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0289 | |
005 | 20201218114540 | |
007 | ta | |
008 | 201210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522919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15 ▼2 23 |
085 | ▼a 415 ▼2 DDCK | |
090 | ▼a 415 ▼b 2020z3 | |
245 | 2 0 | ▼a (현대언어학의) 분열문 연구 : ▼b 통사와 의미 / ▼d 김선웅, ▼e 박명관, ▼e 문귀선 엮음 |
260 | ▼a 서울 : ▼b 글로벌콘텐츠, ▼c 2020 | |
300 | ▼a 346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필자: 박명관, 이우승, 박소영, 손근원, 홍용철, 김선웅, 문귀선, 박종언, 안희돈, 조성은, 염재일, 위혜경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성과는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일부임 ▼g (NRF-2018S1A5A2A01031269, NRF-2019S1A5A2A01036282) | |
700 | 1 | ▼a 김선웅, ▼g 金善雄, ▼d 1959-, ▼e 편 |
700 | 1 | ▼a 박명관, ▼d 1961-, ▼e 편 |
700 | 1 | ▼a 문귀선, ▼g 文貴善, ▼d 1954-, ▼e 편 |
700 | 1 | ▼a 이우승, ▼e 저 |
700 | 1 | ▼a 박소영, ▼g 朴炤怜, ▼d 1982-, ▼e 저 |
700 | 1 | ▼a 손근원, ▼g 孫根元, ▼d 1961-, ▼e 저 |
700 | 1 | ▼a 홍용철, ▼g 洪鏞喆, ▼d 1961-, ▼e 저 |
700 | 1 | ▼a 박종언, ▼d 1973-, ▼e 저 |
700 | 1 | ▼a 안희돈, ▼g 安熙燉, ▼d 1960-, ▼e 저 |
700 | 1 | ▼a 조성은, ▼g 趙晟恩, ▼d 1968-, ▼e 저 |
700 | 1 | ▼a 염재일, ▼d 1957-, ▼e 저 |
700 | 1 | ▼a 위혜경, ▼g 魏惠炅, ▼d 1962-,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20z3 | Accession No. 1118398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정보포장의 중요한 도구인 분열문의 통사와 의미에 대해 현대언어학적 시각에서 연구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담아 냈다. 전체의 구성은 분열문의 통사론과 분열문의 의미론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앞의 9개 챕터는 통사적 측면, 뒤의 2개 챕터는 의미적 측면을 담고 있다. 각 장별로 연구자의 개별적 연구 관점에서 본 분열문의 통사와 의미를 논의하고 있다.
분열문의 통사와 의미에 대해현대언어학적 시각에서 연구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담았다
이 책은 정보포장의 중요한 도구인 분열문의 통사와 의미에 대해 현대언어학적 시각에서 연구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담아 냈다.
전체의 구성은 분열문의 통사론과 분열문의 의미론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앞의 9개 챕터는 통사적 측면, 뒤의 2개 챕터는 의미적 측면을 담고 있다. 각 장별로 연구자의 개별적 연구 관점에서 본 분열문의 통사와 의미를 논의하고 있다.
1장에서 박명관은 우리말 명세화 의사분열 구문, 그리고 이와 관련한 소위 도치 의사분열 구문에 대하여 이 두 구문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것’-절의 통사적 성격을 밝혔다.
2장에서 이우승은 기존 연구에서 분열구문으로 분류했던 영어와 한국어의 해당 구문을 정보포장의 관점에서 비교해 본 후, 영어에 상응하는 분열문이 한국어에도 동일하게 존재하는지 알아보았다.
3장에서 박소영은 한국어 수문문의 분석에 대하여 삭제 분석과 분열문 분석이 존재한다고 보고 있으며, 전자는 한국어 수문문도 영어의 수문문과 마찬가지로 의문대명사의 이동 이후 남겨진 절적성분의 음성형식이 삭제되어 도출된다는 견해를 밝혔다.
