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9777 | |
005 | 20201215151809 | |
007 | ta | |
008 | 201208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8940436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645307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2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20z3 | |
245 | 0 0 | ▼a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 ▼b 모두의 책임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진화 플랫폼 / ▼d 김삼향 [외]지음 |
260 | ▼a 서울 : ▼b 맘에드림, ▼c 2020 | |
300 | ▼a 481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 김인엽, 노병태, 정미라, 최영선 | |
504 | ▼a 참고문헌: p. 474-481 | |
700 | 1 | ▼a 김삼향, ▼e 저 |
700 | 1 | ▼a 김인엽, ▼e 저 |
700 | 1 | ▼a 노병태, ▼e 저 |
700 | 1 | ▼a 정미라, ▼e 저 |
700 | 1 | ▼a 최영선,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20z3 | 등록번호 1118393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작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에 이어, 공교육의 근본적인 혁신을 도모하는 고교학점제가 우리 고등학교 현장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해 갖춰져야 할 제반 조건 및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특히 소통과 협력이 원활한 학교문화 만들기, 누군가의 희생을 담보로 하거나 주먹구구식 관례가 아닌 합리적 규범에 근거한 체계적인 학교운영, 학생들이 주체가 된 과목 선택과 진로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 및 편성, 발달적 관점에서의 질적 평가 방안 및 공간의 융통성과 개방성을 높여 학점제에 최적화된 학교 공간혁신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한편, 실제 사례들과 경험자들의 인터뷰를 풍부하게 담았다. 또한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등학교를 위한 고교학점제 정책 및 교육과정 편성 방향과 실천 사례들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 학교교육!
학생 각자의 미래 가치를 존중하는 교육과정!
#책임교육 플랫폼 #고교학점제
소수의 성적우수자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의 꿈을 아우르는
책임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2020년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시작으로 2025년부터는 모든 고등학교에 고교학점제가 적용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세계의 교육은 지식이 아닌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 능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울러 인구절벽 시대에 학생 수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개인차를 무시한 채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양적 서열화는 이미 교육적 한계를 드러낸 지 오래이다. 즉 다양성을 무시한 획일적인 교육 내용을 강제하는 방식은 점점 더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학생들의 능력은 저마다 다르고, 그들 개개인이 역량이나 창의성 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고유한 분야와 영역 또한 서로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작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를 통해 학점제는 공교육이 미래교육으로 진화하기 위한 필연적 시스템 개혁안임을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이미 세계의 많은 교육 선진국들이 도입하고 있는 학점제 사례들도 함께 소개하였다.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고교학점제를 안착시키기에 앞서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갖춰야 할 것들에 관해 한층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이미 학점제를 도입하고 있는 학교들의 사례와 시행착오를 통해 현장의 교사나 관련자들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집필되었다.
학점제는 이수해야 할 과목의 단위 수를 지정하고 과목별 이수조건, 즉 최소학업성취수준에 도달해야만 졸업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출석일수만 채우면 무조건 졸업을 인정했던 과거와 달리 과목별 성취기준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기초학력부진 문제해결 및 책임교육 실현을 위한 하나의 해법을 제시해준다. 무엇보다 기존처럼 모든 학생에게 거의 동일한 교육과정을 강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초소양을 위한 일부 과목을 제외하고 학생 각자의 적성과 진로, 관심 분야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한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정책이나 제도라고 해도 도입 과정에서의 마찰은 불가피하다. 아직도 고교학점제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거두지 않는 현장의 교사들이나 학생, 학부모, 그 외 교육 전문가들도 다수이다. 대체로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제대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크다. 이에 이 책은 각 학교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들에 관해 조목조목 이야기한다. 아울러 실제 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들의 사례와 다양한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명암을 함께 조명함으로써 독자들의 한층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학점제를 통해 학생 각자의 능력과 개성을 존중하는 맞춤형 교육이 실현된다면, 오직 국·영·수 중심으로 성적이 뛰어난 소수 학생에게 초점을 맞추었던 과거의 학교교육에서 벗어나 모든 학생을 아우르는 한층 책임 있는 교육 구현이 가능해진다. 이는 궁극적으로 비정상으로 치달아온 현행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학교문화, 학교운영,
교육과정, 평가는 물론 공간혁신에 이르기까지
고교학점제 실천의 길잡이
학점제가 도입되면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수강하고 싶은 교과목을 스스로 선택해서 공부하고, 소정의 학점을 모두 이수하면 조기졸업도 가능하다. 특히 학점제를 도입하게 되면 각 과목별로 이수를 위한 최소학업성취수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최저학업성취수준을 일정 부분 보장해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한정된 인적·물적 자원 안에서 단위 학교가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학생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이는 많은 관계자들이 여전히 고교학점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거두지 못하게 만드는 주요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이 책은 고교학점제가 공허한 구호나 이상적 제안에 머물지 않고, 교육주체들 간의 긴밀한 협력과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정착해갈 수 있는지를 실제 연구학교나 선도학교의 사례를 통해 독자들이 특히 궁금해하는 내용들을 주제별로 꼼꼼하게 짚어준다. 예컨대 함께 소통하는 학교문화 만들기,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최적의 학교운영 방안, 또 한정된 자원 안에서 어떻게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편성할 것인지에 관해서도 단위 학교 내에서 풀어가는 방법은 물론 타학교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방법도 함께 보여준다. 그리고 양적 서열화가 아닌 학생 개개인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질적 평가 방법에 관한 이야기도 빼놓지 않는다.
