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8090 | |
005 | 20231106142345 | |
007 | ta | |
008 | 201201s2020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96453350 ▼g 94340 | |
020 | 1 | ▼a 979119645334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588692 | |
040 | ▼a 211043 ▼c 211043 ▼d 211009 | |
082 | 0 4 | ▼a 330.9519 ▼2 23 |
085 | ▼a 330.953 ▼2 DDCK | |
090 | ▼a 330.953 ▼b 2020z9 | |
245 | 0 0 | ▼a 통일경제 : ▼b 남과 북이 따로 없는 공존공영의 키워드 / ▼d 조봉현 [외] ; ▼e 통일경제연구회 엮음 |
260 | ▼a 서울 : ▼b PNA world, ▼c 2020 | |
300 | ▼a 398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통일경제연구회 연구 & 실용편서 ; ▼v 1 |
500 | ▼a 공저자: 추원서, 조재욱, 최경수, 김영훈, 홍순직, 조진희, 장환빈, 정유석, 민경태, 황주희, 박철수, 이재술, 정일영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조봉현, ▼e 저 |
700 | 1 | ▼a 추원서, ▼e 저 |
700 | 1 | ▼a 조재욱, ▼e 저 |
700 | 1 | ▼a 최경수, ▼e 저 |
700 | 1 | ▼a 김영훈, ▼e 저 |
700 | 1 | ▼a 홍순직, ▼e 저 |
700 | 1 | ▼a 조진희, ▼e 저 |
700 | 1 | ▼a 장환빈, ▼e 저 |
700 | 1 | ▼a 정유석, ▼e 저 |
700 | 1 | ▼a 민경태, ▼e 저 |
700 | 1 | ▼a 황주희, ▼e 저 |
700 | 1 | ▼a 박철수, ▼e 저 |
700 | 1 | ▼a 이재술, ▼e 저 |
700 | 1 | ▼a 정일영, ▼g 丁一榮, ▼d 1975-, ▼e 저 ▼0 AUTH(211009)27969 |
710 | ▼a 통일경제연구회, ▼e 편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953 2020z9 | Accession No. 11183772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통일경제연구회’의 산업 각 분야 전문연구자들이 통일한반도의 미래 지향점을 지난 5년 간 담아낸 연구결과물(논문, 보고서)을 재편집 및 비주얼화를 통해 일반독자들도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경제실용서 타입으로 펴낸 연구&실용편서 1호이다. 지금의 한반도 상황은 비 온 뒤에 땅이 더 단단히 굳는 ‘雨後地實’(우후지실)의 과정. 그래서 애써 나 몰라라 밀쳐내기보다 내 일상이 될 통일시대, 통일경제를 함께 생각해보자고 이 책 저자들은 한 목소리로 권하고 있다.
비 오면 필요한 우산처럼, 각기 반쪽인 남과 북 모두에게
‘통일경제’는 이제 비 올 때 필요한 우산 같은 존재!
당연히 해야 하는 숙제에서 언제부터인가 남과 북 서로의 이익이 맞닿아야 하는 게 통일이라고들 한다. 그럼 아무리 작은 거라도 당치 않게 내가 손해 볼라치면 화나는 게 인지상정인데, 이제 곧 내 경제생활과도 밀접해질 수도 있는 ‘통일’, 그리고 ‘통일경제’라면 한번쯤은 곰곰이 생각해볼 가치가 있지 않을까?
지하자원 등 1차산업·인프라 재건에서부터 금융, 관광, ICT 등 산업 각 분야별
통일 전후 남북경협의 궁극점을 찍는 ‘통일경제’ 스펙트럼 제시
‘통일경제연구회’의 산업 각 분야 전문연구자들이 통일한반도의 미래 지향점을 지난 5년 간 담아낸 연구결과물(논문, 보고서)을 재편집 및 비주얼화를 통해 일반독자들도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경제실용서 타입으로 펴낸 연구&실용편서 1호이다. 지금의 한반도 상황은 비 온 뒤에 땅이 더 단단히 굳는 ‘雨後地實’(우후지실)의 과정. 그래서 애써 나 몰라라 밀쳐내기보다 내 일상이 될 통일시대, 통일경제를 함께 생각해보자고 이 책 저자들은 한 목소리로 권하고 있다.
