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9597 | |
005 | 20201214101150 | |
007 | ta | |
008 | 201208s2020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65363482 ▼g 03190 | |
035 | ▼a (KERIS)BIB00001561602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73 ▼a 370.114 ▼2 23 |
085 | ▼a 173 ▼2 DDCK | |
090 | ▼a 173 ▼b 2020z1 | |
100 | 1 | ▼a 이미숙, ▼d 1958- |
245 | 1 0 | ▼a 한국의 효사상과 인성교육 : ▼b 『명심보감』, 『사자소학』, 『소학』등 옛 교재로 배우는 인성교육의 방법과 실천 / ▼d 이미숙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땅, ▼c 2020 | |
300 | ▼a 207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01-207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73 2020z1 | 등록번호 1118390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는 날이 갈수록 인간다운 인간을 기르고자 하는 인성교육이 절실하다. 그에 맞게 『한국의 효사상과 인성교육』은 1부에서는 과거 인간교육의 으뜸으로 삼았던 『명심보감』, 『사자소학』, 『소학』에 내재된 효사상과 실천 방법, 인성교육 등을 수록하고 있으며 2부에서는 『명심보감』을 중심으로 옳고 바른 마음씨를 갖게 하는 우리나라의 인성교육 방법과 실천을 피력하고 있다.
『명심보감』, 『사자소학』, 『소학』의 옛 교재로 인성교육의 위기에서 벗어난다
『한국의 효사상과 인성교육』은 『명심보감』, 『사자소학』, 『소학』을 기본 교재로 삼고 있는 만큼 서문에서는 이 세 가지 서적의 의의를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옛 문헌들을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인간교육의 으뜸으로 삼았던 효사상과 실천 방법, 인성교육 등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2부에서는 『명심보감』만을 중점으로 옳고 바른 마음씨를 갖게 하는 우리나라의 인성교육 방법과 실천을 살펴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어느 때보다도 인성교육이 절실한, 인성교육의 위기에 처해 있다. 학생이 선생을 폭행하거나, 자식이 부모를 살해하는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일들이 언론에 보도되는 시기에 『한국의 효사상과 인성교육』의 저자 이미숙은 역사를 가르치기 이전에 사람됨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지식보다 먼저 인성을 갖추기를 권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미숙(지은이)
1958년 청주에서 태어나 청주여자고등학교,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상명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영위원, 청주문화원 이사, 한국사상문화학회 섭외이사,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학술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청주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교양한국사』, 『고려시대 기술관 연구』 이외에 논문으로 「고려시대 진휼제도」, 「고려시대 기술관의 사회적 지위」, 「고려시대 기술관의 역할」, 「고려시대 역관연구」, 「고려시대의 의관」, 「중종대 『이륜행실도』에 대한 일고찰」, 「『이륜행실도』의 편찬과 교화정책」, 「율곡의 효교육사상-『학교모범』을 중심으로」, 「『명심보감』의 효윤리와 인성교육론」 등 30여 편이 있다.

목차
"서문 제1부 한국의 효사상 1장. 『명심보감』의 효윤리와 인성교육론 2장. 『사자소학』에 내재된 효사상 3장. 주자(朱子)의 『소학』과 한국의 『사자소학』의 효사상 비교 연구 4장. 『사자소학』에 나온 경학적 배경 - 주로 효를 중심으로 제2부 한국의 인성교육 - 『명심보감』을 중심으로 1장. 『명심보감』 「정기」 편 2장. 『명심보감』 「존심」 편 3장. 『명심보감』 「계성」 편 4장. 『명심보감』 「성심」 편 5장. 『명심보감』 「계선」 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