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 독자적 그리스도교 문명을 만든 유럽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최종원
Title Statement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 독자적 그리스도교 문명을 만든 유럽 / 최종원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홍성사,   2020  
Physical Medium
411 p. : 삽화, 연대표 ; 21 cm
Series Statement
믿음의 글들 ;371
ISBN
978893650371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94-40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8957
005 20201210095735
007 ta
008 201204s2020 ulkaj b 001c kor
020 ▼a 9788936503710 ▼g 03900
035 ▼a (KERIS)BIB000015692300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270.3 ▼2 23
085 ▼a 270.3 ▼2 DDCK
090 ▼a 270.3 ▼b 2020
100 1 ▼a 최종원
245 1 0 ▼a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 : ▼b 독자적 그리스도교 문명을 만든 유럽 / ▼d 최종원 지음
246 1 1 ▼a The medieval church history, revisited
246 3 1 ▼a Medieval church history, revisited
260 ▼a 서울 : ▼b 홍성사, ▼c 2020
300 ▼a 411 p. : ▼b 삽화, 연대표 ; ▼c 21 cm
440 0 0 ▼a 믿음의 글들 ; ▼v 371
504 ▼a 참고문헌(p. 394-406)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270.3 2020 Accession No. 11183854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3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2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초대교회사 다시 읽기》(2018)로 독자들의 관심을 모았던 최종원 교수의 ‘다시 읽기’ 시리즈 두 번째 책이다. 중세는 476년 서로마 멸망에서 시작해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까지를 가리킨다. 흔히 이 시기는 ‘암흑기’, ‘교황 지배 시대’로 여겨지며, ‘면벌부’와 ‘십자군’이라는 상징으로 주로 기억된다. 즉 부정되고, 개혁되어야 할 대상으로 천 년이 규정되어 왔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중세 전반과 중세교회를 재평가한다. 중세와 종교개혁 그리고 근대를 연속선상에 놓고, 교황제뿐 아니라 아래로부터 중세를 형성한 수도회와 외부에서 중세 형성을 추동한 비잔틴과 이슬람 문명 등의 기여도 다시 평가된다.

‘다시 읽기’ 시리즈 그 두 번째, 중세교회를 다시 읽는다!
바울·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루터·칼뱅
그 사이에 놓인 ‘천 년’의 공백을 메우는 강의!

중세는 단절된 1,000년이 아니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초대교회사 다시 읽기》(2018)로 독자들의 관심을 모았던 최종원 교수의 ‘다시 읽기’ 시리즈 두 번째 책이다. 중세는 476년 서로마 멸망에서 시작해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까지를 가리킨다. 흔히 이 시기는 ‘암흑기’, ‘교황 지배 시대’로 여겨지며, ‘면벌부’와 ‘십자군’이라는 상징으로 주로 기억된다. 즉 부정되고, 개혁되어야 할 대상으로 천 년이 규정되어 왔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이러한 평가가 계몽주의 시대에 생겨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임을 밝힌다. 지금 역사학계는 중세를 암흑기로 보지 않으며,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벗어나 독자적 그리스도교 문화를 형성하여 르네상스와 근대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고 보고 있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중세 전반과 중세교회를 재평가한다. 중세와 종교개혁 그리고 근대를 연속선상에 놓고, 교황제뿐 아니라 아래로부터 중세를 형성한 수도회와 외부에서 중세 형성을 추동한 비잔틴과 이슬람 문명 등의 기여도 다시 평가된다.
교회사는 교회와 사회의 상호작용을 기록해야 한다는 지은이의 지론은 《초대교회사 다시 읽기》와 함께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까지 일관된다. 중세교회를 통해 이어져 온 유의미한 성취를 객관적으로 돌아보는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바울 및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루터와 칼뱅 사이에 놓인 1,000년 이상의 역사 인식 공백을 메우는 시도이자, 신학적·사회적으로 경직된 한국 교회를 이끌어 갈 상상력으로의 초대이다.

추락과 상승을 반복한 중세 교회

중세교회의 대표적 권력이라 할 교황은 중세의 변화를 가로막기만 한 것이 아니라 추동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반도를 침입한 훈족 지도자 아틸라와 협상을 벌여 로마 파괴를 막은 이는 황제가 아니라 당시 교황 레오 1세였다. 교황 지배의 시대라는 이미지를 만든 대표적 교황인 인노켄티우스 3세는 세속 군주들과의 투쟁 가운데에서 교황권의 전성기를 성취했으며, 그는 지금까지도 가톨릭 체제에 영향력을 미치는 제4차 라테란 공의회를 개최하였다.
아래로부터의 변화도 있었다. 중세 그리스도교의 사상적 기반과 영감의 원천은 주변부라 할 수도회였음을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밝힌다. 여기에는 이슬람, 비잔틴과 구별되는 유럽의 정체성을 형성한 켈트 수도회와 베네딕투스 수도회가 있었다. 또한 제도 교회의 하향식 개혁에 반작용으로 제도 교회 밖 운동이 일어난다. 이는 제도 교회가 수용하지 않은 카타리파(알비파)와 발도파 등 이른바 이단 운동과 도미니크회, 프란체스코회 등 제도 교회가 수용한 탁발수도회로 나타났다.
대립 교황이 서로 정당성을 다툴 때 전 교회 공동체를 대표하는 공의회가 교황보다 우위에 있다는 공의회주의가 대두되었다. 세속 권력의 주도, 교황에게 다시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공의회주의는 중세 말 가톨릭교회 개혁의 모델을 제시했고, 근대 의회민주주의의 한 형태를 예시했다. 중세 1천 년은 교황 지배와 십자군, 면벌부로 다 설명할 수 있는 시간이 아니라 다양한 힘과 사건들이 형성해 간 시간이었다.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의 예시를 통해 한국 개신교가 중세교회에서 배울 바가 있음을 설파한다.