통일은 이젠 ‘우리의 소원’에서 ‘우리의 미래’로 그 가치를 봐야
경제성장 둔화에서 이제는 침체일로에 있는 경제상황, 새로운 활로 확보가 시급한 우리경제이다. 북한 역시 체제안정을 위한 경제돌파구 묘책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여기서 잠깐 남과 북의 경제문제를 차치하고 남북통일 시계를 보자. 될 듯 될 듯 안 되는 통일, 민족적 당위성에만 매달리거나 그때그때 정치적 정책지향점을 놓고 티격태격…. 하지만 남북경제를 연구하는 쪽에선 4차 산업혁명 도래에 임가공 산업에만 의존하는 남북경협 경쟁력 약화를 경고하고 있으며, 한반도 광역경제권으로 남북동반 경제성장을 꾀하는 구상으로 북한을 한반도 4차 산업혁명의 출발지로 만들어보자는 제안, 그리고 강점(Strength)은 언어, 약점(Weakness)은 자본 조달력, 기회(Opportunity)는 개보수, 그리고 위협(Threat)은 정치라는 SWOT의 4개 요인 분석키워드를 들어 북한을 ‘새로운 시장, 새로운 기회’임을 주장하는 등등 실제 통일과정에서 통일을 추동하는 가장 큰 에너지 중 하나로 경제에 무게를 싣고 있다.
4‧27 판문점 선언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의 견인동력은?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의 핵심인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견인해나갈 동력은 남북경협이며 ‘한반도경제공동체’라는 구심체로 형상화될 것이다. 이와 맥을 같이해 언급하자면 남과 북, 각자 경제현안의 해결책을 바로 눈앞에 있는 상대에서 찾아보자는 게 이 책의 핵심 주제이다. 비 오면 찾고 쓰게 되는 우산 같은 존재로 남과 북의 경제를 서로 보자는 것. 그럼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뭘까? 그동안의 남북관계 부침을 털어내고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호혜적 협력의 파트너십임을 이 책의 저자들은 한 목소리로 주장하고 있다. 북한속담 중 ‘대통으로 세상보기’처럼 그동안 남과 북은 좁디좁은 대통구멍으로만 서로를 보려했던 건 아닌가라는 자성과 함께 허리가 잘려 숨이 가쁜 한반도의 과거를 뒤로 하고, 하나 된 통일경제로 평화‧번영의 미래 통일한반도를 향해 남북경제가 ‘2인3각’으로 나아가야 함을 호소하고 있다.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경제실용서 타입으로 재구성
끝으로 이 책은 지하자원과 전력 등 1차 산업 및 인프라 재건과 금융‧관광‧ICT‧제도(법제화)까지 산업 각 분야에서의 통일경제 초석에 필요한 요소와 통일이후 현안해결 key에 대한 전문연구자들의 연구결과물을 ‘통일’과 ‘통일경제’ 논의차원에서, 학계나 정‧관계, 지식층 위주의 특정범주 내에만 두지 않고 일반국민들까지로 확장하고 있다.
통일이 왜 필요하고, 통일경제가 향후 본인 개개인의 일상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경제실용서 타입으로 내놓은 것. 기존 유사 도서와는 달리 딱딱한 논문형 원고를 단행본 콘텐츠로 재편집, 비주얼하게 구성함으로써 일반독자들의 이해를 한층 돕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재술(지은이)
최종학력 : 서울대 대학원 경영학 석사 현, 보령제약 감사 전, 딜로이트코리아 회장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감사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의원 한국공인회계사회 국제부회장 <저서> • 『CEO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 원앤원북스, 2013
정유석(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북한학 박사 현, 한국수출입은행 북한·동북아센터 책임연구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자문위원 전,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연구교수 고양시정연구원 연구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주무관 <저서> • 『김정은식 경제특구 정책 평가와 남북협력』, 한국수출입은행, 2020 • 『대한민국 미래를 여는 혁신리포트』, 윤성사, 2019 • 『통일시대를 대비한 접경지역 거점도시 전략』, 북인북, 2017 • 『개방과 폐쇄의 딜레마, 북한의 이중적 경제』, 산림출판사, 2012 <연구 및 논문> • 「신한반도체제 구현을 위한 평화경제 단계별 추진방안」, 『수은북한경제』, 2019 • 「남북경협 합의서 주요내용과 개선과제」, 『수은북한경제』, 2019 • 「북한의 관광산업」, 『수은북한경제』, 2018 • 「2000년 이후 북한 사회복지법제 동향」, 『현대북한연구』, 2016 • 「김정은의 현지지도와 관광정책」, 『통일문제연구』, 2016 • 「김정은 현지지도에 나타난 북한의 상징정치」, 『현대북한연구』, 2015 외 다수
