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언어학 입문 : 사법 제도의 언어

법언어학 입문 : 사법 제도의 언어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ibbons, John, 1946- 서경숙, 徐庚淑, 역
서명 / 저자사항
법언어학 입문 : 사법 제도의 언어 / John Gibbons ; 서경숙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20  
형태사항
xiii, 402 p. ; 23 cm
원표제
Forensic linguistics : an introduction to language in the justice system
ISBN
9788930318716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2-395)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aw --Language Law --Terminology Forensic linguistics English language --Semantic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9833
005 20230307150459
007 ta
008 201208s2020 ulk b 001c kor
020 ▼a 9788930318716 ▼g 93700
035 ▼a (KERIS)BIB000015619438
040 ▼a 247023 ▼c 247023 ▼d 21105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40/.14 ▼2 23
085 ▼a 340.14 ▼2 DDCK
090 ▼a 340.14 ▼b 2020
100 1 ▼a Gibbons, John, ▼d 1946-
245 1 0 ▼a 법언어학 입문 : ▼b 사법 제도의 언어 / ▼d John Gibbons ; ▼e 서경숙 옮김
246 1 9 ▼a Forensic linguistics : ▼b an introduction to language in the justice system
260 ▼a 서울 : ▼b 집문당, ▼c 2020
300 ▼a xiii, 40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72-395)과 색인수록
650 0 ▼a Law ▼x Language
650 0 ▼a Law ▼x Terminology
650 0 ▼a Forensic linguistics
650 0 ▼a English language ▼x Semantics
700 1 ▼a 서경숙, ▼g 徐庚淑, ▼e▼0 AUTH(211009)149904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14 2020 등록번호 1118396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와 법의 광범위한 문제에 관해 다루는 책으로서, 응용언어학의 한 분야인 ‘법언어학’을 소개하는 입문서이다. 넓게는 사법 제도에서 쓰이는 언어의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좁게는 언어 증거와 언어 범죄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즉, 언어와 법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넓고도 깊이 있게 논의하고 있다.

음성 언어에서 출발한 사법 제도에 문자 언어가 도입되면서 어떠한 변화가 생겨났는지에서부터 시작하여 법률 조항과 법적 문서의 의미 해석과 법적 맥락에서의 상호작용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소수 민족, 아이들,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인 여성 등 법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마이너리티의 언어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으며, 언어로 인한 범죄인 명예훼손 및 비방, 사기, 협박과 같은 불법 언어 행위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법적 맥락에서 언어 증거가 어떻게 해석되고 언어 증거의 언어학적 감정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다.

이 책은 언어와 법의 광범위한 문제에 관해 다루는 책으로서, 응용언어학의 한 분야인 ‘법언어학’을 소개하는 입문서이다. 넓게는 사법 제도에서 쓰이는 언어의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좁게는 언어 증거와 언어 범죄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즉, 언어와 법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넓고도 깊이 있게 논의하고 있다.
이 책은 음성 언어에서 출발한 사법 제도에 문자 언어가 도입되면서 어떠한 변화가 생겨났는지에서부터 시작하여 법률 조항과 법적 문서의 의미 해석과 법적 맥락에서의 상호작용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소수 민족, 아이들,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인 여성 등 법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마이너리티의 언어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언어 문제의 부분적 해결책이 될 수 있는 통역사나 번역가의 필요성과 수급 방안에 대해서도 다룬다. 아울러 언어로 인한 범죄인 명예훼손 및 비방, 사기, 협박과 같은 불법 언어 행위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법적 맥락에서 언어 증거가 어떻게 해석되고 언어 증거의 언어학적 감정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다. 아울러 이 책은 언어학이 현실 세계에서 발생되는 법적 문제에 대해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 유럽과 미국, 호주 등에서 응용언어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법언어학의 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편집자 서문
예시와 규약

서장: 법과 언어
1. 사법 제도
  1) 전통법
  2) 시리아법
  3) 로마법
  4) 보통법
2. 보통법의 법정 관계자
  1) 판사
  2) 치안 판사
  3) 사무 변호사
  4) 법정 변호사
  5) 기타 법정 직원들
  6) 용어의 구분
3. 커뮤니케이션
4. 책의 구성

제1장 문식성과 법
1.1. 도입
1.2. 음성 언어에 의한 사법 제도
1.3. 문식성으로의 이행
  1.3.1. 계획성의 결과
  1.3.2. 탈문맥화의 결과
  1.3.3. 표준화의 영향
  1.3.4. 예시
1.4. 경찰, 법정의 기록 - 문어와 구어의 상호 작용
1.5. 앞으로의 전망

