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8942 | |
005 | 20230828163452 | |
007 | ta | |
008 | 201204s2017 tjka MB 000c kor | |
020 | ▼a 9788975996283 ▼g 93920 | |
035 | ▼a (KERIS)BIB000014515552 | |
040 | ▼a 221022 ▼c 221022 ▼d 221022 ▼d 211009 | |
082 | 0 4 | ▼a 355.0209 ▼2 23 |
085 | ▼a 355.0209 ▼2 DDCK | |
090 | ▼a 355.0209 ▼b 2017z2 | |
245 | 0 0 | ▼a 전쟁과 문명 = ▼x War and civilization / ▼d 김응종 외 |
260 | ▼a 대전 : ▼b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7 | |
300 | ▼a 373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연숙, 김원중, 김정숙, 박윤덕, 서영식, 성백용, 이내주, 장은주, 차전환, 황대현 | |
536 | ▼a 이 저서는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임 ▼g (NRF-2012S1A5A2A03034238) | |
700 | 1 | ▼a 김응종, ▼g 金應鍾, ▼d 1955-, ▼e 저 ▼0 AUTH(211009)5551 |
700 | 1 | ▼a 김연숙, ▼g 金連淑, ▼d 1967-, ▼e 저 ▼0 AUTH(211009)83935 |
700 | 1 | ▼a 김원중, ▼e 저 |
700 | 1 | ▼a 김정숙, ▼e 저 |
700 | 1 | ▼a 박윤덕, ▼e 저 |
700 | 1 | ▼a 서영식, ▼e 저 |
700 | 1 | ▼a 성백용, ▼g 成白庸, ▼d 1962-, ▼e 저 ▼0 AUTH(211009)126613 |
700 | 1 | ▼a 이내주, ▼g 李來珠, ▼d 1957-, ▼e 저 ▼0 AUTH(211009)59162 |
700 | 1 | ▼a 장은주, ▼e 저 |
700 | 1 | ▼a 차전환, ▼g 車轉桓, ▼d 1959-, ▼e 저 ▼0 AUTH(211009)62464 |
700 | 1 | ▼a 황대현,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209 2017z2 | Accession No. 1118385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2년 한국연구 재단의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한 연구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이 연구는 3년간 진행되었는데, 1년차 연구의 주제는 “문명의 충동”, 2년차 연구의 주제는 “전쟁과 평화의 수사학”, “3년차 연구의 주제는 ”전쟁의 사회사“이다.
이 책은 2012년 한국연구 재단의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한 연구(연구주제: 전쟁과 문명 - 생태인문학적 전쟁사 연구)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이 공동연구는 전쟁이라는 ‘사건’이 문명이라는 ‘구조’에 미친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이 연구에서 취한 생태인문학적 관점은 전쟁을 인간의 합리적인 정치 행위로 이해하여 전쟁의 원인을 분석하고 전략과 전술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전통적인 정치적 관점과 달리, 전쟁이 인간 사회, 문명, 환경 등에 끼친 ‘영향’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3년(2012년 9월 1일 - 2015년 8월 31일)간 진행되었는데, 1년차 연구의 주제는 “문명의 충동”, 2년차 연구의 주제는 “전쟁과 평화의 수사학”, “3년차 연구의 주제는 ”전쟁의 사회사“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응종(지은이)
197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졸업 후 1984년 프랑스 낭트 대학교에서 석사, 1987년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래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인문대학장,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아날학파》(민음사, 1991),《 오늘의 역사학》(공저, 한겨레신문사, 1998), 《아날학파의 역사세계》(아르케, 2001), 《서양의 역사에는 초야권이 없다》(푸른역사, 2005), 《 페르낭 브로델》(살림, 2006), 《서양사 개념어 사전》(살림, 2008), 《관용의 역사》(푸른역사, 2014), 《프랑스혁명사는 논쟁 중》(푸른역사, 2022)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랑스혁명사》(일월서각, 1990), 《16세기의 무신앙 문제》(문학과지성사, 1996), 《고대도시》(아카넷, 2000), 《랑그도크의 농민들》(공역, 한길사, 2009), 《유럽은 어떻게 관용사회가 되었나》(푸른역사, 2015), 《라로슈자클랭 후작부인의 회고록》(한국문화사, 2018) 등이 있다.
김원중(지은이)
1958년 광주(光州)에서 태어나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에서 근대 초 스페인 정치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16세기 스페인 제국의 재정 그리고 절대 왕정의 성격」, 「근대 초 스페인 제국의 흥기와 몰락」, 「근대 초 스페인 종교재판소와 유대인 문제」, 「16세기 카스티야 코르테스와 마드리드」, 「망각협정과 스페인의 과거청산」, 「역사기억법과 스페인의 과거청산 노력에 관하여」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유럽 바로 알기』(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대항해 시대의 마지막 승자는 누구인가』(민음인, 2010), 『스페인 문화 순례』(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서양사 강좌』(공저, 아카넷, 2016), 『디코팅 아메리카』(공저, 지식의날개, 2018) 등이 있다. 역서로는 『거울에 비친 유럽』(조셉 폰타나, 새물결, 1999), 『스페인 제국사 1469~1716』(존 H. 엘리엇, 까치, 2000), 『스페인사』(레이몬드 카, 까치, 2006), 『스페인 내전』(안토니 비버, 교양인, 2009), 『코르테스의 멕시코제국 정복기』(전2권, 에르난 코르테스, 나남출판, 2009),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벤자민 킨 외, 전2권, 그린비, 2017), 『대서양의 두 제국』(존 H. 엘리엇, 그린비, 2017) 등이 있다. 현재 서울대와 서울과학기술대 강사로 있다.
김연숙(지은이)
현) 충북대학교 사범대 윤리교육과 교수 충북대 윤리교육과(학사) 서울대 대학원 윤리교육과(석·박사) 박사논문: 레비나스 타자윤리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겔렌과 란트만의 문화이해 비교연구 저서: 레비나스 타자윤리학(인간사랑, 2001) 공번역: 존재와 다르게(인간사랑, 2010) 공저: 양심(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인격(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서양근현대윤리학(인간사랑, 2003), 오늘의 철학적 인간학(경문사, 1997)

Table of Contents
"chapter 01 15 문명의 충돌 17 1. 포에니 전쟁: 카르타고 문명의 몰락 40 2. 십자군 시대 서유럽의 이슬람세계에 대한 인식과 담론의 유형들 64 3. 지중해문명의 종언 81 4. 프랑스 혁명과 전쟁 106 5. 문명의 충돌과 그 기억 chapter 02 131 전쟁과 평화의 수사학 133 1. 자연법과 전쟁 151 2.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영국의 평화운동, 1900-1920 171 3. 독일 성내평화와 키일(kiel) 수병봉기에 나타난 사회주의 운동의 한계 187 4. 서양철학의 전쟁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5 5. 타자와 함께하는 평화 chapter 03 221 전쟁의 사회사 223 1. 전쟁과 계급: 로마시대 중무장보병(hoplites) 계급의 등장 239 2. 스페인의 아스텍 제국의 정복과 식민화 259 3. 기억문화 속에 투영된 베스트팔렌 강화조약 283 4. 제1차 세계대전 기독일여성의 사회적 역할변화와 그 한계 298 5. 조명회의 디아스포자적 삶과 문학적 변이의 의미 315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