‘다시 읽기’ 시리즈 두 번째 책

2018년 출간된 《초대교회사 다시 읽기》는 그해 〈국민일보〉 최고의 책, CTK(크리스채너티투데이) 지평 확장 특별상을 수상하며 독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지은이는 “한국 개신교가 과도한 교리적·신학적 틀로 정체성을 확인해 온 흐름에 대한 답답함을 반영한 것 같”다고 첫 책이 관심을 받은 이유를 짚었다. “좀처럼 변할 것 같지 않은, 강고한 벽에 둘러싸인 한국 개신교 전반의 역사인식”과 “이 작업이 무슨 의미가 있냐는 회의적 마음”이 큰 어려움이었다는 지은이는 그러나 “여전히 이 시대는 종교에 길을 묻고 있으며, 유럽 천 년 동안 교회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사회의 요구에 응답”했다며 소회를 밝혔다. ‘다시 읽기’ 시리즈는 《종교개혁사 다시 읽기》로 2021년 마무리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최종원(지은이)

유럽 중세사를 전공한 역사학자로 캐나다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VIEW 교수다. 경희대학교에서 회계학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서양사를 전공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중세 말 잉글랜드의 대학과 종교 담론에 관한 논문으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문주의 정신의 존중이 한국 교회 회복의 시작이라고 믿는 그는 인문학적 시각과 통찰로 한국 교회를 읽어 나가는 글쓰기와 강의를 하고 있다. 특히 초대교회로부터 근현대 교회의 역사를 신학적 관점이 아닌 역사적 관점으로 풀어 나가는 ‘교회사 다시 읽기 3부작’을 기획하고 집필 중이다. 그 첫 책 《초대교회사 다시 읽기》(홍성사)는 <국민일보> ‘2018 최고의 책’과 <크리스채너티투데이CTK> ‘2019 도서대상’에 선정되는 등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으며, 최근 두 번째 책인 《중세교회사 다시 읽기》(홍성사)를 출간했다. 또 한편으로 중세부터 근현대까지를 포괄하는 유럽 교회사의 흐름을 오늘 한국 교회의 상황과 연결하여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공의회, 수도원, 이단 운동 등 우리에게 친숙한 것 같지만, 정작 개신교의 역사에서는 낯선 주제들을 살펴봄으로 오늘날 교회가 우리 사회와 어떻게 조응해 나갈 것인가를 고민한다. 《공의회 역사를 걷다》는 바로 그 ‘낯선 전통’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그 외에도 《왜 존 왕은 마그나 카르타를 승인했을까?》, 《서양문화사강의》를 썼으며, 《12세기 르네상스》, 《UBC 열왕기》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캐나다의 대자연 속에서 캠핑과 카약킹을 즐기는 자연주의자로, 텍스트를 넘어 콘텍스트와 조우하는 페이스북 글쓰기를 통해 대중과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다. 페이스북 www.facebook.com/jongwon.choi.58726823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독자적 그리스도교 문명을 만든 유럽 

1. 중세사와 중세교회 - 중세 유럽의 형성
2. 무너진 서로마 - 서유럽 선교와 가톨릭화
3. 교황제, 전통을 창조하다 - 교황제의 형성
4. 아래에서 형성되는 힘 - 켈트 수도회와 베네딕투스 수도회
5. 두 외부 세력 - 비잔틴 제국과 이슬람, 동서 교회 분열
6. 세속권력과의 투쟁과 교황권 - 클뤼니 개혁 운동과 서임권 논쟁
7. 문명의 공존과 충돌 - 콘비벤시아와 십자군
8.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다 - 12세기 르네상스와 대학의 탄생
9. 가장 큰 빛, 가장 짙은 그림자 - 인노켄티우스 3세와 제4차 라테란 공의회
10. 종교적 공포와 대중의 욕망이 만나다 - 연옥과 면벌부
11. 교권 강화의 반작용 - 대중 이단과 탁발수도회
12. 가톨릭교회, 분열되다 - 아비뇽 유수와 교회 대분열
13. 주도하는 세속 권력 - 콘스탄츠 공의회와 공의회주의
14. 한 세기 앞선 미완의 종교개혁 - 위클리프와 롤라드 운동

에필로그 - 낯설지만 열린 마음으로 
주 
중세교회 연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