색한다.
일제 강점기를 지나 남의 손으로 해방을 맞이한 한국인들은 좌익과 우익이라는 생소한 이데올로기 앞에서 영문도 모르고 전쟁을 치르고, 희생을 당한 아픈 경험이 있다.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해석함에 있어서 의견을 달리하는 건국절 시비부터 시작해서 진영의 논리에 따라 여전히 싸움을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인간은 합리적인가 비합리적인가, 인간의 역사를 이끌어 가는 것이 민중인가 엘리트인가, 이념이 혈육을 넘을 수 있는지 등 폭넓은 이슈들에 대해 사회 정치 운동 현장 경험과 진지한 연구에서 우러나온 진솔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또한 자유와 평등의 문제, 민족주의자와 국제주의자의 문제, 더 나아가서 좌익과 우익의 문제, 친미와 반미 문제와 같은 예민한 주제에 대해서도 격의없이 토로한다.
연찬 참여자들이 발제를 중심으로 다른 연찬자의 의견을 시비하거나 비판하지 않고 각자의 견해와 주장, 그리고 고민들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한 연찬 대화 상황을 그대로 담아서 독자들도 현장에 있는 듯 따라 읽기에 무척 쉽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복룡(지은이)

충청북도 괴산 출생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동 대학원 수료(정치학 박사) 고등고시위원 역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역임 미국 Georgetown 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건국대학교 중앙도서관장·대학원장 역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0) 국가보훈처 4·19혁명 서훈심사위원(2010, 2019)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서훈심사위원·위원장(2009-2021)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좌교수 역임 저서 『한국분단사 연구 : 1943-1953』(한울, 2001, 한국정치학회 저술상 수상)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선인, 2006) 『서재 채워드릴까요?』(철학과 현실사, 2006) The Politics of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1943-1953(Edison, NJ: Jimoondang International & Seoul : Jimoondang, 2008) 『한국정치사상사』(지식산업사, 2011, 한국정치학회 인재상(仁齋賞) 수상) 『개정증보판 대동단실기』(선인, 2014) 『해방정국의 풍경』(지식산업사, 2016) 『전봉준평전』(들녘, 2019)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선인, 2021) 외 역서 『외교론』(H. Nicolson, Diplomacy, 평민사, 1979) 『군주론』(N. Machiavelli, The Prince, 을유문화사, 2020) 『모택동자전』(E. Snow, Red Star over China : 부분 : 평민사, 1985) 『한국분단보고서』(선인, 2022 : 共) 『정치권력론』(C. E. Merriam, Political Power, 선인, 2006) 『入唐求法巡禮行記』(선인, 2007) 『林董秘密回顧錄』(건국대학교, 2007 : 共) 『개정판 한말 외국인 기록』 전 11책/23권(집문당, 2019) 『플루타르코스 영웅전Ⅰ~Ⅴ』(을유문화사, 2021) 『삼국지 1~5』(집문당, 2021) 외

이형용(지은이)

거버넌스센터 이사장 한국사회 한 단계 도약을 위하여 민주주의 심화와 인간화를 위한 사회정치네트워크가 확산되고 지형이 확대되기를 소망하며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지금껏 그리고 지금도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연찬과 모색, 실천을 지속하면서 정부기구, 학회, 시민•사회단체에서 다양한 역할로 거버넌스 정치 혁신 기반을 든든하게 하는 시공간을 살아가고 있다. 휴머니즘 거버넌스 가치와 문화가 ‘지금 이 곳’에서 숨 쉬어질 수 있게 세대 지역 부문 연대로 성찰과 파트너십에 기초한 시민사회 혁신을, 그리고 안으로부터 분권강화에 솔선하는 분권자치 혁신을 만들어가고 있다. 자기존엄과 타인존중이 지금까지의 성취를 ‘다음’으로 잇는 힘이 되도록 새로운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활동] ‣ 서울대 철학과 졸업 ‣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흥사단, 「장애인먼저」 실천중앙협의회, 미래사회와성교성연구원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 ‣ 부패방지위원회,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사회통합위원회, 대통령실정책자문위원회 등 정부기구 간부 및 위원 활동 ‣ 한국행정연구원협력•갈등관리연구단, 한국조직경영개발학회, 한국NGO학회 등 연구단체 임원 활동 ‣ 일간신문에 두 차례에 걸쳐 2년여 기간 칼럼 연재 등 저술 활동 [주요저서] 『21세기에 태어난 장자-밀레니엄 전환기의 휴머니즘운동론』(1997)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즘』(2000,『21세기에 태어난 장자』의 개정판), 『휴머니즘@패러다임』(2000) 『전환기 사회운동 패러다임의 재구성』(2011), 『신복지사회 거버넌스국가를 향하여』(2012), 『대한민국 정책운동의 길을 묻는다』(공저, 2012), 『거버넌스 국가를 위하여』(공저, 2014), 『거버넌스형 지방정부 조직과 운영 모색』(공저, 2018), 『자치분권 캠페인의 혁신과 거버넌스 전략』(공저, 2019), 『거버넌스 교육론』(공저, 2021) 등

