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8788 | |
005 | 20201208143128 | |
007 | ta | |
008 | 201204s2020 ulk d 000c kor | |
020 | ▼a 9788968178689 ▼g 91710 | |
035 | ▼a (KERIS)BIB000015604162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495.7703 ▼2 23 |
085 | ▼a 497.70203 ▼2 DDCK | |
090 | ▼a 497.70203 ▼b 2020 | |
100 | 1 | ▼a 이진호 |
245 | 1 0 | ▼a 16세기 국어 활용형 사전 / ▼d 이진호, ▼e 이수진, ▼e 선한빛 지음 |
246 | 3 0 | ▼a 국어 활용형 사전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0 | |
300 | ▼a 502 p. ; ▼c 27 cm | |
700 | 1 | ▼a 이수진, ▼e 저 |
700 | 1 | ▼a 선한빛,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1자료실(2층)/참고 | 청구기호 R 497.70203 2020 | 등록번호 111838313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6세기 국어의 체언이나 용언이 문법 형태소와 결합할 때 어떠한 형태로 실현되는지를 모아 놓은 자료집이다.
이 책은 16세기 국어의 체언이나 용언이 문법 형태소와 결합할 때 어떠한 형태로 실현되는지를 모아 놓은 자료집이다. 몇 년 전에 나온 ‘15세기 국어 활용형 사전’의 자매편이라고 할 수 있다. 16세기 국어는 15세기 국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자료집을 준비하면서 16세기 국어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다. 두 시기의 국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드러나는 것 같다. 최근의 국어사 연구는 과거의 인상적인 차원에 기반한 서술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 수치나 경향성에 기반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16세기 국어에 접근하면 아마도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는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이 책은 작지만 의미 있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가난하다 가내 가다 가뎡 가도다 가도이다 가도혀다 가락 가라 가라다 . . 중략 . . 흘리다 흘으다 흙 흥졍 흥졍하다 흩다 희다 희롱 희롱하다 희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