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7027 | |
005 | 20201130153901 | |
007 | ta | |
008 | 201124s2020 ulk 000c kor | |
020 | ▼a 9788959428540 ▼g 03360 | |
035 | ▼a (KERIS)BIB000015554371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2.519 ▼2 23 |
085 | ▼a 342.53 ▼2 DDCK | |
090 | ▼a 342.53 ▼b 2020z16 | |
100 | 1 | ▼a 이수천 |
245 | 1 0 | ▼a 너와 나, 그리고 우리의 헌법 / ▼d 이수천 지음 |
260 | ▼a 서울 : ▼b 삼일인포마인, ▼c 2020 | |
300 | ▼a 318 p. ; ▼c 23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53 2020z16 | 등록번호 1118373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헌법 조문을 이해하고 사례적용이 가능한 교재다. 중ㆍ고등학교 학생은 물론 대학생, 법학 입문 등을 하고 싶은 모든 분들이 볼 수 있다. 헌법을 알고 싶은 성인이라면 누구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교재가 되도록 보기 쉽고 알기 쉬운 교재다.
“대한민국 국민은 헌법을 읽어야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헌법을 알아야 합니다” 헌법은 너와 나 우리 모두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 특 장 점 ■
ㅇ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헌법 조문을 이해하고 사례적용이 가능한 교재입니다.
ㅇ 중ㆍ고등학교 학생은 물론 대학생, 법학 입문 등을 하고 싶은 모든 분들이 볼 수 있는 교재입니다.
ㅇ 헌법을 알고 싶은 성인이라면 누구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교재가 되도록 보기 쉽고 알기 쉬운 교재입니다.
■ 주 요 내 용 ■
ㅇ 대한민국 헌법의 조문을 전부 실었습니다.
ㅇ 헌법 조문을 이해하기 쉽도록 “조문의 의미”에서 간략하고 명쾌한 해설을 하였습니다.
ㅇ “생각해보기”를 통해 헌법 조문이 실제 사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헌법재판소의 결정문을 중심으로 해설하였습니다.
ㅇ 헌법 조문을 통해 대부분의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들에 대한 조금의 비판과 비평도 가미하였습니다.
■ 경쟁도서와의 비교 ■
ㅇ 기존의 헌법교양서와는 차원이 다른 교재를 지향합니다.
ㅇ 남녀노소 누구나 볼 수 있는 헌법교양서이자 입문서입니다.
ㅇ 국민 모두가 읽을 수 있도록 알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습니다.
ㅇ 중ㆍ고등학교의 교양서로도 손색이 없는 교재입니다.
ㅇ 저자의 온라인 강의(www.leesucheon.com)와 함께 한다면 교재의 이해가 더 깊어질 것입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제1편 헌법총칙 제1조 : 국호, 정치체제, 주권 제2조 : 국민, 재외국민 제3조 : 영토 제4조 : 통일 제5조 : 국제평화, 국군의 중립성 제6조 : 조약과 국제법규의 효력, 외국인의 지위 제7조 : 공무원의 책무 및 정치적 중립성 제8조 : 정당 제9조 :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의 계승ㆍ발전\ 제2편 국민의 권리와 의무 제1장 국민의 권리(기본권) 제10조 : 포괄적 기본권 제11조 : 평등권ㆍ평등원칙 제12조 : 신체의 자유 제13조 : 형벌불소급, 소급입법의 금지, 자기책임의 원칙 제14조 : 거주ㆍ이전의 자유 제15조 : 직업선택의 자유 제16조 : 주거의 자유 제17조 :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제18조 : 통신의 비밀과 자유 제19조 : 양심의 자유 제20조 : 종교의 자유 제21조 : 표현의 자유-언론ㆍ출판ㆍ집회ㆍ결사의 자유 제22조 : 학문과 예술의 자유, 저작자 등의 권리 제23조 : 재산권 제24조 : 선거권 제25조 : 공무담임권 제26조 : 청원권 제27조 : 재판청구권ㆍ무죄추정의 원칙, 재판절차진술권 제28조 : 형사보상청구권 제29조 : 국가배상청구권 제30조 : 범죄피해자의 구조청구권 제31조 : 교육권, 의무교육, 교육제도법정주의 제32조 : 근로의 권리, 근로의 의무, 여성과 연소자 근로의 보호 제33조 : 근로3권 제34조 : 인간다운생활을 할 권리, 장애인 등의 보호 제35조 : 환경권 제36조 : 혼인과 가족생활에 대한 권리 제37조 : 자유와 권리의 범위, 제한 제2장 국민의 의무 제38조 : 납세의무 제39조 : 국방의무 제3편 국가의 통치구조 제1장 국회(제40조 ∼ 제65조) 제2장 정부(제66조 ∼ 제100조) 제1절 대통령(제66조 ∼ 제85조) 제2절 행정부(제86조 ∼ 제100조) 제3장 법원(제101조 ∼ 제110조) 제4편 그 밖의 제도 제1장 헌법재판소(제111조 ∼ 제113조) 제2장 선거관리(제114조 ∼ 제116조) 제3장 지방자치(제117조 ∼ 제118조) 제4장 경제(제119조 ∼ 127조) 제5장 헌법개정(제128조 ∼ 제130조) 제5편 부칙〈10호, 1987.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