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 보다 : 정동·광화문 편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 보다 : 정동·광화문 편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동완, 姜東完, 1974- 전병길, 저
Title Statement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 보다 : 정동·광화문 편 / 강동완, 전병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부산 :   너나드리,   2020  
Physical Medium
173 p. : 천연색삽화 ; 18 x 18 cm
ISBN
9791196508159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6990
005 20201130154349
007 ta
008 201124s2020 bnka 000c kor
020 ▼a 9791196508159 ▼g 0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5 ▼a 320.9519 ▼2 23
085 ▼a 953.1 ▼2 DDCK
090 ▼a 953.1 ▼b 2020z4
100 1 ▼a 강동완, ▼g 姜東完, ▼d 1974-
245 1 0 ▼a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 보다 : ▼b 정동·광화문 편 / ▼d 강동완, ▼e 전병길
260 ▼a 부산 : ▼b 너나드리, ▼c 2020
300 ▼a 173 p. : ▼b 천연색삽화 ; ▼c 18 x 18 cm
700 1 ▼a 전병길,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1 2020z4 Accession No. 1118370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의 일상을 통일의 눈으로 다시 보자는 시도다. 일상의 통일, 통일의 일상을 살다 보면 꿈에도 그리던 통일은 현실이 될 것이다. 서울 정동과 광화문은 국권상실과 독립운동, 분단과 전쟁, 산업화와 민주화의 현장 한 가운데에 있었다. 그리고 통일에 대한 희망과 꿈을 고이 간직한 곳이다. 이 책은 정동과 광화문 일대 역사현장을 걸으며 나눔과 통일을 이야기하려는 통일여행길잡이다.

국내 최초 통일여행 안내서: 서울 정동과 광화문 이야기!!!
- 당신이 통일과 만나는 작은 여행

분단이 우리 삶에 깊숙이 자리하는데, 통일은 일상에 스며들지 못한다. 이 책은 ‘통일아 노올~자’라는 주제로 우리의 일상을 통일의 눈으로 다시 보자는 시도다. 일상의 통일, 통일의 일상을 살다 보면 꿈에도 그리던 통일은 현실이 될 것이다. 서울 정동과 광화문은 국권상실과 독립운동, 분단과 전쟁, 산업화와 민주화의 현장 한 가운데에 있었다. 그리고 통일에 대한 희망과 꿈을 고이 간직한 곳이다. 이 책은 정동과 광화문 일대 역사현장을 걸으며 나눔과 통일을 이야기하려는 통일여행길잡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동완(지은이)

대학교수라는 말보다 통일덕후로 불리길 원하는 분단조국의 한 사람이다. 평양을 몇 번 다녀온 건 벌써 십여 년 전의 일이다. 북한을 연구하는 학자가 현장에 직접 갈 수 없기에 북중 국경에라도 가서 북녘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다. 사진은 셔터를 누르는 이의 고뇌에 따라 진실과 사실 사이를 오가기에, 세상이 반드시 알아야 할 북한 주민들의 실상만을 전하고자 애쓴다. 바로 “당신이 통일입니다”를 외치며 &lt통일의 눈으로 (지역)을 다시보다&gt라는 시리즈 작업을 하고 있다. 통일크리에이티브로 살며 ‘통일만 생각하고 통일을 사랑한다(통생통사)’는 의미를 담아 유튜브 ‘강동완 TV’를 운영중이다. 제3국출신 탈북민 자녀를 위한 돌봄학교와 통일문화센터를 건립하는 게 꿈이다. 호흡이 멈출 때까지 통일북한 관련 99권의 책을 집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마지막 100번째 책으로는 자서전을 쓰고 “통일조국을 위해 작은 노둣돌 하나 놓은 사람”이라는 저자사인을 남기고 싶다. 그 날을 위해 세상의 달콤함과 타협하지 않고 통일의 오직 한길만을 걸으리라 늘 다짐한다. 지금 이 순간 바로 여기... 주요저서로, 『서해5도에서 북한쓰레기를 줍다』(2022 세종도서), 『평양 882.6km: 평양공화국 너머 사람들』 (북중국경 시리즈 3), 『그들만의 평양: 인민의 낙원에는 인민이 없다』(북중국경 시리즈 2), 『평양 밖 북조선: 999장의 사진에 담은 북쪽의 북한』(북중국경 시리즈 1), 『동서독 접경 1,393km, 그뤼네스 반트를 종주하다: 30년 독일통일의 순례』, 『러시아에서 분단을 만났습니다: ‘충성의 외화벌이’라 불리는 북한노동자』, 『북한담배: 프로파간다와 브랜드의 변주곡』(메이드 인 북한- 첫 번째 상품), 『김정은의 음악정치: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두 번째 이야기)』, 『엄마의 엄마: 중국 현지에서 만난 탈북여성의 삶과 인권』, 『사람과 사람: 김정은 시대 북조선 인민을 만나다』(2016 세종도서), 『통일의 눈으로 부산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제주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백령도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춘천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교토를 다시보다(해외편)』, 『Seoul through the eyes of liberty and peace』, 『통일수학여행: 해파랑길에서 만나는 통일』, 『통일, 너를 만나면 심쿵』, 『통일과 페친하다』,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 『한류, 통일의 바람』(2012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교양도서), 『한류, 북한을 흔들다』 등을 집필했다.

전병길(지은이)

사회와 경제 문제에 대한 탐구 정신, 사람에 대한 사랑을 마음에 품고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혁신가의 삶을 살고 있다.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을 좋아하며 우리 경제와 기업의 역사 속에 어린 한(恨)과 매력을 미래지향적인 가치로 풀어내고 싶어 한다. 마케팅과 사회혁신, 통일문제를 넘나드는 다양한 활동을 하며 그동안 다수의 기업, 공공단체, 비정부기구(NGO), 대학 등에서 강연과 컨설팅을 해왔다. 정주영의 기업가정신, 앤디 워홀의 상상력, 무하마드 유누스의 실천력을 본받아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고 싶은 꿈을 꾼다. 이러한 그를 가리켜 《조선일보》는 ‘새 통일운동의 불씨’로 《국민일보》는 ‘정의로운 자본주의를 설파하는 이’로 소개하기도 했다. 창의적인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 현재 재단법인 통일과 나눔 사무국장으로 일하며, 연세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에서 기업과 사회 그리고 미래전략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주요저서로, 『새로운 자본주의에 도전하라』(2009, 네이버 오늘의 책), 『코즈마케팅』(2010,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통일한국 브랜딩』, 『사회혁신 비즈니스』, 『브랜드 임팩트』 『공동관람구역: 영화로 통일을 읽다』, 『대한민국 활명수에 살다』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보다』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서울 정동ㆍ광화문의 통일map
왜 정동인가: 정동길이 품은 역사

01 도로원표 공원
02 민족일보 터
03 조선일보 편집국(옛 서울중앙방송국 자리)
04 서울시의회 청사(옛 국회의사당)
05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06 덕수궁 석조전
07 하비브하우스(현 미국대사관저)
08 정동교회(현 정동제일교회)
09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10 동화약품 (옛 동화약방)
11 중명전
12 이화박물관(옛 손탁호텔 터)
13 옛 러시아공사관
14 경교장
15 구세군- 정동 1928 아트센터
16 주시경 마당(한글가온길)
17 동광, 새벽 그리고 광장(현 포시즌호텔 부근)
18 통일부(현 서울정부청사)
19 옛 중앙청(현 경복궁 흥례문 자리)
2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1 아서원(현 롯데호텔 부근)
22 현봉학 동상(옛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자리)
23 통일로 1(옛 서울역사)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