주요섭(지은이)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1983년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으나 시절을 좇아 학생운동에 전념했다. 1980년대 말 고향 정읍에 돌아와 지역공동체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정읍과 서울을 오가며 ‘지역’, ‘생명’, ‘전환’을 화두로 생명민회, 초록정치연대, 대화문화아카데미, 한살림전북생협, 모심과살림연구소, 한살림연수원 등에서 활동했다. 현재는 존경하고 친애하는 선생님들, 벗들과 함께 &lt(사)밝은마을_생명사상연구소&gt와 &lt지리산연찬&gt, &lt전북생명평화포럼&gt 등에서 활동하며 공부하고 있다. 『세계화는 지구환경을 어떻게 파괴하는가(역서)』, 『녹색대안을 찾아서(공저)』, 『전환이야기』,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공저)』, 「신체는 어떻게 소통되는가?」 등의 책과 논문을 쓰고 펴냈다.

박홍순(지은이)

(사)커뮤니티허브 공감 대표

김두수(지은이)

시대정신연구소 대표

김진욱(지은이)

참여연대 운영위원장

허숭(지은이)

(주)틔움 대표

성희엽(지은이)

부경대 외래 교수

한국사회연찬회(엮은이)

참여자들이 서로 다른 견해나 입장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심원한 호흡과 걸음으로 국가 사회의 새로운 비전을 함께 연찬하고자 하는 모임으로 10년을 내다보는 장기전망 속에서 시즌제 연단위 기획연찬 진행 계획을 세우고 있다. “박애와 21세기적 문제군”은 “(서구) 근대의 가치와 현대 한국의 이념과 세력 지도 : 논리와 현실” 기획 연찬의 여섯 번째 주제이며, 남은 주제는 “한국의 사회·정치 사상 : 도입·형성, 현실”, “한국의 정치·사회 주체 : 형성과 현실” 등이다. 2년 차 시즌의 주제는 “글로벌 현대 사회의 도전과 실상”을 검토하고 있다. 매번 연찬이 끝나면 보고서를 발간하고, 기회가 되면 소주제를 몇 개씩 묶어 공개 세미나도 열 예정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격동의 시대를 살아내고
이런 진영의 시대는 없었다.
한국의 좌우익, 함께 분열하고 함께 부패하다.
건국절 시비
개혁과 이념의 준거
이념, 혈육, 돈
자유와 평등
비논리적인 좌우익 논리 ; 친미냐, 반미냐
각하 새끼 … ; 한국 사법 사회의 코미디
가난한 주제에 인(仁)을 얘기함은 부끄럽지 않은가
중도(中道) ; 강에 빠져 죽는 꿩
서부영화는 왜 뒤를 돌아보는가
한국 사회의 민낯 ; 모든 직업이 생계형
막스 베버의 세상의 일주문 - 종교와 경제
Division과 Separation
세계사 속의 특수사는 없다.
우리가 그들보다 나은 게 없다.
근대 문명을 넘어서는 초입의 전망
대한민국의 희망
더 큰 힘으로 새로운 진영을
국가 정신과 정체성의 공유?
팩트와 진리를 추구하지 않는 난잡한 사회
80년대에 우리가 생각한 민주주의가 민주주의였는가?
콤플렉스를 벗어나야 한다.
사회적 협약
학문의 길, 한의 한 평생, 다시 태어나도
만용에의 경계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