제2장 정확성의 추구
2.1. 들어가며
  2.1.1. 전문 용어의 사용
  2.1.2. 입안과 해석
2.2. 어휘
  2.2.1. 법률가
  2.2.2. 경찰
  2.2.3. 교도소
2.3. 문법
  2.3.1. 입안과 해석
2.4. 발화 행위
2.5. 담화
  2.5.1. 대명사
  2.5.2. 정의된 대용형
  2.5.3. 대상 지시어를 동반하는 핵심 명사
2.6. 해석
2.7. 지식의 문제
  2.7.1. 지식이냐 담화냐
  2.7.2. 교육자를 위한 과제
2.8. 마무리

제3장 상호 작용과 파워
3.1. 들어가며
  3.1.1. 파워와 유대
  3.1.2. 상호 작용의 규칙
  3.1.3. 일차적 현실과 이차적 현실
3.2.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3.3. 호칭
  3.3.1. 법률가
  3.3.2. 경찰
  3.3.3. 교도소
3.4. 과잉 상세 표현
3.5. 언어적 파워의 표시
  3.5.1. 일관성과 결속성
  3.5.2. 과도하게 복잡한 표현
3.6. 발화 순서의 교대
3.7. 심문
  3.7.1. 심문의 두 가지 목적
  3.7.2. 질문의 강제력
  3.7.3. 질문 분석
3.8. 화용적 전략
  3.8.1. 개인을 표적으로 한 전략
  3.8.2. 증언 내용을 표적으로 하는 전략
  3.8.3. 요약 - 화용적 전략
3.9. 마무리

제4장 스토리를 말하다
4.1. 들어가며
  4.1.1. 장르
  4.1.2. 장르의 유연성
  4.1.3. 장르 안의 장르
4.2. 일차적 현실의 장르
  4.2.1. 법적 장르
  4.2.2. 재판 기록의 장르
  4.2.3. 변호인 - 의뢰인 상담 장르
  4.2.4. 경찰의 취조 장르
4.3. 이차적 현실의 표상
  4.3.1. 들어가며
  4.3.2. 긴장 관계와 적합성
  4.3.3. 이차적 현실을 표상하는 수단
4.4. 일차적 및 이차적 현실의 끼워 넣기-마스터 내러티브와 절차 장르의 상호 작용
  4.4.1. 배심원 재판의 절차
4.5. 마무리

제5장 사법 제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
5.1. 들어가며
5.2. 법의 언어의 어려움
5.3. 난해함의 근원
  5.3.1.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5.3.2. 언어의 특징
  5.3.3. 지식 스키마
5.4. 배심원 설시
5.5. 법률
5.6. 계약서
5.7. 경찰관의 경고
5.8. 마무리

제6장 언어로 인해 법적으로 불리한 입장
6.1. 들어가며
6.2. 아이들
6.3. 원주민 소수 집단
6.4. 제2 언어 화자
6.5. 청각 장애인
6.6. 사회 계층
6.7. 성폭행 사건의 여성 피해자
6.8. 마무리

제7장 격차 메우기
7.1. 들어가며
7.2.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줄이기 위한 대책
  7.2.1. 정보의 제공
  7.2.2. 중개역의 도입
  7.2.3. 법적 절차의 수정
7.3. 사법 통역, 법무 번역
  7.3.1. 들어가며
  7.3.2. 통역사와 번역가의 필요성
  7.3.3. 통역사, 번역가를 지원받을 권리
  7.3.4. 통역사, 번역가의 수급
  7.3.5. 사법 통역과 법무 번역의 과정
7.4. 마무리

제8장 언어에 관한 법
8.1. 들어가며
8.2. 언어권
8.3. 묵비권
8.4. 언어 범죄
  8.4.1. 방법론
  8.4.2. 위증
  8.4.3. 뇌물 수수
  8.4.4. 협박
8.5. 비방
  8.5.1. 모욕적인 언어
  8.5.2. 명예 훼손: 구두 비방와 문서 비방
8.6. 집단의 명예 훼손
  8.6.1. 미움의 언어는 미움의 행동으로 직결되는가
  8.6.2. 법률 제정
8.7. 마무리

제9장 언어 증거
9.1. 들어가며
9.2. 언어 증거와 윤리성 및 허용성
9.3. 커뮤니케이션의 증거
  9.3.1. 방법론
  9.3.2. 문자 표기와 음운
  9.3.3. 전사 기록
  9.3.4. 어휘
  9.3.5. 문법
  9.3.6. 담화
  9.3.7. 사회 언어학
9.4. 작성자(필자) · 화자에 관한 증거
  9.4.1. 발화 음성
9.5. 문어
  9.5.1. 단어
  9.5.2. 형태론
  9.5.3. 담화
  9.5.4. 사회 언어학
  9.5.5. 표절
  9.5.6. 작자 프로파일링
9.6. 마무리

참고논저
소송 사건 및 법안 목록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