조봉현(지은이)
IBK 기업은행 선임연구위원, 전(前) 부행장·경제연구소장 경제학박사, (사)청년창업가협회 자문위원장,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정책 자문위원회 위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역임, 벤처기업 창업 및 경영자로 현장 활동 경험
홍순직(지은이)
최종학력 : 중앙대 대학원 경제학 박사 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 객원연구원 북한연구학회 부회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경제협력분과 상임위원 민화협, 전경련 및 중소기업중앙회 자문위원 서울시 남북평화관광 자문위원 중앙대 대학원(동북아학과), 숭실대 대학원(안보공익경영학과) 강사 전,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장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객원연구위원 국민대 한반도미래연구원 수석연구위원 통일부 교류협력분과 정책자문위원 <저서> • 『통일 이후 남북 경제통합 방안』(공저), 미래한국재단, 2018. 12 • 『북한 지식 사전』(공저),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6. 12 • 『남북교류협력의 재조명 : 분야별 진단과 과제』(공저), 늘품플러스, 2015. 12 • 『개성공단, 공간평화의 기획과 한반도형 통일프로젝트』(공저), 진인진 2015. 7 <연구 및 논문> •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DMZ의 경제적 이용방안」, 『한반도미래연구』, 국민대 한반도미래연구원, 2019. 12 • 「중소제조업계 현황과 한반도 신경제지도 연계 필요성」, 『중소기업 중심의 한반도 新경제지도 구상』, 중앙대 민족통일연구소중소기업중앙회, 2017. 12 • 「통일 한반도의 산업 재편 방향」, 『통일 후 남북한 산업구조 재편 및 북한 성장산 업 육성방안』, KIEP, 2017. 12 외 다수
추원서(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정치학 박사 현,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원장 전, 경기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재)평화재단 이사 (사)남북물류포럼 수석부회장 경기대 국제통상학과 초빙교수 중앙대 대학원(북한개발협력학과) 및 강남대 국제지역학부 강사 (사)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소장 중국 요녕성 사회과학원 객원연구원 산업은행 동북아연구센터장, 상하이지점장, 산업분석단장 미국 미시건 주립대(MSU) 객원연구원 전국금융노조 위원장 <저서> ·『新 북한의 산업』(공저), 한국산업은행, 2005 ·『라진 선봉지역 물류분야 남북협력방안 연구』(공저), 통일연구원, 2010 ·『통일경제』(공저), 통일경제연구회 엮음, 피엔에이월드, 2020 <주요 연구 및 논문> ·「통일재원 조달, 어떻게 할 것인가」, 『이제는 통일이다』, 헤럴드경제?한반도 개발협력연구네트 워크, 2014 ·「한반도 비핵화, 솔로몬식 해법은 없는가」, 『한국의 논점 2017』, 북바이북, 2016 외 다수
박철수(지은이)
최종학력 : KAIST 경영대학 경영공학 박사 현, 한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동북아경제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이사 전, 산업자원부 자문교수 한국경영학회 이사 한국경영정보학회 이사 북한연구학회 이사 <저서> • 『통일 후 남북한경제 한시분리운영방안』(공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 『변화 속에 경영학원론』(공저), 명경사, 2017 • 『기업가 정신과 창업』(공저), 명경사, 2017 <연구 및 논문> • 「2018년 노동신문 사설과 한반도의 정치적·사회적 사건간의 연관성 분석 텍스트마이닝 분 석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019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관련 뉴스의 기간별 변화과정 고찰」, 『지능정보연구』, 2019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지도자의 신년사 및 연설문 트렌드 연구」, 『Journal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19 • 「중국의 동북3성 북중 접경지역의 경제협력 및 비즈니스 진출전략 모색에 관한 연구」, 『Journal of China Studies』, 2017 • 「AHP 방법론을 이용한 북한의 ICT 평가를 위한 인덱스 선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17 외 다수
