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9201 | |
005 | 20201207211828 | |
007 | ta | |
008 | 201207s2020 ulka 000c kor | |
020 | ▼a 9791186118399 ▼g 03180 | |
035 | ▼a (KERIS)BIB000015685396 | |
040 | ▼a 211028 ▼c 21102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527 ▼2 23 |
085 | ▼a 616.8527 ▼2 DDCK | |
090 | ▼a 616.8527 ▼b 2020z12 | |
100 | 1 | ▼a Johnstone, Matthew |
245 | 1 0 | ▼a 굿바이 블랙독 : ▼b 내 안의 우울과 이별하기 / ▼d 매튜 존스톤 지음; ▼e 채정호 옮김 |
246 | 1 9 | ▼a I had a black dog : ▼b his name was depression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생각속의집, ▼c 2020 | |
300 | ▼a 108 p. : ▼b 천연색삽화 ; ▼c 16x21 cm | |
546 | ▼a 영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 |
700 | 1 | ▼a 채정호, ▼e 역 |
900 | 1 0 | ▼a 존스톤, 매튜,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16.8527 2020z12 | Accession No. 1513519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울증을 블랙독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한 심리그림책이다. 광고카피라이터이자 삽화가로서 저자의 특기를 십분 발휘한 이 책은 블랙독을 통해 우울증에 빠진 사람들의 증상과 심리상태를 절묘하게 표현한다. 블랙독은 저자의 일상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면서 그를 무기력하게 만든다. 수시로 나타나서 기분을 축 쳐지게 하고, 기억력과 집중력도 갉아먹고, 자존감까지 앗아간다.
입맛도 떨어뜨리며 수면장애도 일으킨다. 이뿐만 아니다. 온갖 부정적인 말을 내뱉게 하고, 심지어 사랑하는 감정까지 빼앗아간다. 살아 있어도 살아 있지 않은 기분, 우울증이 그렇다. 저자는 이런 우울증의 고통을 “세상으로부터 완벽하게 고립되어 자신과 블랙독만 존재하는 것” 같았다고 고백한다.
우울증에서 벗어나게 하는 편안한 심리그림책
지금 그 어떤 최악의 상태에 있더라도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나 자신을 믿고 사랑하는 일이다.
18년간 우울증을 숨겨온 저자가 재난을 계기로 발견한 일상의 소중함
우울증은 일상의 작은 활동까지도 바꿔놓는다. 평소 건강하던 사람도 우울증에 빠지면 시든 꽃처럼 생기를 잃는다. 좋던 입맛도 떨어지고, 수시로 피곤하고, 불면으로 잠을 뒤척인다. 평소 재미있던 일들도 시들해진다. 우울증이 무서운 것은 이처럼 일상의 활기를 빼앗아 가버리는 데 있다.
저자는 이 같은 우울증을 18년간 비밀로 숨겨오다가 ‘911 뉴욕 테러’사건을 계기로 삶의 전환점을 맞는다. 세계무역센터의 첫 번째 건물이 무너지는 끔찍한 광경을 목도한 순간, 저자는 “인생은 믿을 수 없을 만큼 짧다”는 강렬한 깨달음을 얻는다. 그리고 이날을 계기로 우울증 치료에 전념하기 시작한다.
자리에 앉은 지 4시간 만에 완성했다는 이 책은 대략 10분이면 다 읽을 정도로 얇지만 그 어떤 심리서보다 쉽고 명쾌하게 우울증에 대해 들려준다. 저자가 직접 겪은 우울증의 증상과 치료과정, 그리고 회복 후 깨달은 삶의 의미는 코끝이 찡해질 만큼 감동적이다. 책을 읽다보면 마치 나의 우울증을 누군가가 들려주는 것처럼 특별한 공감이 느껴진다. 또한 이 책에는 우울증 자가진단테스트와 처방 팁도 함께 제안하고 있어 최적의 우울증 심리방역 도서가 될 것이다.
우울한 사람들의 내면을 예리하고 생생하게 표현한 심리그림책
이 책의 큰 매력은 저자가 우울증을 블랙독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한 심리그림책이라는 점이다. (블랙독은 윈스턴 처칠이 자신의 우울증을 ‘검은 개Black dog’라고 불렀고, 이때부터 우울증의 별칭으로 쓰였다) 광고카피라이터이자 삽화가로서 저자의 특기를 십분 발휘한 이 책은 블랙독을 통해 우울증에 빠진 사람들의 증상과 심리상태를 절묘하게 표현한다. 블랙독은 저자의 일상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면서 그를 무기력하게 만든다. 수시로 나타나서 기분을 축 쳐지게 하고, 기억력과 집중력도 갉아먹고, 자존감까지 앗아간다. 입맛도 떨어뜨리며 수면장애도 일으킨다. 이뿐만 아니다. 온갖 부정적인 말을 내뱉게 하고, 심지어 사랑하는 감정까지 빼앗아간다. 살아 있어도 살아 있지 않은 기분, 우울증이 그렇다. 저자는 이런 우울증의 고통을 “세상으로부터 완벽하게 고립되어 자신과 블랙독만 존재하는 것” 같았다고 고백한다.
