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디지털 뉴스 소비자 :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

디지털 뉴스 소비자 :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경희, 편 문연주, 저 상윤모, 저 신우열, 저 오연주, 저 진민정, 저 홍주현, 저
서명 / 저자사항
디지털 뉴스 소비자 :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 / 김경희 엮음 ; 김경희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형태사항
xv, 247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ICT 사회 연구 총서 ;9
ISBN
9791128860928
일반주기
공저자: 문연주, 상윤모, 신우열, 오연주, 진민정, 홍주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6914
005 20201126135404
007 ta
008 201124s2020 ulkad b 000c kor
020 ▼a 9791128860928 ▼g 93300
035 ▼a (KERIS)BIB000015637860
040 ▼a 245011 ▼c 245011 ▼d 211009
082 0 4 ▼a 070.40285 ▼2 23
085 ▼a 070.40285 ▼2 DDCK
090 ▼a 070.40285 ▼b 2020
245 0 0 ▼a 디지털 뉴스 소비자 : ▼b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 / ▼d 김경희 엮음 ; ▼e 김경희 [외]지음
246 1 1 ▼a Digital news consumers : ▼b from citizen journalists to slow media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20
300 ▼a xv, 24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40 0 0 ▼a ICT 사회 연구 총서 ; ▼v 9
500 ▼a 공저자: 문연주, 상윤모, 신우열, 오연주, 진민정, 홍주현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책은 2019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5S1A5B4A01037022)
700 1 ▼a 김경희, ▼e
700 1 ▼a 문연주, ▼e
700 1 ▼a 상윤모, ▼e
700 1 ▼a 신우열, ▼e
700 1 ▼a 오연주, ▼e
700 1 ▼a 진민정, ▼e
700 1 ▼a 홍주현,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20 등록번호 1118369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ICT 사회 연구 총서 9권. 끊임없이 등장하는 새로운 기술과 디바이스가 뉴스 생태계는 물론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까지 송두리째 뒤바꾸고 있다. 전통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저널리즘은 바람 앞의 갈대마냥 흔들리고, 수동적인 소비자였던 독자들은 생태계의 변화를 주도하는 능동적인 생비자로 거듭났다.

디지털 시대의 뉴스와 소비자는 어떤 모습인가. 이를 점검하는 일은 저널리즘의 건강한 미래를 준비하는 첫 단계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형태의 디지털 뉴스 생태계를 가진 7개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를 통해 지금 우리의 위치와 방향성을 모색한다.

세계 7개국의 사례에서 배우는 디지털 뉴스의 현재와 미래

2003년 2월 23일, 대한민국 전국민의 시선이 인터넷 독립 언론사인 ≪오마이뉴스≫에 쏠렸다. 2002년 12월 16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노무현 당선자의 당선 이후 첫 인터뷰 기사가 실렸기 때문이다. 역대 대통령 당선자의 첫 인터뷰가 공영방송 KBS나 전통 있는 일간지와 이루어졌던 것과는 전혀 다른 일종의 ‘사건’이었다. 이는 언론에 대한 노무현 당선자의 문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겠지만 기존 언론에 실망한 국민들이 시민기자가 만드는 ≪오마이뉴스≫에 눈을 돌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뉴스의 지형이 디지털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명백한 신호이기도 했다.
뉴스의 중심추가 레거시 미디어(신문 방송 등)에서 디지털(인터넷, 모바일)로 옮겨가게 된 또 다른 계기는 ‘세월호 사건’이다. 당시 기존 언론들의 오보와 도를 넘는 특종 경쟁은 ‘기레기’라는 말을 낳으며 기존 언론들에 대한 신뢰를 송두리째 무너뜨리게 된다.
뉴스 소비의 중심추가 디지털로 옮겨가면서 생각지도 못한 부작용이 드러났다. 이른바 ‘가짜뉴스’의 확산이다. 유튜브, SNS 등의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1인 미디어가 난립하면서 가짜뉴스의 확산은 그 속도를 더하며 사회의 혼란을 가속화하고 있다. 왜 이렇게 된 걸까?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었으며, 그 해답을 역사적 고찰과 세계 다른 국가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찾고자 한다.

뉴스 소비 지형 변화의 배경에는 기술의 발달이 있다. 끊임없이 등장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디바이스는 뉴스 생태계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까지,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인터넷 도입 이후 수많은 사건이 일어났고, 그 사건들을 계기로 뉴스 생태계는 끊임없이 진화해 왔다. 따라서 발생한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해 보는 일은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역사적인 과정으로 현 시점의 상황을 이해해 보는 일이 될 것이다. 더불어 인터넷 뉴스 생태계를 역사적으로 돌아보는 일은 주요 사실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갈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처럼 새로운 플랫폼의 확산으로 저널리즘의 원칙이 흔들리는 혼돈의 시기에 뉴스 생태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중요하다.