무엇보다 이 책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공간혁신에 관한 부분도 놓치지 않고 있다. 하나의 공간에 하나의 고정된 기능만이 부여된 기존의 융통성 없는 공간에서는 학점제를 적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수많은 공간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학점제에 최적화된 다양한 공간혁신 아이디어들을 제안한다. 예컨대 사용자 친화적인 공간 디자인, 멀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 구성, 고정관념에서 탈피한 역동적인 가구 배치, 계단 밑이나 틈새 같은 버려진 공간들의 재발견 등을 해외 및 국내 공간혁신 사례들과 함께 보여주는 한편, 여기에 각 학교의 여건이나 상황에 맞게 응용해볼 만한 아이디어도 함께 제안한다.
정책 그 이상의 패러다임
미래교육으로 나아가는 힘찬 시동
우리나라의 고등학교는 꽤 오랜 시간 마치 대학진학을 위해 존재하는 종속기관인 것처럼 기능해왔다. 그러다 보니 수업의 대부분은 대학입시에 유리한 과목에 초점이 맞춰졌고, 자연스레 입시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소수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입시 비중이 높은 과목이 아니면 외면당하기 일쑤였고, 입시에 뜻이 없는 학생들은 학교교육에서 소외된 채 자신의 적성이나 진로와 무관한 교육과정을 억지로 이수해야만 한다.
최근 여러 가지 불미스러운 입시 관련 문제들이 터져 나오면서 수능 중심의 정시 확대 여론이 높아졌다. 얼핏 생각하기에 정시가 확대되면 입시의 공정성이 확보될 것 같지만, 정시 확대는 공교육의 정상화나 입시 공정성 확보는커녕, 오히려 지역 간 격차만 가중시킬 것이다. 자칫 여론에 휘둘려 정시가 계속 확대된다면 학생 개개인의 진로와 적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다양화는커녕 앞으로도 정시 비중이 높은 과목 위주로 돌아가는 과거의 학교교육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입시 주요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소수 학생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배움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때로는 상위권 학생들의 등급을 올려주는 희생양의 역할을 계속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사례들을 살펴보면 학점제를 통해 학생들은 학교교육 안에서 각자 능력과 적성에 따라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앞으로 고교학점제가 모든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게 되면 고등학교가 오직 입시를 위한 징검다리의 기능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역량과 소질을 계발시키는 학교 본연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도 공교육 안에서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인 진학 및 진로교육을 받으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에 맞춰 과목을 선별해서 수강함으로써 오히려 심화된 학문적 탐구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무한 경쟁을 앞세운 줄 세우기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위하여
고교학점제는 향후 고등학교 교육이 한층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으로 나아가게 해줄 것이다. 아울러 학교교육은 학생 각자의 진정한 성장을 도모하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진화할 것이다. 소수가 아닌 모든 학생의 미래를 존중하는 교육과정 민주화를 통해 아이들을 수직적으로 줄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고유한 개성과 역량을 인정하는 수평적 다양화로 나아갈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자신에게 맞는 창의적 역량을 키워가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맞춤형 교육일 것이다. 고교학점제가 추구하는 학생 맞춤형 교육이란 궁극적으로 모두를 위한 공교육, 책임교육을 실현하는 학교교육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려는 노력인 셈이다.