민경태(지은이)
최종학력 :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MBA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원 석사 현,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평화번영분과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대한건축사협회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자문위원 경기도 평화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한국건축가협회 남북교류위원회 상임위원 (사)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운영위원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연구위원 전,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국제관계 전문위원 북한연구학회 이사 재단법인 여시재 한반도미래팀장 삼성전자 R&D기획, 벤처투자, 해외공공기관협력 담당 삼성물산 건설부문 싱가포르 현장 P.M 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북아학과 강사 <저서> • 『서울 평양 스마트시티』, 미래의창, 2018 • 『서울 평양 메가시티』, 미래의창, 2014 •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미래』(공저), 한반도데스크, 2017 <연구 및 논문> • 「남북 경협의 새로운 방향 모색: 스마트시티 광역경제권 구상」, 『KDI 북한경제리뷰』 (2018년 1월호) • 「서울-평양 메가시티, 한반도의 미래를 위한 생존 전략」, 『KDI 북한경제리뷰』 (2014년 11 월호) • 「서울 - 평양 네트워크 경제권 성장전략 구상」, 『북한연구학회보』 (2013. 12. 30) 제17권 제2호 외 다수
조진희(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북한학 박사 수료 현,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이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저서> • 『북한을 읽다: 지속가능발전 프로젝트』(공저), 두앤북, 2019 • 『북한 비즈니스 진출 전략』(공저), 두앤북, 2018 • 『리질리언스』(공저), 올림, 2016 • 『저성장 시대, 승자와 패자』(공저), 원앤원북스, 2013 • 『승자의 법칙, 이노베이션』(공저), 원앤원북스, 2012 • 『주식회사 대한민국 다가올 10년을 말한다』(공저), 원앤원북스, 2011 • 『주식회사 대한민국 이제 위대한 성장이다 ‘Growth Beyond Expectation’ 』(공저), 원앤원북스, 2010 • 『주식회사 대한민국 이제 다시 시작이다. 한국경제 희망프로젝트,‘CHANGE’ 』(공저), 원앤원북스, 2009 • 『우즈베키스탄 투자실무가이드』(공저), KOTRA, 2008 • 『아제르바이잔 투자실무가이드』(공저), KOTRA, 2008 외 다수
조재욱(지은이)
최종학력 : 성균관대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 대림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소비문화학회 이사 한국기업경영학회 이사 전, 성균관대 경영대학 겸임교수 서비스마케팅학회 이사 (주)볼레크리에이티브 이사 삼정KPMG 경제연구원 ICE 팀장 우체국금융개발원 금융연구실 금융연구팀장 LG유플러스 마케팅전략실 A. Manager <저서> • 『마케팅 연구의 흐름』, 법문사, 2015. 5 <연구 및 논문> • How does the consumer’s hyperbolic discount tendenc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ASIA LIFE SCIENCES, 2018. 6) • The influence of perceived risk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intention to use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y, 2018. 2) • What role does the NFT play in the relation between mobile advertising types and perceived informativeness? (Information, 2017. 5) • 「증강현실 광고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 8) 외 다수
