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8809 | |
005 | 20230331095945 | |
007 | ta | |
008 | 201204s2018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5930065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844447 | |
040 | ▼a 21105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rus |
082 | 0 4 | ▼a 155.4 ▼2 23 |
085 | ▼a 155.4 ▼2 DDCK | |
090 | ▼a 155.4 ▼b 2018z2 ▼c 1 | |
100 | 1 | ▼a Vygotskiĭ, L. S. ▼q (Lev Semenovich), ▼d 1896-1934 ▼0 AUTH(211009)130852 |
245 | 1 0 | ▼a 분열과 사랑 / ▼d L. S. 비고츠키 지음 ; ▼e 비고츠키 연구회 옮김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18 | |
300 | ▼a 249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비고츠키 선집 ; ▼v 9 |
440 | 0 0 | ▼a 비고츠키 청소년 아동학 강의 ; ▼v 1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10 | ▼a 비고츠키 연구회, ▼e 역 | |
900 | 1 0 | ▼a Выготский, Л. С ▼q (Лев Семенович), ▼e 저 |
900 | 1 0 | ▼a 비고츠키, L. S.,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4 2018z2 1 | 등록번호 1118383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비고츠키 선집 9권. 비고츠키 문화심리학은 아동 발달에 관한 미래의 과학이다. 아동의 문화적 발달은 자연의 역사와 인간 역사의 복잡한 통합체로 성취되는데, 이것은 인격과 세계관의 형성과정이기도 하다. 비고츠키의 연구 성과를 발달교육의 지평에서 바라본다.
가족으로부터의 분열
분열로 발명되는 새로운 사랑
D. 켈로그와 그의 연구팀이 번역하고 주석을 단 이 중요한 책을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 아동학은 비고츠키의 저서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그의 이론은 단순한 학습이나 인지가 아니라 발달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오래 전에 쓰였지만 이 저작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새롭고 난해하다. 따라서 이는 교육자들의 연구에 여전히 중요하다. 이 저작의 주요 부분은 청소년 발달에 대한 것이지만 이는 초기 연령기와 성인기에도 관련이 있다. 연령기를 가로지르는 인간 발달의 일반적 법칙의 문을 열고 탐구하기 때문이다.
N. N. 베레소프Nikolai Nikolayevich Veresov, 호주 모나쉬 대학교 부교수, 『비고츠키 아동학』(2018 출간 예정) 공동 역자
비고츠키 문화심리학은 아동 발달에 관한 미래의 과학이다. 아동의 문화적 발달은 자연의 역사와 인간 역사의 복잡한 통합체로 성취되는데, 이것은 인격과 세계관의 형성과정이기도 하다. 비고츠키의 연구 성과를 발달교육의 지평에서 바라보니 철학적 인간학에 근거한 교육학에서 과학적 일반 심리학에 근거한 교육학으로의 패러다임 이동을 향한 비고츠키의 열정을 엿보게 된다. 인식론, 존재론, 방법론적 지형에서 새로운 심리학을 창안하려고 한 비고츠키 문화심리학은 기존 교육학과 심리학에서 이해되었던 오류에서 벗어나-미래교육의 이론적 자원으로서-번역되고 있는 원전에 근거하여 새롭게 읽혀야 할 필요가 있다.
현광일, 『교사와 부모를 위한 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저자
정보제공 :

저자소개
레프 세묘노비치 비고츠키(지은이)
1896년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나 벨라루스공화국 남부 고멜에서 자랐다. 모스크바 대학의 의학부에 입학했으나 법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졸업하였다. 그는 대학에서 철학, 사회과학,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폭넓은 학문을 경험하였다. 1918년 대학을 졸업한 비고츠키는 고향으로 돌아가 문학, 미학, 예술사를 가르치는 교사 생활을 하면서 학문을 계속한다. 1924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연구활동을 개시하였다. 1925년 모스크바 대학에서는 이상 아동을 위한 심리실험실을 조직하고 있었는데, 이때 <심리학의 위기에 대한 역사적 의미>,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을 저술하였다. 1934년 폐결핵으로 사망하기까지 발달심리학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그였지만 스탈린 정권 하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다. 그의 업적은 제자들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갔으며, 러시아의 학교 교육에 깊은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서방 세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비고츠키의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은 그의 박사 논문이었으며, 문학 교사 생활을 하면서 오랜 시간 동안 숙고한 결과이기도 하다. 비고츠키의 왕성한 저술활동은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1930), <장애 아동의 발달과 교육 진단>(1931), <고등심리 과정의 발달사>(1931), <심리학 강의>(1932), <학령기의 인지발달과 수업의 문제>(1934),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고>(1934), <사고와 언어>(1934)에 집중되었다. 그의 저술의 대부분은 20년이 지난 1956년 발간되었으며, 1960~1970년대에 영어로 번역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는 많은 심리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우리나라에는 <사고와 언어>와 비고츠키 선집 8권이 번역되었고, 이 외에 다수의 연구서와 번역서가 소개되었다.
