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금의 뉴스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영흠
서명 / 저자사항
지금의 뉴스 / 박영흠
발행사항
서울 :   스리체어스,   2019  
형태사항
147 p. ; 19 cm
총서사항
북 저널리즘 = Book journalism
ISBN
9791189864019
일반주기
이 책은 저자의 박사 학위 논문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디지털 뉴스의 상품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2017)를 수정·보완한 것임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60152
005 20201210165855
007 ta
008 201210s2019 ulk 000c kor
020 ▼a 9791189864019 ▼g 03300
035 ▼a (KERIS)BIB000015053567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40285 ▼2 23
085 ▼a 070.40285 ▼2 DDCK
090 ▼a 070.40285 ▼b 2019z5
100 1 ▼a 박영흠
245 1 0 ▼a 지금의 뉴스 / ▼d 박영흠
260 ▼a 서울 : ▼b 스리체어스, ▼c 2019
300 ▼a 147 p. ; ▼c 19 cm
440 0 0 ▼a 북 저널리즘 = ▼x Book journalism
500 ▼a 이 책은 저자의 박사 학위 논문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디지털 뉴스의 상품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2017)를 수정·보완한 것임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19z5 등록번호 1118399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터넷 대중화 초기인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을 되짚으면서 대안 저널리즘의 실험이 이뤄졌던 디지털 공간을 소개한다. 시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공론장 역할을 했던 디지털 공간이 혼란에 빠지는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해 나가는 책이다.

정보의 시대지만 뉴스는 존재감을 잃고 있다. 디지털 세계는 어뷰징(abusing), 낚시성 기사들로 오염됐다. 언론은 비판을 넘어 조롱의 대상으로 전락했다. 하지만 지금의 위기를 언론의 실책만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디지털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뉴스 생태계는 완전히 다르게 조성되어 왔다. 디지털 공간을 대안적 소통의 광장으로 여겼던 시기에 시민 저널리즘이 시작됐고, 인터넷 산업이 육성된 시기에는 가십성 뉴스를 쏟아 내는 매체가 급증했다.

이제 디지털 저널리즘과 저널리즘은 동의어다. 지금의 디지털 뉴스를 방치한다면 민주주의의 한 축인 저널리즘이 붕괴하는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언론의 디지털 혁신의 초점은 여전히 기술 숭배와 산업 논리에 경도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과 다른 디지털, 지금과 다른 혁신은 가능하다. 역사는 지금과 다른 성격의 디지털 저널리즘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디지털 저널리즘의 역사를 살피고 위기의 본질을 파악하는 일은 해법을 모색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밀레니얼이 뉴스를 접하기 시작한 2000년대 중반부터 포털 사이트는 뉴스의 창구로 자리 잡았다. 종이 신문이나 생방송 뉴스를 챙겨 보지 않는 이들에게 디지털 저널리즘은 저널리즘과 동의어다. 하지만 이들이 봐 온 저널리즘의 모습은 어뷰징 기사들과 경쟁성 속보 더미다. 이들에게 기자를 비하하는 ‘기레기’라는 말은 신조어가 아니라 언론에 대한 첫인상인 셈이다.

디지털 저널리즘이 처음부터 지금과 같았던 것은 아니다. 저자는 인터넷 대중화 초기인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을 되짚으면서 대안 저널리즘의 실험이 이뤄졌던 디지털 공간을 소개한다.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공론장 역할을 했던 디지털 공간이 혼란에 빠지는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해 나간다.

인터넷이 새로운 산업으로 주목받으면서 디지털 공간은 소통의 광장에서 상업적 시장으로 급격하게 변모했다. 언론은 수익 창출을 위한 트래픽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뉴스의 지금은 디지털의 속성 탓이 아니라 사회적 인식과 환경이 만들어 낸 결과다. 저자는 디지털 공간의 가치가 사회적 합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공유와 신뢰의 디지털 세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디지털 뉴스의 정상화를 논의할 적기다. 공론장을 꿈꿨던 과거의 디지털 뉴스는 새로운 세대가 만들어 갈 미래의 디지털 뉴스가 참고할 만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영흠(지은이)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디지털 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을 주제로 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 연구원으로,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전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앞서 《경향신문》에서 기자로 일했다. 언론을 비판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고 있지만 언론을 향한 애정과 기대는 누구보다 크다. 디지털 기술과 사회 변동의 관계, 언론과 민주주의, 언론 윤리와 언론인의 노동, 한국의 인터넷 문화 등에 관심이 많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 디지털 이후,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1 _ 뉴스라는 독특한 상품

팔리는 뉴스의 탄생

저널리즘, 사회 계약을 맺다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

시민과 시장 사이


2 _ 시장 혹은 광장

디지털을 상상하는 두 가지 방식

위로부터의 정보화 프로젝트

자유와 해방의 사이버 공간


3 _ 디지털, 대안적 저널리즘을 상상하다

시민 사회의 폭발적 성장

딴지일보부터 오마이뉴스까지

2002년, 디지털 저널리즘과 진보적 시민 사회의 결합


4_ 포털에 종속된 저널리즘

황금알을 낳는 디지털?

시장의 팽창, 시민 사회의 위축

플랫폼 시대의 개막

잘못 끼운 첫 단추

포털 맞춤형 뉴스의 탄생


5 _ 저널리즘, 민주주의와 분리되다

억압하는 국가, 고립되는 시민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상품화

정보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위기

궁지에 몰린 언론의 선택

혁신 속에서 길을 잃다

사회 계약을 파기한 뉴스 상품


6 _ 새로 쓰는 디지털 저널리즘

혁신을 혁신하라

무엇을 버릴 것인가 

플랫폼에서 언론을 구하라

좋은 언론을 키우려면 온 사회가 필요하다


주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과거에서 미래를 발견하다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