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60055 | |
005 | 20201217140049 | |
007 | ta | |
008 | 201208s202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796373 ▼g 03180 | |
035 | ▼a (KERIS)BIB00001553758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 ▼2 23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20z7 | |
100 | 1 | ▼a Cohen, Lisa J. |
245 | 2 0 | ▼a (한 권으로 끝내는) 심리학 / ▼d 리사 J. 코헨 지음 ; ▼e 이아린 옮김 |
246 | 1 9 | ▼a The handy psychology answer book |
246 | 3 9 | ▼a Handy psychology answer book |
260 | ▼a 서울 : ▼b 지브레인, ▼c 2020 | |
300 | ▼a 648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이아린의 본명은 '이민주'임 | |
504 | ▼a 참고문헌(p. 631-64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logy ▼v Popular works |
700 | 1 | ▼a 이아린, ▼e 역 |
900 | 1 0 | ▼a 코헨, 리사 J., ▼e 저 |
900 | 1 0 | ▼a 이민주,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20z7 | Accession No. 1118396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심리학은 학문 분야에서도 인기가 많다.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심리학은 매우 인기 있는 전공 학과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진지함이 지나친 나머지 심리학이 본래 가지고 있는 오락적인 가치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심리학은 두 갈래로 나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 권으로 끝내는 심리학》은 이 두 가지를 담아, 일반 대중이 이해하고 공감하기 쉬우면서도 정확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심리학을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일반인들을 위한 것이지만 기존 교과서의 참고서로 활용될 수도 있다.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이나행동주의Behaviorism를 찾아보고 싶다거나 뇌와 행동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혹은 주요 심리학 이론이 궁금하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인간이 시도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은 결국 심리에서 비롯된다.
자기 자신이나 가족의 심리적인 문제로 궁금한 것이 있는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보이는 이유가 궁금한가? 정신 건강 분야에 종사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한 권으로 끝내는 심리학》을 읽어라.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이 각기 다른 이유가 무엇일까? 사랑하고 미워하고 먹고 일하고 춤추는 방식이 왜 사람마다 다른 것일까? 인간의 심리 가운데 몇 퍼센트가 유전의 영향을 받고 몇 퍼센트가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일까? 이런 식의 질문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만 개의 연구실과 상담실에서 매일같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토크쇼나 잡지를 보면 온갖 심리적인 주제로 가득 찬 것을 알 수 있다. 닥터 필Dr. Phil, 닥터 로라Dr. Laura, 닥터 조이스 브러더스Dr. Joyce Brothers 같은 인물들은 누구나 다 아는 이름이다. 하지만 대중심리학의 오락적인 요소가 지나치게 부각되는 바람에 진지한 과학으로서의 진가마저 파묻혀버린 것은 아닐까?
심리학은 학문 분야에서도 인기가 많다.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심리학은 매우 인기 있는 전공 학과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진지함이 지나친 나머지 심리학이 본래 가지고 있는 오락적인 가치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심리학은 두 갈래로 나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재미있는 대중심리학과 학문으로서의 가치를 담은 심리학!
《한 권으로 끝내는 심리학》은 이 두 가지를 담아, 일반 대중이 이해하고 공감하기 쉬우면서도 정확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심리학을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일반인들을 위한 것이지만 기존 교과서의 참고서로 활용될 수도 있다.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이나행동주의Behaviorism를 찾아보고 싶다거나 뇌와 행동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혹은 주요 심리학 이론이 궁금하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은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이렇게 해묵은 질문의 해답을 얻기 쉬운 때라 할 수 있다. 물론 인간의 마음이라는 놀라운 신비를 완전히 이해할 순 없겠지만 우리는 이미 심리 작용에 관해 상당 부분을 파악했고 또 앞으로도 많은 사실들을 파악해나갈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이런 발견은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흥미로운 점은 심리학 분야의 대가들이 예전만큼 대중에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50년 전만 해도 지나가는 사람에게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스키너B. F. Skinner, 장 피아제Jean Piaget와 같은 심리학자들의 이름을 물으면 대부분 알고 있었다. 그 당시에는 심리학의 중요성과 일상생활과 심리학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지금은 심리학이 기여하는 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그리 높지 않다. 그것은 대중심리학이 인기를 얻으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심리학이라는 과학 분야가 오히려 희생양으로 전락해버렸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책의 첫 번째 섹션은 심리학의 기본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심리학의 역사, 선구자, 주요 이론의 변화, 심리의 과학, 뇌와 행동의 관계, 심리학의 발달 주기를 주로 다루고 있다.
후반부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제기되는 의문을 해결하는 데 심리학의 과학적인 방법들이 어떻게 적용되어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 광범위한 인간의 활동에 심리학이 어떤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심리학이 사랑, 결혼, 가족, 성생활에 대해 알려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행복이나 돈과의 관계에 대해 알려주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제7장은 집단 심리와 직장, 여론 조성, 선입견과 인종차별 문제에 관한 집단역학을 살펴본다. 제8장부터 제10장까지는 비정상적인 심리 상태를 다루고 있다. 제8장은 정신병리학, 정신 질환의 종류, 심리요법, 정신 질환 치료제 등 임상 심리를 다룬다. 제9장은 정신적 충격인 트라우마의 심리를, 제10장은 심리와 법이 교차하는 법의학을 살펴볼 것이다.