최경수(지은이)
최종학력 : 전남대 대학원 자원공학 박사 현, 북한자원연구소 소장 북한자원포럼 회장 (주)포스코케미칼 자문위원 전, 한국광물자원공사 단장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실장 대통령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민주평통자문회의 상임위원 <저서> • 『통일과 상생의 금맥을 찾아서』, 금강산, 2018.1 • 『새로운 지하자원의 보고, 북한』, 평화문제연구소 출판부, 2011.11 • 『북한 지하자원의 이해』, 범신사, 2011.12 <연구 및 논문> • 「The mining industry of North Korea」, KJDA, 23(2), 2011, 211-230 • 「북한 지하자원개발투자와 북한 지하자원법」,『통일과법률』(법무부), 2012.11 • 「남북 인프라-지하자원 패키지협력사업 추진방안 연구」, 북한자원연구소, 2017 외 다수
김영훈(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경제학 박사 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대통령 직속 농특위 남북농림수산협력특별분과위원회 위원장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연구 및 논문> • 『북한의 농림축산물 교역 동향 분석과 향후 전망』, 2018.12 • 『대북 식량지원 프로그램 구축 방향』, 2015.12 • 『북한의 농업부문 개혁조치 분석과 전망(1996~2012)』, 2013.12 외 다수
장환빈(지은이)
최종학력 :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현, 한반도개발협력연구네트워크 공동대표 전, (사)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상임이사겸 연구소장 현대아산(주) 관광경협본부장 전무, 경영지원본부장 전무, 기획본부장 상무 금호그룹 회장실 국제금융담당/상무 韓亞金融有限公司(홍콩합작금융회사) 대표이사 <간행물> • 국제금융월보, 한국외환은행 1979. 7~1983. 6 공동집필 <연구 및 논문> • 「중국 경제특구 국제공동개발 성공요인과 시사점」, 북한정책포럼, 2018. 9 • 「개성공단, 새로운 10년을 위한 비전과 모델을 준비해야」,『민족화해』(2014년 11월호) • 「소주공단 발전 사례를 통한 개성공단 활성화 방안」, 『통일경제』(2014년 제2호) • 「개성공업지구와 소주공업원구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외 다수
황주희(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북한학 박사 수료 현,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책임연구원 통일교육위원회 서울협의회 위원 북한과학기술연구센터 연구위원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17기 청년 자문위원 <연구 및 논문> • 「북한 행정구역 개편의 함의와 행정통합에 관한 연구」, 『통일정책연구』 제27권 1호, 2018, 통일연구원 • 「북한의 도로정책과 남북협력 시사점」, 『입법과 정책』 제11권 2호, 2019, 국회 입법조사처 외 다수
정일영(지은이)
2014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IBK기업은행 북한경제연구센터 연구위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선임연구원, 통일부 통일정책 자문위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을 역임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평양 오디세이』(2022), 『한반도 스케치北』(2021), 『북조선 일상다반사』(2021), 『속삭이다, 평화』(2020), 『북한 사회통제체제의 기원』(2018)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Part Ⅰ ‘시장’으로 미리 보는 통일경제 Chapter 01 북한경제 변화와 한반도 新경제 구상 - 한반도 통일의 문을 여는 평화ㆍ번영의 ‘통일경제’ - 〈조봉현〉 1. 변화하고 있는 북한경제 2. 新남북경협의 문은 열릴까? 3. 남북이 함께 만들어 가야 할 ‘한반도 新경제’ 구상 4. ‘평화경제’가 가져올 한반도 ‘미래경제’ Chapter 02 북한 시장화, 남북통합의 견인차 - ‘밑으로부터’ 끌어내는 北 변화동력이자 통일촉매제 - 〈추원서〉 1. 장마당으로 왜? “돈도 벌고, 먹고도 살아야 되기에” 2. 확대되는 ‘시장’ : 농민시장에서 건설시장까지 3. 