4장에서 손근원은 영어의 수문구문과 유사한 한국어의 계사구문을 다루면서 이 구문이 영어의 수문구문과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아니면 다른 성질을 지닌 구문인지 밝혀내려 하였다.
5장에서 홍용철은 ‘것’ 분열구문의 초점 요소가 어떻게 도출되어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6장에서 김선웅은 한국어 ‘것’-분열문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들에 기초하여 ‘것’-분열문의 도출을 제안한다.
7장에서 문귀선은 영어 it-분열문에 있어서 핵심 주제인 it에 대한 분석을 논한다.
8장에서 박종언은 한국어 수문문(sluicing)의 기저구조로 채택된 ‘것’-분열문의 올바른 내부 구조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9장에서 안희돈과 조성은은 영어와 한국어에서 조각문에 동반되는 부가의문문의 유형을 보고 생략된 절의 구조에 대해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10장에서 염재일은 ‘것’-구가 사람을 나타내야 할 경우에는 복수가 되지 않는다는 점과 사람을 나타내어야 하는 경우 두 ‘것’-구가 연접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국어의 분열문에서 ‘것’-구는 객체를 나타내지 않고 개념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11장에서 위혜경은 한국어의 의존명사인 ‘-것’의 의미에 대한 연구로서, 특히 ‘것’-분열절의 의미적 기능에 집중하였다.
이 책의 참여한 연구자들은 앞으로 이 책이 분열문 연구에 대한 촉발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지은이
박명관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부
이우승 건국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소영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손근원 한남대학교 영어교육과
홍용철 성신여자대학교 프랑스어문문화학과
김선웅 광운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산업학과
문귀선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박종언 동국대학교 글로벌어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안희돈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성은 영남대학교 영어교육과
염재일 홍익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위혜경 단국대학교 영미인문학과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문귀선(엮은이)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명예교수 대표 논저: On the Validity of the Skolemized Choice Function Approach to small pro anaphora in Korean(2019), A Non-Isomorphism Approach to Null Argument Anaphora in Korean (2015), 영논항의 속성 재조명(2010), 저서 ??형식의미론 입문??(2011)
박명관(엮은이)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 대표 논저: Some Cases against the Ellipsis Analysis of the Null Argument(2014), Korean/ Japanese vs. Chinese on Quantificational/Sloppy Readings of Null Subjects(2015), An NP- substitute Approach to Null Arguments in Chinese, Japanese, and Korean(2016), 저서 ??ERP-기반 신경통사론??(2018)
김선웅(엮은이)
● 학력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학사(1982)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1984)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사(1991) ● 주요 경력 광운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1988-현재) 광운대학교 인문대학장(2011-14) 광운대학교 교무처장(2014-15) MIT 객원교수 (1993-14) 코네티컷대 객원교수 (2001-02) 메릴랜드대 풀브라이트 객원교수 (2018-19) 한국생성문법학회 회장 (2007-08) 한국영어학회 회장 (2018-현재) ● 주요 저서 허사총론 (2002, 공저) 영어학의 최근 논점 (2005, 공저) 영어통사론 (2014, 공저)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부 분열문의 통사론 1. 한국어 명세화 의사분열 구문: ‘것’-분열절의 허사적 성격 - 박명관 2. 한국어의 분열문 재조명 - 이우승 3. 한국어 수문문에 대한 분열문 분석 재고 - 박소영 4. 계사구문에 대한 비수문, 비분열 접근법 - 손근원 5. ‘것’ 분열구문의 초점 요소에 대한 기저 생성 분석 - 홍용철 6. 특정성과 서술성의 통사론: ‘것’-분열문을 중심으로 - 김선웅 7. it-분열구문에 대한 선택함수분석 - 문귀선 8. 한국어 수문문의 기저구조로서의 분열문에 대하여 - 박종언 9. 조각문과 부가의문문 - 안희돈?조성은 제2부 분열문의 의미론 10. 소위 강조구문과 “것”의 의미들 - 염재일 11. ‘것’-분열문 주어의 상위언어적 의미 - 위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