이 책은 우리 학교 현장에 고교학점제가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러한 준비를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지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아우른다. 그동안 수많은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다양한 정책들 중에는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왜곡되거나,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채 흐지부지된 사례가 적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고교학점제가 올바로 정착하기 위해 행정가나 학교 현장의 교사를 포함한 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은 물론 학생, 학부모들도 학점제를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책에서 제시된 여러 국내 선도학교 및 연구학교는 물론, 마이스터고등학교를 비롯한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점제 사례들을 통해 우리는 학점제가 결코 뜬구름 잡는 허황된 제안이 아니라 제도적으로 충분히 정착할 수 있다는 희망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 흐름 속에서 존재하는 고교학점제의 당위성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간혁신을 통해 학교가 폐쇄적인 공간에서 벗어나 학생과 교사는 물론 지역사회에도 열린 공간으로 거듭나는 과정들을 살펴보며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아이디어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분명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해 멈추지 않는 현장의 불평과 불만의 목소리와 우려의 시선들을 잠재울 만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들을 충분히 발견해낼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점은 고교학점제가 오직 입시 중심의 과열 경쟁 속에서 온갖 병폐에 시달려온 우리나라의 교육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줄 것이라는 점이다. 오직 대입을 위해 존재하고 있다시피 한 현재의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화하는 길임은 물론, 진정으로 모든 학생을 위한 학교교육으로 나아가게 해줄 공정한 정책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특별한 몇 명이 아닌 학생 개개인이 학교 교육 안에서 자신의 능력에 맞게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고교학점제가 추구하는 핵심이자 교육과정 민주화의 핵심이다. 이 책을 통해 고교학점제는 미래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플랫폼임을 다시금 확인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고교학점제가 우리나라 교육계에 미칠 긍정적 영향력을 이해함으로써 앞으로 각 학교 현장에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데 분명 의미 있는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인엽(지은이)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경기도교육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을 거쳐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 (사)행복한미래교육포럼 기획국장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하면서 교육활동과 시민운동 연계의 중요성을 깨닫고 (사)좋은교사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 혁신 포용적 평생학습체제 수립 및 고교학점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새로운 교육철학과 교육 비전 제시를 위해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래교육이 시작되다』, 『학교자치 2』 등이 있다.
정미라(지은이)
경기도 병점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면서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선생님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교원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고교학점제, 진로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를 공저하였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시·도교육청 등의 많은 연구에 공동연구와 국회를 포함한 다수 기관의 토론회에 참여하였으며, EBS 미래교육플러스+ 고교학점제 1·2부에 출연하였다.
김삼향(지은이)
경기도교육청 학교교육과정과 장학사로 고교학점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육정책을 통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학교를 꿈꾸며 (사)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 공부하고 있다. 최근 학교자치 실현을 위한 지역 교육과정 구성 방안,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 연구 등에 함께 참여하였다.
노병태(지은이)
서울 영동고등학교를 거쳐 경북 영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학부에서 수학교육, 중국철학을, 대학원에서 상담, 교육과정을 공부했고,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정회원으로 연구하며, 현장 선생님과 학생을 위한 ‘Dreamy USB’로서 활동하고 있다.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를 공저하였고, 다수의 정책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교사와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공간혁신 관련 강사로 활동하면서, 경북교육청 교육과정지원단 컨설턴트, 교육학부전공 자격연수 지도교수로서 멘토링을 통해 계속 성장하고 있다.
최영선(지은이)
인천 인화여자고등학교 교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교육과정 업무를 담당한 바 있으며, 학교 현장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교실제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컨설팅에 다년간 참여하였다. 학생의 학습 선택권 보장 방안,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운영에 관심이 많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하였다.

목차
"저자의 글_ 모든 학생의 꿈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민주화를 향한 힘찬 시동, 고교학점제 CHAPTER 01 고교학점제와 미래교육 _ “공교육의 새로운 진화를 위한 플랫폼이 열리다!” 01 미래 교육과정,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02 교육과정 주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 만들기 / 03 고교학점제 연착륙을 위한 정책,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CHAPTER 02 고교학점제와 학교문화 _“왜 학교문화가 중요한가?” 01 우리가 학교문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2 새로운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 무엇을 극복해야 하는가? / 03 낡은 고정관념을 벗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라 ! CHAPTER 03 고교학점제와 학교운영 _“학교, 무엇을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01 우리는 왜 협력적 소통에 주목하는가?/ 02 학교 업무를 재구조화하라! / 03 학사운영 관리를 재구조화하라! CHAPTER 04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_“교육과정과 연계한 진로교육,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01 고교학점제는 진로교육의 도약대이다! / 02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CHAPTER 05 고교학점제와 학교교육과정_“학교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1 학교교육과정의 의미와 절차를 알아보자!/ 02 학생중심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3 해외의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CHAPTER 06 고교학점제와 평가 _“양적 서열화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질적 평가로!” 01 책임교육의 차원에서 평가를 바라보라!/ 02 고교학점제 안에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HAPTER 07 고교학점제와 학교 공간혁신 _“모두를 위한 학교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다!” 01 학교 공간은 왜 중요한가?/ 02 고교학점제를 위한 학교 공간혁신의 기준은 어떻게 다른가?/ 03 사용자들이 함께 설계에 참여하는 학교 공간혁신 / 04 성공적인 학교 공간혁신을 위한 절차를 마련하라/ 05 국내의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혁신 사례를 찾아서/ 06 해외 사례로 살펴보는 학교 공간혁신 아이디어 CHAPTER 08 특성화고등학교와 고교학점제 _“학교 본연의 정체성을 극대화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라! 01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02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할 것인가?/ 03 특성화고등학교를 위한 교육과정 운형모형의 개발 과정 특징/ 04 고교학점제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모형/ 05 사례로 살펴보는 직업계고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06 특성화고등학교 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