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8833 | |
005 | 20201209100917 | |
007 | ta | |
008 | 201204s2020 ulka 000c kor | |
020 | ▼a 979115930132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487918 | |
040 | ▼a 245011 ▼c 245011 ▼d 211009 | |
082 | 0 4 | ▼a 371.2 ▼2 23 |
085 | ▼a 371.2 ▼2 DDCK | |
090 | ▼a 371.2 ▼b 2020z2 | |
110 | ▼a 새로운학교네트워크 | |
245 | 1 0 | ▼a 새로운학교, 학생을 날게하다 : ▼b 새로운학교를 만드는 10가지 교육 원리 / ▼d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엮음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20 | |
300 | ▼a 398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새로운학교 총서 ; ▼v 02 |
500 | ▼a 글쓴이 : 김명중, 김미영, 김우석, 박창호, 박효숙, 서배성, 안병찬, 이융, 이한결, 정문희, 최봉선, 황영동 | |
700 | 1 | ▼a 김명중, ▼e 저 |
700 | 1 | ▼a 김미영, ▼e 저 |
700 | 1 | ▼a 김우석, ▼e 저 |
700 | 1 | ▼a 박창호, ▼e 저 |
700 | 1 | ▼a 박효숙, ▼e 저 |
700 | 1 | ▼a 서배성, ▼e 저 |
700 | 1 | ▼a 안병찬, ▼e 저 |
700 | 1 | ▼a 이융, ▼e 저 |
700 | 1 | ▼a 이한결, ▼e 저 |
700 | 1 | ▼a 정문희, ▼e 저 |
700 | 1 | ▼a 최봉선, ▼e 저 |
700 | 1 | ▼a 황영동,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 2020z2 | 등록번호 1118383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새로운학교네트워크(엮은이)
삶을 가꾸는 교육을 꿈꾸는 이들이 함께하는 교육단체입니다. 많은 이들이 공교육의 위기를 말 할 때 희망을 말하며 꿋꿋하게 대안을 찾고 실천해온 선생님들이 학교혁신의 길에 함께 했고, ‘삶을 위한 교육 미래를 여는 교육’을 위해 2011년 9월 24일 ‘새로운학교네트워크’를 창립하였습니다. 현재 12개 시도교육청에서 지역 네트워크가 구축되었으며, 지역별 특성에 맞게 학교혁신운동과 학생중심교육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학교네트워크의 교육운동은 정부 주도의 권위적 학교개혁과 구별되며, 특정 교육이론이나 사조, 교육 방법론에 의존하지 않고 학교 현장 선생님들의 실천적 경험을 디딤돌 삼아 자생적 학교 혁신 운동을 전개해 왔기에 ‘새로운학교 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새로운학교 운동을 앞장서 실천해온 선생님들은 전국의 많은 학교에서 학교문화와 제도를 변화시켰습니다. 교사가 앞장서 정책을 이끌고 공동체를 만들었으며, 곳곳에서 학교공동체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혁신학교가 만들어졌습니다. 서울형혁신학교, 부산 다행복학교, 다혼디배움학교, 무지개학교, 경남 행복학교, 강원 행복더하기학교 등 이름은 다르지만 우리 교육을 조금씩 정상화시키며 희망을 만들었습니다. 새로운학교네트워크는 “학교는 민주적이어야 하고 교실은 윤리적이어야 하며 선생님들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협력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구성원의 성장을 이룰 수 있다.”라는 학교혁신의 철학과 방안을 만들어왔으며 이를 10가지 교육원리에 담아 꾸준히 실천하고 있습니다.

목차
"발간사 | 새로운 교육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며 머리글 | 새로운학교를 만드는 교육 원리ㆍ황영동 1.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학교 - 남한산초등학교ㆍ김우석 2. 보통의 교사들이 만든 환대와 지지의 공동체 - 응곡중학교ㆍ김미영 3. 희망으로 반짝이는 은여울 이야기 - 은여울중학교ㆍ박창호 4. 우리 학교는 나에게 힘을 준다 - 함성중학교ㆍ안병찬 5. 천천히 나아가지만 거꾸로 가지 않는다 - 양평고등학교ㆍ정문희 6. 안 배워서 못하는 게 당연한 학생자치 사용 설명서 - 부경고등학교ㆍ이융 7. 따뜻한 관계, 두근거리는 배움 - 애월초등학교ㆍ이한결 8. 아이 성장에 맞춘 9년 교육과정 - 유치초ㆍ중통합학교ㆍ박효숙 9. 앎과 삶이 하나 되는 행복 온마을학교 - 홍동초등학교ㆍ김명중 10.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하는 공부의 길 - 솔뫼초등학교ㆍ최봉선 11. 작은 학교, 희망의 날개를 달다 - 운양초등학교ㆍ서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