우울증을 앓으며 깨달은 것은 병을 회피하지 않고 마주하는 용기
우울증 때문에 자신의 일상을 잃어버리자, 저자는 블랙독과 마주하기로 결단한다. 용기는 위기의 순간에 발휘된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직접 실천했던 블랙독을 효과적으로 길들이는 방법을 소개한다. 몸을 움직이기, 기분 기록표 쓰기, 전문가에게 도움 받기, 가까운 사람들에게 감정 표현하기, 스트레스 멀리하기, 요가나 명상하기 등 실질적인 조언이다. 저자는 “우울증을 숨기는 데 소모한 에너지의 일부라도 치료하는 데 썼다면 두 배는 더 빨리 회복되었을 거”라며 자성의 목소리를 전한다.
“나에게 블랙독이 있었다는 것을 감사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 녀석 덕분에 내가 잃은 것을 다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었다. 지난 삶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고, 내 삶을 단순화시켰으며, 내가 가진 문제로부터 도망가기보다는 문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법을 배웠다.”(본문 중에서)
우울증을 이기는 최고의 심리방역은 나와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
최근 들어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 책을 번역한 채정호 교수(가톨릭의대 정신건강의학과)는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신체적 ? 정신적 소진을 초래하고, 그것은 곧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최근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이른바 ‘코로나 블루(코로나 우울증)'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채정호 교수는 코로나 블루를 높이는 원인으로 전염병에 대한 불안감, 뉴스? SNS 등 정보과잉,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활동량 저하 등을 지적한다. 평소 불안과 우울이 높은 사람들이 코로나 블루에 더 취약할 수 있으니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또한 코로나 블루를 예방하는 최고의 심리방역으로는 가까운 사람들과 심리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조언한다. 자주 만나지는 못하더라도 전화나 문자, 메신저 등을 통해 서로의 친밀감을 유지하는 것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서 우울증(블랙독)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몸은 멀어도 마음은 가까이.’내 안의 블랙독과 코로나 블루를 이기는 법은 이처럼 의외로 단순하고 명쾌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매튜 존스톤(지은이)
예술가, 작가 및 사진작가. 광고업계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다가, 이후 광고계에서 얻은 메시지를 간결하게 전하는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러스트에 기반한 심리서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자신의 우울증 경험을 담은 《굿바이 블랙독》을 비롯하여 《회복탄력성에 관한 작은 책》 등 주로 정신 건강, 명상,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웰빙 등의 주제를 다뤄왔다. 정신 건강과 이미지의 힘에 대하여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기조연설을 했으며, <2018 Australian Mental Health Awards>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다.
채정호(옮긴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강남성모병원(현 서울성모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박사를 취득했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의과대학 두뇌자극연구실 펠로우를 이수했으며 현재 서울성모병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잘 치유되지 않는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도입에 관심이 많아 국내 최초로 경두개자기자극술을 도입하는 등 난치성 트라우마 및 정서장애를 주로 치료, 연구하고 있다. 20년 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연구회를 창설하여 새로운 트라우마 전문기술을 정신의학계에 지속적으로 전파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의 대규모 연구과제인 재난충격해결 연구협의체 대표로서 우리나라 재난정신건강 관련 연구의 기틀을 잡았으며, 재난코호트 구축 및 추적과제의 책임연구자로서 세월호 참사 유가족 및 생존자 등을 포함한 각종 재난경험자 코호트 추적을 시행해왔다. 트라우마 분야의 다학제 전문학회인 대한트라우마스트레스학 창립 회장이며 한국인 최초로 국제트라우마연구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의 운영이사(Boards of directors)를 역임했다. 트라우마 및 불안, 우울 등의 정서장애를 주제로 400여 편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 《이런 세상에서 지혜롭게 산다는 것》 《소중한 사람을 떠나보냈습니다》 《퇴근 후 심리카페》 등과 공저로 《한국인의 울분과 외상후울분장애》 《바른 마음을 위한 움직임》 《명상과 의학》 《불안한 당신에게》 등이 있다. 현재 긍정네트워크 옵티미스트 클럽 회장과 긍정학교 교장으로서 활발히 활동 중이며 유튜브 채널 [채정호 TV]에서 정신의학과 심리문제를 주제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