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0057 | |
005 | 20201217141511 | |
007 | ta | |
008 | 201208s2018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9971570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874558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379.15309519 ▼2 23 |
085 | ▼a 379.1530953 ▼2 DDCK | |
090 | ▼a 379.1530953 ▼b 2018 | |
245 | 0 0 | ▼a 한국 지방교육자치론 / ▼d 나민주 [외]공저 |
246 | 1 1 | ▼a Local education autonomy in Korea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8 | |
300 | ▼a 332 p. : ▼b 도표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고전, 김병주, 김성기, 김용, 박수정, 송기창 | |
504 | ▼a 참고문헌(p. 309-328)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나민주, ▼e 저 |
700 | 1 | ▼a 고전, ▼e 저 |
700 | 1 | ▼a 김병주, ▼e 저 |
700 | 1 | ▼a 김성기, ▼e 저 |
700 | 1 | ▼a 김용, ▼e 저 |
700 | 1 | ▼a 박수정, ▼e 저 |
700 | 1 | ▼a 송기창, ▼e 저 |
900 | 1 0 | ▼a Rah, Min-joo, ▼e 저 |
900 | 1 0 | ▼a Ko, Jeon, ▼e 저 |
900 | 1 0 | ▼a Kim, Byoung-joo, ▼e 저 |
900 | 1 0 | ▼a Kim, Sung-ki, ▼e 저 |
900 | 1 0 | ▼a Kim, Yong, ▼e 저 |
900 | 1 0 | ▼a Park, Soo-jung, ▼e 저 |
900 | 1 0 | ▼a Song, Ki-chang,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1530953 2018 | Accession No. 1118396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나민주(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교육행정을 전공하여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대통령 교육정책자문회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평가위원, 교육인적자원부 시·도 교육청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서울대와 한국방송대에서 교육행정학원론, 교직론 등을 강의하였다. 현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행정, 교육정책, 교육재정, 교육경제, 고등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와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주요논저로는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비교』『민간의 교육재정부담제도의 평가와 전망』『언론기관 대학평가의 발전과제』등이 있다.
박수정(지은이)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교육행정학을 전공하였다. 석사과정을 마치고 역사교사로 근무하였고, 박사과정을 마치고 2010년부터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교사 전문성 개발, 학교 변화, 지방교육자치, 교육행정사, 팀학습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현장과 소통하는 연구자를 꿈꾼다. 대학 수업을 하면서 팀 학습과 관련되는 교수법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수업 사례를 학술논문으로 발표하였다. 전국의 대학과 전문대학에서 200회 이상 교수법 특강 및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팀 학습 방식의 실습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강의 콘텐츠와 필요한 설명을 책으로 충분히 담고자 준비하다가, 2020년부터 전면적인 원격교육 상황에 마주하게 되어 『온라인 수업에서 팀 학습 어떻게 할까』를 먼저 집필하였다. 그리고 이번에 대학 교수자를 위한 기본적인 대학 수업 안내서를 새롭게 집필하였다. 대학에서 처음 수업을 하거나, 좋은 수업을 고민하는 교수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 경력 현)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충남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장, 교육연구소장, 교직부장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이사 교육부 혁신공유대학 선정평가위원 교육부 전문대학 마이스터대학/링크플러스 선정평가위원 교육부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 실사평가위원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위원 교육부 정책자문위원 주요 저서 『온라인 수업에서 팀 학습 어떻게 할까』 (학지사, 2021) 『오늘의 교육 내일의 교육정책』 (학지사, 2021) 『대학 수업의 탐구와 성찰』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지방교육자치와 지방교육의 변화 1. 지방교육자치의 변천과정 2. 지방교육자치의 주요 이슈 3. 통계로 본 지방교육의 변화 제2장 교육감 제도의 성과와 과제 1. 개관 2. 변천 과정 3. 성과 4. 쟁점 5. 과제 제3장 교육위원회 제도의 성과와 과제 1. 개관 2. 변천 과정 3. 현황 4. 쟁점 5. 성과 6. 과제 제4장 지방교육행정기관 운영의 성과와 과제 1. 개관 2. 변천 과정 3. 현황 4. 성과 5. 쟁점 6. 과제 제5장 지방교육재정의 성과와 과제 1. 개관 2. 변천 과정 3. 성과 4. 쟁점 5. 과제 제6장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관계 1. 교육자치와 일반자치 관계의 변천 과정 2. 교육자치와 일반자치 관계의 현황 3. 교육자치와 일반자치 연계·협력의 성과 4. 교육자치와 일반자치 연계·협력의 과제 제7장 지방교육자치의 발전방안 1. 지방교육자치의 성과에 관한 인식 2. 지방교육자치의 쟁점에 관한 인식 3. 지방교육자치를 둘러싼 최근의 환경 변화 4. 지방교육자치의 발전방향 5. 지방교육자치의 발전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