이 책은 복잡한 주제를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대략 1000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짧으면 한 문단, 길어야 두 문단 정도의 길이로 구성해놓았다. 원만한 글의 흐름을 위해 질문들을 주의 깊게 선별하긴 했지만 이 책은 언제든 펼쳐 들고 편하게 훑어볼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책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읽어도 되고, 특별히 관심 있는 질문들만 골라서 볼 수도 있다.
독자들이 마음대로 읽어주길 바라지만 본래 과학이란 앞서 이루어진 연구를 토대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 책 후반부에 나오는 내용 가운데에는 전반부에서 소개된 주제나 인물들을 참고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책은 일반인들을 위한 책이다. 조금이라도 심리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이 책을 통해 심리학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학술 저널용 과학 논문을 작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과학적인 기준을 적용했다. 또한 여러 참고 문헌을 통해, 그렇지 않으면 적어도 믿을 만한 참고 문헌을 통해 뒷받침된 결론만 포함시키고자 했다. 학술 저널에서는 어떤 내용을 인용하면 문장 중간이라도 바로 그 뒤에 출처를 게재한다. 과학적인 정확성을 위해 이런 방식이 필요하지만 책을 읽기에는 다소 불편하기 때문에 이 책 뒷부분에 참고 도서 목록을 따로 실어놓았다. 특정 분야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은 독자라면 관련 도서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리사 J. 코헨(지은이)
교사, 과학자, 임상의로 종사하고 있는 코헨 박사는 베스 이스라엘 메디컬 센터·뉴욕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과학에서 임상 정신과 부교수이자 심리정신과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코헨 박사는 심리학과 학부생, 대학원생, 정신과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임상 심리를 가르치며 강박 장애, 아동 외상, 성격 장애, 심리 검사, 아편제 중독, 양극 장애, 정신분열증 등 여러 방면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실시했다. 70여 개의 전문지에 기사와 14개의 챕터를 단독 또는 공동 저술했으며 커플들에게 심리 역동과 인지 행동기법을 합친 심리치료를 하고 있다. 또한 정신과 입원실의 심리학 감독관으로 종사하면서 정신분열증, 양극 장애와 같은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정신과 환자들의 집단 치료와 심리 테스트를 감독하고 있다.
고원(옮긴이)
호주 멜버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고 주한호주대사관 에서 근무했다. 현재 동남아에서 봉사활동을 펼치면서 세계 곳곳에 숨어 있는 아름답고 좋은 책들을 국내 독자들에게 소 개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언씽킹』, 『확신의 덫』 『한 권으로 끝내는 심리학』,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 수업 365, 인물 편』,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 수업 365, 현대문화편』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4 들어가는 말 7 옮긴이의 말 제1장 심리학 개요 13 14 심리학의 기초 16 심리학 이전의 심리학 28 다른 문화의 심리학 30 역사와 선구자 37 지그문트 프로이트 42 존 왓슨과 스키너 47 장 피아제 제2장 주요 심리학 운동 53 55 행동주의 66 게슈탈트 심리학 74 정신분석 이론 79 융의 분석심리학 84 인본주의 이론 89 애착 이론 101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 115 신경생물학 이론 117 인지과학 119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126 심리 테스트 133 지능 검사 제3장 뇌와 행동 141 142 신경과학의 기본 개념 145 뇌의 주요 구조 155 뇌의 발달 171 뇌에서 마음까지 172 뇌의 지도 제작 기능 173 감각과 지각 182 주요 행동과 의도적인 행위 187 인지 행동 조절 189 감정 191 감정과 변연계 193 포유류의 감정 195 전두엽의 변연계 제어 198 신경 전달 물질과 기타 뇌 화학 물질 206 환경이 뇌에 미치는 영향 제4장 심리 발달 211 213 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발달 단계 218 에릭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단계 222 마거릿 말러 229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235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240 문화의 역할 243 영아기 250 유아기 257 학령기 전(만 3~5세) 264 학령기(만 6~11세) 270 청소년기(만 12~18세) 283 성인 초기(만 19~40세) 291 성인 중기(만 40~60세) 298 성인 후기(만 60세 이상) 307 인생의 끝: 죽음 제5장 일상생활의 심리: 사랑, 결혼, 임신 311 312 사랑 321 결혼 330 임신 335 자녀 양육 343 가족 350 이혼 357 성性 367 성적 성향 제6장 일상생활의 심리: 동기와 행복 추구 373. 374 행복의 심리학 385 긍정 심리학 391 여러 문화에서의 행복 396 돈의 심리학 406 돈의 생물학 제7장 집단역학과 공론 415 416 집단역학 427 편견과 인종차별 435 도덕성 445 직장에서의 심리 459 공공 영역에서의 심리 465 투표 행태 제8장 이상심리학: 정신 건강과 정신 질환 471 472 정의와 분류 479 주요 정신 질환 493 성격 장애 506 약물 남용 518 심리 치료 535 정신약리학 546 대중심리학 제9장 외상의 심리학 551 552 외상의 심리적 영향 560 아동 학대 565 성적 학대 570 가정 폭력 제10장 법정심리학 583 585 범죄 행동의 심리 593 반사회적 특성의 원인 603 구체적인 범죄 유형 610 정신 질환과 법 ---------------------------- 617 용어 정리 631 참고 문헌 644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