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7185 | |
005 | 20220824153049 | |
007 | ta | |
008 | 201124s2020 ulkaj b 000c kor | |
020 | ▼a 9791165391690 ▼g 0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951.902 ▼2 23 |
085 | ▼a 953.0553 ▼2 DDCK | |
090 | ▼a 953.0553 ▼b 2020z7 | |
100 | 1 | ▼a 이순신, ▼g 李舜臣, ▼d 1545-1598 ▼0 AUTH(211009)130125 |
245 | 2 0 | ▼a (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 ▼d 이순신 지음 ; ▼e 윤헌식 주해 |
246 | 0 9 | ▼a 亂中日記 |
260 | ▼a 서울 : ▼b 북랩, ▼c 2020 | |
300 | ▼a 581 p. : ▼b 삽화, 가계도 ; ▼c 26 cm | |
500 | ▼a 부록: 원문 판독 및 번역 오류 교정 | |
504 | ▼a 참고문헌: p. 578-581 | |
700 | 1 | ▼a 윤헌식, ▼d 1972-, ▼e 주해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553 2020z7 | Accession No. 1118372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난중일기』는 임진왜란 시기 전쟁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사료 중 하나다. 이 책은 기존의 번역본들이 이루어 놓은 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난중일기』가 가지는 역사자료로서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적 의미와 배경에 대해 자세히 다룬다.
이순신 장군의 죽음으로 노량해전에서 멈춘 난중일기
그 소중한 국가적 유산이 한 연구자에 의해 복원되다!
논란 중인 합포, 적진포, 고리량 등의 위치를 다시 비정하고
칠천량해전, 노량해전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낸
임진왜란사 연구자 윤헌식의 『난중일기』 완역본
충무공 이순신의 개인사가 담긴 『난중일기』는 단순한 개인 기록에 그치지 않고 군 최고 지휘관이 남긴 전쟁기록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가 이루 말할 수 없이 높다. 이러한 연유로 『난중일기』에 대한 독자의 관심과 요구는 매해 끊이지 않았고 번역자들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에 상당수의 번역본이 출간될 수 있었다. 출간되는 번역본의 수준은 해가 지날 때마다 점차 높은 수준이 되었으며, 그 결과 『난중일기』의 판독과 번역은 현재 그 수준이 거의 완성 단계에 다다랐다고 할 수 있다. 이 책 역시 독자에게 정확하게 난중일기를 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나왔으며 기존의 오류를 수정하고 상세한 주석을 달아 독자가 난중일기를 오류 없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난중일기』는 임진왜란 시기 전쟁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사료 중 하나다. 이 책은 기존의 번역본들이 이루어 놓은 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난중일기』가 가지는 역사자료로서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적 의미와 배경에 대해 자세히 다루려고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순신(지은이)
1545년 3월 8일 문반 가문의 셋째로 태어났다. 1576년에 병과로 급제해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충청 병사 군관, 발포 수군만호, 함경도 건원보 권관, 훈련원 참군, 사복시 주부, 조산보 만호 겸 녹둔도 둔전관, 전라순찰사 군관 겸 조방장 등을 거쳤다. 이어 1589년 정읍 현감으로 지방관 생활을 했으며,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임명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해전, 적진포해전, 사천해전, 당포해전 등에서 전승해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1593년 8월에 삼도수군통제사에 최초로 임명되어 1594년에도 장문포해전, 영등포해전 등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1597년 1월 조정을 기망한 죄로 통제사직에서 파직되어 투옥되었다. 출옥 후 도원수 권율 밑에서 백의종군했다. 1597년 7월 원균이 이끌던 조선 수군이 칠천량해전에서 대패하자 삼도수군통제사에 재임명되었다. 9월 16일 남은 12척의 배와 120명의 군사로 130여 척의 왜선과 맞서 명량해전을 대승으로 이끌었다. 1598년 명의 수군과 연합해 왜선 500여 척과 싸우다 노량해전에서 11월 19일 새벽에 전사했다. 1604년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되었고, 1643년에는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1793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윤헌식()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숭실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하고 관련 업종에서 근무하고 있다. 비록 전공은 아니지만 역사 분야에 관심이 깊어 여러 관련 서적을 탐독하였다. 특히 임진왜란사에 많은 관심이 있어서 이 분야의 연구서와 조선시대 문헌을 읽던 중 충무공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역사자료의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한 책이 없는 것을 발견한 일을 계기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5 이순신 가계도 7 머리말 8 난중일기 완역 1592년 임진일기(壬辰日記) 17 1593년 계사일기(癸巳日記) 59 1594년 갑오일기(甲午日記) 113 1595년 을미일기(乙未日記) 193 1596년 병신일기(丙申日記) 247 1597년 정유일기 1(丁酉日記) 319 1597년 정유일기 2(續丁酉日記) 379 1598년 무술일기(戊戌日記) 409 난중일기 주석 1592년 임진일기(壬辰日記) 424 1593년 계사일기(癸巳日記) 442 1594년 갑오일기(甲午日記) 456 1595년 을미일기(乙未日記) 473 1596년 병신일기(丙申日記) 481 1597년 정유일기 1(丁酉日記) 503 1597년 정유일기 2(續丁酉日記) 546 1598년 무술일기(戊戌日記) 556 부록 원문 판독 및 번역 오류 교정 572 참고문헌 578 참고사이트 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