비고츠키 연구회(옮긴이)
교육의 본질을 고민하고 진정한 교육적 혁신을 위해 비고츠키를 공부하는 교사들의 모임. 비고츠키 원전을 번역하고, 사회문화이론의 전통을 계승한 발생적 비교연구법과 기능적 언어분석법을 이용한 현장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비고츠키 이론에 관심이 있거나 혼자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독자라면 누구나 함께할 수 있다. 『연령과 위기』의 번역에 참여한 회원은 다음과 같다. 권민숙 서울오류남초등학교 교사로 청주교육대학교 졸업 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데이비드 켈로그 교수님의 첫 제자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켈로그 교수님과 함께 국제 학술지(The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2005)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비고츠키의 아이디어를 접목한 다년간의 현장 연구로 서울시교육청 주최의 여러 연구대회 및 공모전에서 수차례 입상한 바 있습니다. 2014년 3월 뒤늦게 비고츠키 연구회에 합류하여 학문적 열정과 헌신, 지적 탐구의 명철함으로 무장한 연구회의 교수님과 동료 선생님들과의 교류를 통해 오늘도 부지런히 비고츠키 탐구에 관한 앎의 지평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김여선 서울인수초등학교 교사로 부산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TESOL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영어 수업에서 소외된 아이들 지도에 관한 논문 완성 중 D. 켈로그 교수님을 만나 모든 아이들이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는 영어 수업을 꿈꾸며 비고츠키 공부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가르치기가 두려워질 때 비고츠키를 만나 이제 가르칠 수 있는 용기, 나 자신에게로의 용기를 얻어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김용호 서울교육대학교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 녹번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켈로그 교수님과 함께 외국어 학습과 어린이 발달 일반의 관계를 공부해 왔습니다. 데이비드 켈로그David Kellogg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를 역임했습니다. 현재 호주 맥쿼리 대학에서 연구 중입니다. 『생각과 말』, 『도구와 기호』, 『상상과 창조』, 『어린이 자기행동숙달의 역사와 발달』, 『성장과 분화』 공동 번역 작업에 참여하였습니다. Applied Linguistics, Modern Language Journal, Language Teaching Research, Mind Culture & Activity 등의 해외 유수 학술지에 지속적으로 논문을 게재해 오고 있으며 동시에 다수의 국제 학술지 리뷰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비고츠키 연구의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두표 서울에 있는 천왕중학교 과학 교사로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와 대학원 과학교육과를 졸업하였습니다. 2010년 여름 비고츠키를 처음 만난 후 그 매력에 푹 빠져 꾸준히 비고츠키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미영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광남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영어교육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교실 수업에서도 기술과 흐름에 편승해 가는 모습에 염증을 느끼던 중 켈로그 교수님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생각과 말이 가지는 무한한 힘과 가능성을 보여 준 비고츠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함께 작업한 선생님들과 함께 더디지만 한 걸음 한 걸음 즐겁게 비고츠키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최영미 춘천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위례고운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과 재학 중 D. 켈로그 교수님을 만나 제가 속한 작지만 커다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갖게 되기를 소망하게 되었습니다. 그 바람을 이루기 위해 든든한 길동무와도 같은 선생님들과 『도구와 기호』를 함께 번역하였으며, 지금도 부족한 공부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 비고츠키 연구회와 함께 번역, 연구 작업에 동참하고 싶으신 분들은 iron_lung@hanmail.net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948년 10월……9 1949년 4월……133 1949년 11월……175 1950년 6월……261 옮긴이의 말……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