역사적 접근과 함께, 같은 시기에 비슷한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다른 국가들의 현상을 이해한다면 우리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대안을 찾는 데 유용할 것이다. 다른 국가들 역시 우리와 비슷하게 가짜뉴스로 혼란을 겪고 있고, 스마트폰의 등장과 소셜 미디어의 확산으로 이용자들의 뉴스 이용 행태가 급변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인터넷 도입 이후 다른 국가들은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쳤으며 지금 겪고 있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사례로 살펴보는 나라는 중국, 일본, 미국, 싱가포르, 프랑스, 호주다. 이들 나라의 특수한 상황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인터넷 도입 이후 20∼30여 년에 걸친 뉴스 생태계 변화를 다루고, 마지막 부분에 각 국가의 상황을 한국의 뉴스 생태계 진화 과정과 비교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이 책은 미디어에 관심이 있는 고등학생 이상의 일반인들이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 스마트폰과 함께 살아가는 요즘 사람들에게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과 뉴스 생태계의 변화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다양한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미디어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에게는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이 각 국가의 정치·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면서 뉴스 생태계를 어떻게 바꿔 나갔는지, 그 과정에서 이용자와 언론인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경희(지은이)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한국언론학회장,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에서 대통령 선거 조사·국민 의식 조사 등 여론 조사 보도를 담당했으며, 뉴스속보부에서 인터넷 뉴스를 기획·편집했다. 저서로는 『한국사회와 인터넷 저널리즘』(2018), 『한국사회와 뉴미디어 확산』(편저, 2018),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편저, 2018), 『뉴스 안과 밖의 여성』(201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Cying for me, cying for us: Relational dialectics in a korean social network site”(공저, 2007), “Obstacles to the success of female journalists in Korea”(2006)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진민정(지은이)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한국외대 불어과를 졸업했으며, 파리10대학에서 정보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파리2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참여 저널리즘, 언론 산업, 소셜 미디어 시대의 집합행동 등이고, 현재 청소년 미디어 이용 방식에 적합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중이다. 저서로는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뉴스 전략>(공저, 2019), <솔루션 저널리즘의 현황과 가능성>(2019), <저널리즘의 품질: 평가기준과 모델>(공저, 2014), 논문으로는 “Repertoires d’action collective a l’ere de la masse individualisee: le cas des manifestations aux bougies et du mouvement OWS”(2019) 등이 있다.

문연주(지은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기획조정실 심리상담팀장이다. 일본 조치(上智)대학교에서 언론학을 전공하고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인 “일본 서적출판편집자의 전문적직업화과정에 관한 연구”는 직업사회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출판 저널리즘 연구이자 편집자론이다. 대학에서 저널리즘과 매스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강의를 했으며, 아주대학교 세계학연구소의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근무하고 있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정책과 법제, 미디어 윤리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일본 편집자의 탄생』(2010)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출판천재 간키 하루오』(2011) 등이 있다.

홍주현(지은이)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후 베이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1년간 연구학자를 했다. 서울특별시청 여론조사 전문직, 분산공유형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단에서 연구원 등을 거쳤다. 인터넷 여론, 소셜 미디어에서의 루머 확산,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저서로 <소셜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공저, 2018), <한국사회와 뉴미디어 확산>(공저, 2018)이 있다.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2019), “루머의 사실성·파급력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공중의 관계: 사드배치 관련 루머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2017), “사드 루머(THAD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신우열(지은이)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 시대의 저널리즘을 공부한다. 저널리즘 현장에 잠시 몸담았던 경험이 그 원천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 전임연구원으로서 탐사보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한국방송기자대상(2018), 미디어공공성포럼언론상(2018) 등을 받았다. 저서로는 Digital Korea: Digital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Social Life(공저, 2018), <한국의 언론과 언론 운동 성찰: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공저, 2018) 등이 있으며 Journalism,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sian Studies Review, ≪한국언론학보≫ 등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상윤모(지은이)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Univ. of Texas at Austin)에서 미디어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하워드대학교(Howard University) 교수, 호주 캔버라대학교(University of Canberra) 교수를 거쳐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Media Law in South Korea』(공저, Kluwer Law International, 2021),『 디지털 뉴스 소비자』(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가 있다. 디지털 미디어 이용자 및 미디어법 관련 다수의 SSCI급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Digital Journalism, Social Media + Society, Communication Law and Policy, 미디어와 인격권 등 국내외 주요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오연주(지은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책본부 책임연구원이다. 볼링그린 주립대학교(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에서 프리·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의 젠더 역학과 노동에 관한 논문으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사회학과 비판연구 관점에서 디지털 사회 혁신, 디지털 주권과 리터러시, 디지털 거버넌스를 연구한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체평가위원회 및 행정안전부의 열린정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림대학교에서 정보기술과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와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에서 리서치 펠로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Cyberfeminism 2.0(2012, 편저·공저),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Studies(2013, 공저),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2020, 공저)가 있다.

