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9761 | |
005 | 20201215135401 | |
007 | ta | |
008 | 201208s2020 ulka 000c kor | |
020 | ▼a 9791196977498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5617617 | |
040 | ▼a 124008 ▼c 124008 ▼d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028.1 ▼2 23 |
085 | ▼a 028.1 ▼2 DDCK | |
090 | ▼a 028.1 ▼b 2020z19 | |
100 | 1 | ▼a 이성갑 |
245 | 1 0 | ▼a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 / ▼d 이성갑 지음 |
260 | ▼a 서울 : ▼b Storehouse, ▼c 2020 | |
300 | ▼a 263 p. : ▼b 천연색삽화 ; ▼c 21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28.1 2020z19 | Accession No. 1118392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꿈은 결코 돈벌이가 아니고 대단한 것도 아니다. 사소함과 소소함이 꿈의 시작이다. 그렇게 시작 된 것이 책이었다. 책을 사고 책을 읽는 것이 삶의 낙이었고 책 때문에 돈을 벌었다. 어느 날 보니 책이 전부가 되어 따뜻한 남쪽 나라 부산에서 ‘주책공사’라는 동네 책방을 운영하며 책을 팔고 있다.
주책공사에 가면 책이 좋아서 망할 때까지 나누며 사는 한 사람이 있다. 그 책방 주인이 책을 썼는데 신기한 책이다. 책 속에 자신의 이야기는 중간중간 숨겨놨고 책 속에서도 하는 이야기는 다른 작가들의 책 이야기다. 그것도 무려 100권. 그러면서 책 속에 담긴 책과 작가님들이 더 알려지길 바라는 사람이다.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는 책을 소개하는 책이지만 스포가 없는 책이다. 이 책을 읽게 되면 그 속에서 마음이 열리는 또 다른 책으로 인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책 100권을 한 권에 담아 읽어나가면서 사색할 수 있다는 것. 이보다 더 행복한 일이 있을까?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라는 책 한 권을 통해 책 100권을 알게 된다면 또 다른 기쁨과 선물이 될 것이다.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좋아하는 게 무엇입니까?”
좋아하는 게 꿈이 될 수만 있다면
우린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나은 삶이 될 것이다.
꿈은 돈을 버는 수단이 아니다.
좋아하는 걸 하면서 사는 것. 많은 사람들의 꿈이기도 하다. 그 꿈을 이루며 살아가는 부산에 동네 책방 ‘주책공사’의 주인. 그러나 그의 말처럼 꿈은 돈을 버는 수단이 아니었다. 매달 나가야 하는 월세와 정산은 꿈이 아닌 돈으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매달 신기한 일이 일어난다. 부산의 동네 책방이지만 주문은 전국에서 인스타그램 DM으로, 문자 메시지로 연락이 온다. 그렇게 주책공사의 한 달 월세와 정산을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매일 책을 읽고 택배를 포장하면서 오늘도 삶을 일어나가는 사람. 책을 사고 책 읽는 일을 꾸준히 했고 그것이 꿈이 되어 꿈으로 먹고 사는 사람이 되어 그 은혜를 갚기 위해 살아가고 있다. 그가 인스타그램의 1만 2천 명 팔로워에게 책을 소개하면 많은 사람들이 믿고 구매하여 읽는다. 그리고 그 생각들을 공유한다. 이렇게 하던 책 소개를 아예 책으로 출간한 것이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다. 책에 담긴 100권의 책은 사심없이 담은 책들이다. 유명 베스트셀러 책들을 모아놓지도 않았다. 출판사들과 작가들에게 무엇을 받은 것도 없고 오로지 자신이 읽고 좋은 책을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담았다. 그의 마지막 바램은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에 소개 된 100권의 책이 더 많이 알려져 읽히는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성갑(지은이)