정통 ‘계획경제’에서 이탈, 이행기 초입의 북한경제 4. 북한 시장화의 걸림돌과 남한의 대응방안 5. ‘장마당세대 주도 시장화’ 긍정적 변화 예고 Chapter 03 이제는 북한소비자 이해의 골든타임 - 한반도 경제공동체, 통일소비자시대를 열 ‘마중물’ - 〈조재욱〉 1. 왜 지금 북한소비자를 이해하고 연구해야 할까? 2. 북한소비자 연구와 현재 북한소비자 행동모습은? 3. ‘북한소비자 이해’가 담아내는 정책적 함의는? Part Ⅱ 1차산업&인프라 재건으로 ‘경협동력’ 시동 Chapter 04 남북상생의 북한 지하자원 - 통일에너지 ''원천''이자 남북경제공동체 ‘Win-Win'' 아젠다 - 〈최경수〉 1. 새로운 ‘남북관계 발전’ 길목에 있는 북한 지하자원 2. 무한한 잠재성, 허나 그 만큼의 한계도 직시 3. ‘잠재가치 ≠ 채산성’ 실태조사 선결요건 4. 본격궤도에 오를 ‘남북상생’ 그날을 그리며… Chapter 05 북한농정 평가와 협력과제 - 北 농업실태를 고려한 실효성 있는 남북협력 모색 - 〈김영훈〉 1. ‘식량난 극복’ 초점의 정책방안 잇단 제시 2. 자본조달 실패와 식량수급난에 발목 잡힌 농업개혁 3. ‘선도적협력사업’ 중심으로 전략적 단계별 접근 Chapter 06 북한 경제난의 출발점, 전력난의 극복방안은? - ‘한계상황’ 北 전력사정, 남북협력사업으로 물꼬를 - 〈홍순직〉 1. ‘북한경제’ 문제로만 국한될 수 없는 ‘북한 전력난’ 2. 북한 전력난의 현황과 안고 있는 문제점 3. 장단기로 나눠서 본 ‘북한 전력수요’ 전망 4. ‘남북경제공동체’ 관점 아래, 전력협력을 지렛대로 Part Ⅲ ‘남북상생’ 프레임으로 북한경제 ‘현실한계’ 극복 Chapter 07 북한, 투자처로서 얼마나 매력적인가? - 남과 북이 아닌 한반도 미래 ‘기회의 寶庫’ - 〈조진희〉 1. 활로와 성장을 위한 이슈, 북한과의 ‘2인3각’ 2. 북한투자 평가와 그 잣대는? 3. 북한투자에 대한 외국의 시각 ‘맑음’과 ‘흐림’ 4. 유경험과 투자유망 분야부터 단계적으로 5. 대북사업 ‘리스크’는 현실, 하지만 미래준비는 “착착착” Chapter 08 북한 경제개발구의 초기 자본조달 전략 - 成敗 갈랐던 北-中 사례에서 ‘성공Key’ 벤치마킹 - 〈장환빈〉 1. ‘북한경제 활로 찾기’ 화두를 염두에 두고 2. 초기 자본조달 전략Key는 ‘파트너십과 신뢰’ 3. ‘국제규범 관행 합치’의 투자보장책과 일관성을 Chapter 09 관광대국을 꿈꾸는 북한, 그 해법은? - ‘평화로 가는 旅券’이자 ‘남북경협’을 새롭게 여는 窓 - 〈정유석〉 1. ‘평화경제시대’ 도래의 관점으로 본 남북관광 2. 어제와 다른 북한의 관광정책 면면들 3. 지금도 진화중인 북한경제의 ‘블루오션’ 4. 남한 관광산업의 또 다른 기회 ‘북한개방과 통일’ Chapter 10 살아있는 ‘도시 박물관’ 평양의 미래 - 한반도의 역사를 담은 평양, 미래 명품도시로의 리모델링 - 〈민경태〉 1. 정치적 판단과 관계없이 공간 그 자체를 보자 2. 공간 연결성 향상 : 단절을 이어 도시 생명력 불어넣기 3. 상징적 공간의 재발견 : 평양의 관광명소 만들기 4. 평양은 매력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 후보지 5. 평양을 찾는 관광객 모두를 매료시킬 올레길 코스 6. 서울-평양 ‘하나의 도시’로 연계한 스마트 관광 Part Ⅳ 남과 북이 함께 만드는 ‘통일경제’의 미래 Chapter 11 김정은 시대 ICT 과학기술과 남북한 협력방안 - 北 ‘기초과학’ + 南 ‘응용과학’ ‘통일과학’ 쌍두마차 - 〈황주희〉 1. 지식경제 강국, 그 핵심은 ‘과학’ 2. 전 분야 과학화?과학자우대?인재양성’ 표방 3. 북한의 3대 ICT 기술: AI, IOT, Security 4. 남북한 ‘과학기술 협력방안’ 제언 Chapter 12 북한의 금융제도와 4차 산업시대의 북한금융의 변화 - 北 ‘시장화’의 가속페달, 금융개혁으로 정방향 제어 - 〈박철수〉 1. 생각으로 인도하는 북한금융 2. 하나의 시스템일 수밖에 없는 북한금융 3. 아래로부터의 시장경제화 가속 4. 가보지 않은 길: 4차 산업혁명에 ‘맞춤형’으로 디자인 5. ‘협력체제’ 구축으로 북한금융 개혁촉진 Chapter 13 통일경제는 북한 경제인력 양성에 달렸다 - 남과 북 따로가 아닐진대 이 또한 머리를 맞댈 공동과제 - 〈이재술/조봉현〉 1. 북한경제’ 회생, 시작은 ‘인재양성’에서부터 2. 북한의 경제인력 양성, 현주소는? 3. ‘통일경제’ 관점에서 북한 경제인력 양성은? 4. 남북한 경제동질성 회복에 기여 Chapter 14 남북경협 제도화의 실현방안 및 과제 - 남북경협의 ‘제도화’, 통일경제 초석이자 ‘상생 버팀목’ - 〈정일영〉 1. 과거와 오늘의 ‘한반도 자화상’ 2. 남북경협, 공존공영을 위해 피할 수 없는 도전 3. 남북경협은 왜 중단됐고, 남북관계 법제화의 한계는? 4. 과거를 ‘타산지석’으로 남북경협의 새 지평을 5. 남북경협의 새로운 모색은 우리사회 합의 속에서 INDEX 주제별 이해 돕는 찾아보기 “콕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