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8846 | |
005 | 20201209114327 | |
007 | ta | |
008 | 201204s2020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95048694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570108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658.045 ▼2 23 |
085 | ▼a 658.045 ▼2 DDCK | |
090 | ▼a 658.045 ▼b 2020 | |
100 | 1 | ▼a 김화진, ▼g 金和鎭, ▼d 1960- |
245 | 1 0 | ▼a 소유와 경영 : ▼b 가족경영 대기업의 지배구조 / ▼d 김화진 지음 |
260 | ▼a 서울 : ▼b The Bell, ▼c 2020 | |
300 | ▼a 376 p.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366-376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8.045 2020 | Accession No. 11183838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8-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가족기업으로 출발해 글로벌 대형 상장회사로 변모한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가족과 전문경영인의 문제, 경영권과 경영권 승계 문제를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누가 어떻게 경영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글로벌 자동차회사들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이번 책에서 이 회사들의 지배구조와 인수합병(M&A)을 중점적인 소재로 했다.
서울대 로스쿨 김화진 교수의 가족경영 대기업의 지배구조분석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지난 30여년간 기업지배구조 강의를 진행해온 서울대 로스쿨 김화진 교수는 글로벌 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지배구조 이슈를 조명해왔다. 이번에 한 권의 책으로 묶은 '소유와 경영-가족경영 대기업의 지배구조'는 가족기업으로 출발해 글로벌 대형 상장회사로 변모한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가족과 전문경영인의 문제, 경영권과 경영권 승계 문제를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누가 어떻게 경영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글로벌 자동차회사들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이번 책에서 이 회사들의 지배구조와 인수합병(M&A)을 중점적인 소재로 했다.
오너와 경영자가 사외이사들과 함께 기업의 경영에 필요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기구인 이사회 문제도 조명했다. 새로운 의미를 갖는 기업의 핵심기구가 된 이사회는 과거 오너, 경영자와 사외이사들간 사회적 관계가 운영과 결정에 큰 변수였지만 이제는 달라져 규칙과 법률적 책임에 대한 의식이 이사회 운영에서 매우 중요해졌다.
가족기업 경영에 새로운 대안세력도 등장했다. 행동주의헤지펀드로소유와 경영 분리의 산물이지만 역설적으로 소유와 경영을 재결합시키고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오너와 경영자, 그리고 이사회가 기업의 지배구조를 어떤 형태로 구성해서 운영하든 새로운 시대의 이념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내재해야 한다.특히 투자자들은 ESG 가치를 투자에 반영함으로써 투자대상 기업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른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어 이 변수도 지배구조에 고려해야 한다.
김교수는 국가, 산업, 기업, 시대가 모두 달라 기업구조에는 답이 없어 기업지배구조를 이론으로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이를 보완하는 것이 사례연구라고 소개한다. 그렇지만 사례는 해당 기업 특유의 변수가 많이 작용해 가능하면 많은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책은 사례연구에 필수적인 글로벌 비교연구에 초점을 뒀다고 덧붙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프롤로그 가족경영기업이 사는 법 오너와 전문경영인 구 기아자동차 포드자동차 판결 100주년 제1부 가족경영과 경영권 승계 제1장 세계의 가족경영 대기업 월마트의월튼패밀리 그리스 비극 코크브라더스 세계 최대 비상장회사 카길 로레알의 지배구조 보쉬의 사회적 책임 경영 삼성의 지배구조 모델 발렌베리 LVMH와 디올 화웨이의 주인은 누구인가 롯데는 어느 나라 기업인가 복수의결권제도 미국 ㆍ 독일 ㆍ 경제학 장기투자자 우대 구조 ㆍ 밀라크론ㆍ 평가 제2장 경영권 승계 경영권 승계는 반사회적인가 전설적인 경영자의 노쇠와 장수 GE 경영권 승계의 실패 경영권 승계 준비 정주영의 경영자 청지기론 피아트의 5세 승계 뉴욕타임스의5세 승계 누가 워렌버핏을 승계할까 정주영과 워렌버핏 외국인의 올림푸스 경영권 승계 경영권 승계에 ‘작업’은 필요 없다 LG와 GS의 노블얼라이언스 구글 경영권 승계 제2부 자동차회사 소유와 경영 제1장 포드자동차의 소유와 경영 포드패밀리와 아이아코카 포드패밀리의 복수의결권 포드의 금융위기 탈출기 포드의 프리미엄 브랜드 재규어와랜드로버 ㆍ 볼보 애스턴마틴 ㆍ 평가 제2장 GM의 소유와 경영 알프레드슬론의 GM 듀런트 ㆍ 슬론 ㆍ 슬론의 경영혁신 GM의 금융위기 탈출기 제3장 독일 자동차산업 소유와 경영 폭스바겐과포르쉐 포르쉐와포르쉐패밀리ㆍ 페르디난트피에히 벤델린비데킹ㆍ 폭스바겐과 비틀 포르쉐의폭스바겐인수전 배경 ㆍ 포르쉐의 인수 과정 ㆍ 폭스바겐법 역정 ㆍ 의미 ㆍ 배기가스 조작사건 폭스바겐의M&A 역사 아우디 ㆍ 부가티ㆍ 람보르기니ㆍ MAN BMW의 소유와 경영 BMW 광고에 나온 다임러 회장 BMW의 롤스로이스 인수 BMW 오너 크반트패밀리 다임러를 만든 네 사람 벤츠 부부 ㆍ 다임러와 마이바흐 프리드리히플릭 지리자동차의 다임러 투자 제4장 라틴 자동차제국 피아트제국의 전문경영인 크라이슬러 마세라티와 페라리 마세라티ㆍ 페라리 프랑스 자동차 삼국지 푸조그룹의 전문경영인 르노-닛산 제휴 제3부 소유와 경영의 재결합 제1장 헤지펀드 행동주의 소유와 경영의 재결합 이사회의 야만인들 행동주의 선두주자 엘리엇 텔레콤 이탈리아 ㆍ 아크조노벨 이베이ㆍ AT&T 엘리엇의 한국시장 철수 헤지펀드의휴렛팩커드 공동경영 서드포인트의네슬레 공격 넬슨펠츠의트라이안 듀폰ㆍ P&G 공격과 해피엔드 칼 아이칸과야후 칼 아이칸ㆍ 야후 무라카미의코사이도 접수 실패 티센크루프와 독일의 주주행동주의 헤지펀드와 사모펀드의 경계 제2장 이사회: 기업지배구조 허브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 사내이사 이사회 출석률 사외이사의 역할 이사회와 사외이사 ㆍ 사외이사의 임기 제한 회장 아들 대학 낙방과 교수 사외이사 우버 소송과 사외이사 독립성 사외이사는 거수기인가 인공지능 사외이사 파파존스 이사회 이사회와 법률 오너 없는 회사 이사의 법률적 책임 이사 법률적 책임의 제한 삼성 재판에 등장한 준법감시제도 법전은 경영전략 교과서 제4부 ESG 투자와 경영 블랙록래리 핑크가 연 새 시대 돈에도 캐릭터가 있어야 행동주의와 가치투자 행동주의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맺 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