주책공사 소장 따뜻한 남쪽 나라 부산에서 동네 책방 ‘주책공사’를 운영한다. 이웃에게 나눠 주다 망하는 게 인생의 죄종 꿈이며,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오늘을 치열하게 읽는다. 서점 주책공사: 책방 제 책상에는 늘 책이 많습니다. 책을 사고, 받아도 책방에 바로 놓을 수 없는 책방. 읽은 책만 파는 곳. 이곳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는 주책공사입니다. 읽는 시간: 11시에 펼치고 20시에 덮습니다. 쉬는 시간: 매주 일요일 오시는 길: 부산시 중구 대청로 141번길 15-1. 1층 주책공사

Table of Contents
"12_ 우리 엄마는 그런 엄마다 14_ 제대로 미쳐가고 있다 16_ 난 미친놈이 확실하다 18_ 삶은 관계다 22_ 아이가 엄마에게 묻습니다 24_ 정말 충격적입니다 26_ 인생 책 28_ 사람은 가능성이다 30_ 인생은 이상하게 흐른다 32_ 손님과의 대화 34_ 엄마의 삶이 없다 38_ 사랑이라는 말은 존재하니까 40_ 책임질 줄 알아야 한다 42_ 그런 때가 있다 44_ 사랑은 모든 것에 앞선다 46_ 어떻게 죽고 싶은지 48_ 내가 있어야 네가 있는 것이다 52_ 글을 쓰기 위해 태어난 사람 54_ 나도 모르게 빠져든다 58_ 사람은 그냥 믿는 것 60_ 뭐든지 재미가 있어야 한다 64_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 68_ 혼자여도 난 썩 괜찮은 녀석이니까 72_ 우리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살자 76_ 사랑은 남는 장사다 80_ 난 누군가에게는 개새끼다 84_ 우리는 가능성이다 86_ 난 그렇게 살기로 다짐했다 88_ 그저 흘러가게 두면 되는 것 90_ 서툰 건 당연하다 94_ 이름이 주는 의미 98_ 너라는 또 다른 이름 100_ 엄마 102_ 똥 겁나 마려운 갑다 106_ 모르면 알게 해야 합니다 110_ 아름답다 112_ 결혼은 꼭 해야 하나요 116_ 가는 호칭이 평등해야 오는 행동이 곱다 120_ 야경은 그렇다 122_ 나는 개다 124_ 열심히 살다 보면 잘 될 줄 알았다 128_ 행복하기 위해 떠나는 여행인데 132_ 음악과 철학 136_ 관계는 늘 어렵다 140_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142_ 트라우마 146_ 책에서 바람이 불고 148_ 길 위에서 중얼거리자 150_ 그 사람을 향한 다짐 152_ 희대의 개소리 중 하나 156_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는다는 것 158_ 주위를 둘러보는 것 160_ 가장 아름다운 일 164_ 때 묻지 않는 기록 166_ 와 진짜 또라이다 168_ 나도 너도 쓸모있다 170_ 레몬은 시다 172_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174_ 나는 이 조르바 성갑 176_ 글이 활짝 피고 또 핀다 178_ 예쁘냐 182_ 함께 쓸 때 우산이 더 좋은 건 184_ 그 사람 때문에 186_ 지랄하지 말자 190_ 한 사람이 떠올랐다 192_ 비단 위에 꽃을 더하는 것 195_ 애써 붙잡고 싶었는지도 196_ 간다는 것과 온다는 것 200_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202_ 그 사람이 진짜라는 증거 206_ 나는 내가 아니다 208_ 온전히 너라서 210_ 인간의 존재는 무겁지 않다 212_ 이게 나라냐 214_ 걷는다는 것은 216_ 사랑하기 좋은 날이다 219_ 돈은 이런 데 쓰는 거다 220_ 언어는 한 사람을 나타낸다 222_ 만약 그대가 224_ 인정한다는 것은 226_ 나 자신을 위해 무엇인가 한다는 것 230_ 진정한 인정 232_ 갑질은 타인에게 하는 것이 아니다 236_ 사랑은 한 사람이 아니다 238_ 삶과 죽음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242_ 삶과 음악은 아름답다 244_ 양식도 이런 양식이 없다 246_ 수학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는지 248_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250_ 손가락질하지 마라 254_ 개취와 취저 256_ 개 같은 세상이다 258_ 역사는 어렵다 260_ 고기는 못 잡아도 괜찮다 262_ 애써 위로하는 유일한 방법 264_ 우리는 그렇다 268_ 눈은 언젠가는 녹는다 272_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죽는 것도 274_ 나는 타인으로 인해 존재한다 276_ 살인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