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7047 | |
005 | 20201126094721 | |
007 | ta | |
008 | 201124s202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3928357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598312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373.246 ▼2 23 |
085 | ▼a 373.246 ▼2 DDCK | |
090 | ▼a 373.246 ▼b 2020 | |
100 | 1 | ▼a 송낙현, ▼g 宋洛顯 |
245 | 1 0 | ▼a 진로·전문교육 : ▼b 새 시대 인재양성의 새로운 패러다임 = ▼x A new paradigm for educating workforce in the new age,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 ▼d 송낙현 지음 |
246 | 3 1 | ▼a New paradigm for educating workforce in the new age,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
260 | ▼a 서울 : ▼b 지식과미래, ▼c 2020 | |
300 | ▼a ix, 173 p. : ▼b 삽화 ; ▼c 21 cm | |
500 | ▼a 부록: 1. O*NET의 역량, 2. 교육생태계 혁신, 3. 21st-century skills 외 | |
504 | ▼a 참고문헌(p. 156-16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3.246 2020 | Accession No. 1118371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나라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지능정보화 시대라고 불리는 새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산업화 시대에는 평생에 걸친 진로 개척 능력과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 직무, 사회적 역량 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 진로.전문교육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책으로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 행정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집필되었다.
새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인재양성 체제로의 전환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전까지는 산업화 시대, 2000년대 이후 지식정보화 시대를 거쳐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지능정보화 시대라고 불리는 새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산업화 시대에는 산업사회의 수요에 집중하여 인력을 양성하여 배출하였다. 이것은 인재양성의 관점을 국가의 발전에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등 또는 고등직업교육기관은 학생들이 특정 1~2개의 직무를 익혀 사회에 진출시켰다.
새로운 인재양성 체제는 진로·전문교육(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이다. 학생들이 특정 직업의 직무중심으로만 교육을 받아 일의 세계로 진입하기보다는 학생 개인이 미래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삶, 교육, 일 모두를 연계하는 교육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은 평생에 걸친 진로 개척 능력과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 직무, 사회적 역량 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 진로·전문교육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 행정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집필되었다.
진로·전문교육을 학문적으로 이해
이 책의 저자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육부에서 교육연구사, 교육연구관으로 직업교육을 포함한 교육정책을 20년 이상을 담당하며, 학교현장과 교육정책의 전문성을 가지고 시대의 변화를 예견하여 미래사회를 주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라는 주장으로 우리나라가 종래의 인재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을 새 시대의 인재양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진로·전문교육으로 전화해야 하는 골든타임이라는 절실한 마음에서 이 책을 저술하였다.
진로·전문교육을 더욱 알차게
이 책은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앞에 John Dewey의 저서 ?Democracy And Education? 에서 이 책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것과 관련 있는 John Dewey의 직업교육에 대한 철학적 견해의 문구를 인용하였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은 새 시대의 전개, 제3장은 우리나라의 그동안의 인재양성 교육, 제4장은 진로·전문교육을 중심으로 한 새 시대의 새로운 인재양성 체제, 제5장은 진로·전문교육기관의 역할과 기능에 관하여 다루었다. 특히, 각 장마다 탐구과제를 제시하여 본문의 내용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토론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하여 심층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부록에는 본문 내용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록하여 독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CHAPTER 1 서론 CHAPTER 2 새 시대의 전개 01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0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구, 생산성, 직업세계의 변화 03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상과 역량 CHAPTER 3 그동안의 인재양성 교육 01 실업교육 02 직업교육 CHAPTER 4 새 시대의 새로운 인재양성 체제 01 미래사회의 인재양성 교육체제 02 진로·전문교육의 철학적 배경과 개념 03 진로·전문교육의 발전과 체제 04 직업교육에서 진로·전문교육으로의 전환 05 새 시대를 위한 진로·전문교육의 방향 CHAPTER 5 진로·전문교육의 역할과 기능 01 역할과 기능의 개념 및 관계 02 학교의 역할과 기능 03 직업교육 및 진로·전문교육의 역할과 기능 04 새 시대의 중등 진로·전문교육기관의 역할과 기능 APPENDIX 부록 01 O*NET의 역량 02 교육생태계 혁신 03 21st-Century Skills 04 UNESCO(2015) Recommendation concerning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