김경희(엮은이)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한국언론학회장,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에서 대통령 선거 조사·국민 의식 조사 등 여론 조사 보도를 담당했으며, 뉴스속보부에서 인터넷 뉴스를 기획·편집했다. 저서로는 『한국사회와 인터넷 저널리즘』(2018), 『한국사회와 뉴미디어 확산』(편저, 2018),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편저, 2018), 『뉴스 안과 밖의 여성』(201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Cying for me, cying for us: Relational dialectics in a korean social network site”(공저, 2007), “Obstacles to the success of female journalists in Korea”(2006)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01 시민 저널리즘을 일군 한국의 뉴스 생비자와 포털 정책에 요동치는 뉴스 생태계
요동치는 한국 사회, 그 중심에 있는 인터넷
인터넷 독립 언론과 시민 저널리즘의 성장
포털 중심 뉴스 생태계의 정착
포털 유입량과 바꾼 저널리즘 원칙 
시사 유튜버의 부상과 가짜뉴스의 유통
한국 인터넷 뉴스 생태계에 영향을 준 이정표적인 사건들
뉴스인 듯 뉴스 아닌 뉴스 속에서 헤매는 한국인들이 실천할 일  

02 검열 속에 성장한 중국의 모바일 뉴스 소비: ICT 발달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이용 행태 변화
스마트 시티와 정보 통제가 공존하는 사회
중국의 두 얼굴: 강력한 정보 통제와 인터넷ㆍ모바일 강국
중국의 인터넷ㆍ모바일 이용자 특성
정보 검열과 통제의 부메랑: 정보로부터 고립된 중국
하드웨어에 강한 중국, 소프트웨어에 강한 한국

03 싱가포르 정부의 인터넷 미디어 규제와 대안 언론으로서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
순응과 저항 사이
규제의 관점으로 보는 싱가포르 인터넷 언론
싱가포르를 이해하는 키워드 세 가지
싱가포르의 전통 미디어 산업 구조
싱가포르 인터넷 뉴스의 지형
싱가포르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과 한계
싱가포르와 한국의 사회적 · 정치적 역동성과 인터넷 대안 뉴스의 성장

04 일본 사회의 변화하는 뉴스 지형과 뉴스 이용의 세대 격차
미디어로서의 존재감 부각시킨 ≪야후재팬≫의 재난 보도
변화하는 뉴스 지형: 전통 미디어의 강세 혹은 쇠락
데이터로 보는 일본인의 뉴스 이용과 뉴스 인식의 변화
인터넷 기반 뉴스 서비스의 확산과 명암
변혁을 지향하는 행동주의 한국, 안정을 지향하는 안전주의 일본

05 균형을 잃은 뉴스 시장에서 미국인이 이용하게 된 인터넷 뉴스의 특징
덴버 토박이 수잔에게 생긴 일  
미국 미디어 산업 구조의 형성  
미국 뉴스 시장의 실패  
비영리 매체의 약진과 그 그늘  
플랫폼 기업의 미디어 시장 재구성  
미국보다 더 답이 없는 한국 언론

06 프랑스의 뉴스 소비 지형 변화와 언론의 고군분투
‘무료 정보는 함정’이라는 아이들
프랑스 언론의 현황 및 특징
인터넷 이후, 언론과 뉴스 소비 지형의 변화  
모바일 시대, 새로운 뉴스 소비 지형과 언론의 대응
독자에 집중하는 프랑스, 독자는 뒷전인 한국

07 심화되는 미디어 소유 집중, 뉴스에 관심이 적은 호주인들
호주 다문화 사회, 풀어야 할 숙제들 산적
호주 뉴스 미디어 지형: 심화되는 미디어 소유 집중
호주의 인터넷 보급률과 ICT 이용 현황
인터넷 뉴스의 성장
이용자 특성별 인터넷 뉴스 이용 행태  
인터넷 뉴스의 공유와 최근 이용 행태  
뉴스에 관심이 적은 호주인들, 뉴스를 불신하는 한국인들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