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의 교육쟁점 분석

한국의 교육쟁점 분석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달효, 金達孝
서명 / 저자사항
한국의 교육쟁점 분석 = Education issues analysis in Korea / 김달효 지음
발행사항
용인 :   문음사,   2020  
형태사항
385 p. : 도표 ; 23 cm
ISBN
9788981685515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61-38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6700
005 20201120155206
007 ta
008 201120s2020 ggkd b 000c kor
020 ▼a 9788981685515 ▼g 93370
035 ▼a (KERIS)BIB000015547354
040 ▼a 221008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9519 ▼2 23
085 ▼a 370.953 ▼2 DDCK
090 ▼a 370.953 ▼b 2020z9
100 1 ▼a 김달효, ▼g 金達孝
245 1 0 ▼a 한국의 교육쟁점 분석 = ▼x Education issues analysis in Korea / ▼d 김달효 지음
260 ▼a 용인 : ▼b 문음사, ▼c 2020
300 ▼a 385 p. : ▼b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61-385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953 2020z9 등록번호 1118368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달효(지은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석사, 박사(교육행정 전공) (現)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부산광역시의회 의정자문위원 부산광역시교육청 정책자문위원 교육부 교육정책 자문위원 한국교육정치학회 편집위원장 한국교육정치학회 이사 한국교육행정학회 이사 초등학교 교사선발임용시험 출제위원 중등학교 교사선발임용시험 출제위원 <대표 논문> 고교평준화제도 정당화의 재조명 교육감 주민직선제 존속의 합당함에 관한 조명 중등교원임용시험의 타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학교민주주의에 관한 플랫폼 구축 연구 좋은 교사의 특성이 교사평가에 주는 시사점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좋은 수업의 특성이 내포하는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의 이론적 고찰 학급규모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 학교 공간에 관한 의미 탐색: 비판과 대안 학교시설의 효과성에 관한 문헌 연구 미래형 학교 공간의 특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미래형 교실 공간의 색채와 디자인에 관한 고찰 <대표 저서> 사회정의와 교육리더십 합리적 의심: 지식인의 책무 공교육의 도전: 학교선택제 (쉽게 풀어 쓴)교직실무: 교직의 이해 한국의 교육쟁점 분석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좋은 교사
-좋은 교사의 특성이 교사평가에 주는 시사점-

Ⅰ. 서론 19
Ⅱ. 좋은 교사의 특성 20
1. ‘좋은 교사’의 개념_20
2. ‘좋은 교사’의 구성요소_22
Ⅲ. ‘좋은 교사’의 특성이 교사평가에 주는 시사점 28
1. 평가의 지향성_29
2. 평가 척도_30
3. 평가 주체_35
Ⅳ. 결론 37

제2장
좋은 수업
-좋은 수업의 특성이 내포하는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

Ⅰ. 서론 41
Ⅱ. 좋은 수업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42
1. 좋은 수업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_42
2. 좋은 수업에 관한 선행연구결과_45
Ⅲ. ‘좋은 수업’이 수업(강의) 평가에 주는 시사점 48
1. 초?중등학교의 수업평가에 주는 시사점_48
2. 대학교의 강의평가에 주는 시사점_50
Ⅳ. 결론 및 논의 52

제3장
좋은 학교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Ⅰ. 서론 57
Ⅱ. ‘좋은 학교’의 특성 59
1. ‘좋은 학교’의 개념_59
2. ‘좋은 학교’의 구성요소_61
Ⅲ. ‘좋은 학교’의 특성이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 63
1. 평가의 지향성_64
2. 평가 지표_66
3. 평가방법 및 활용_70
Ⅳ. 결론 72

제4장
새로운 교장임용제도
-새로운 교장임용제도로서 교장보직공모제의 가능성 탐색-

Ⅰ. 서론 77
Ⅱ. 이론적 배경 79
1. 기존의 대안적 교장임용제도에 대한 검토_79
2. 새로운 교장임용제도: 교장보직공모제_83
3. 주요국의 교장임용제도 비교_85
4. 교장보직공모제 가능성의 변인: 훌륭한 교장의 특성_87
Ⅲ. 연구방법 89
1. 연구대상_89
2. 연구도구_90
3. 자료처리_91
Ⅳ. 연구결과 91
1. 학업성취의 강조에 대한 인식 차이_91
2. 활발한 상호작용과 좋은 관계유지에 대한 인식 차이_92
3. 공동체적 학교문화 조성에 대한 인식 차이_93
4. 교수 리더십 발휘에 대한 인식 차이_94
5. 책무성에 대한 인식 차이_94
Ⅴ. 논의 및 결론 95

제5장
학교민주주의
-학교민주주의에 관한 플랫폼 구축 연구-

Ⅰ. 서론 101
Ⅱ. 본론 102
1. 민주적인 구조와 과정들_103
2. 민주적인 교육과정_107
3. 민주적인 교육 체제_112
Ⅲ. 결론 118

제6장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의 이론적 고찰-

Ⅰ. 서론 123
Ⅱ. 본론 125
1.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의 원리와 법칙_125
2.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 주제와 교육과정 기법_131
3. 사회정의를 위한 교사교육_135
Ⅲ. 결론 및 논의 139

제7장
교육감 주민직선제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타당성에 관한 재조명-

Ⅰ. 서론 143
Ⅱ. 본론 145
1. 법적 측면_145
2. 대안적 측면_150
3. 정치적 측면_154
Ⅲ. 결론 156

제8장
학급규모
-학급규모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

Ⅰ. 서론 161
Ⅱ. 본론 163
1. 학급규모 개념의 쟁점_163
2. 적정 학급규모의 쟁점_168
3. 학급규모 효과의 쟁점_172
Ⅲ. 결론 및 논의 178

제9장
교사와 이념
-한국 교사들의 좌파와 우파의 인식에 관한 실증적 분석-

Ⅰ. 서론 185
Ⅱ. 이론적 배경 188
1. 좌파와 우파의 개념적 유래_188
2. 좌파와 우파의 구분_190
Ⅲ. 연구의 과정 192
1. 연구대상_192
2. 연구도구_194
3. 자료처리_194
Ⅳ. 연구결과 195
1. 좌파와 우파의 실증적 분류_195
2.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좌파와 우파의 분류_199
Ⅴ. 결론 200

제10장
교원단체
-중등 교원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원단체에 관한 인식 분석-

Ⅰ. 서론 207
Ⅱ. 이론적 배경 208
1. 한국의 교원단체_208
2. 교총과 전교조의 입장 차이 비교_210
3. 선행연구 분석_213
Ⅲ. 연구방법 217
1. 연구대상_217
2. 연구도구_218
3. 자료처리_219
Ⅳ. 연구결과 220
1. 교원단체의 가입 의사_220
2. 교총에 가입하지 않으려는 이유_221
3. ‘교총’과 연상되는 것_223
4. 전교조에 가입하려는 이유_225
5. 전교조에 가입하지 않으려는 이유_226
6. ‘전교조’와 연상되는 것_228
7. 무소속으로 남으려는 이유_229
Ⅴ. 결론 및 논의 231

제11장
고교평준화제도
-고교평준화제도 정당화의 재조명-

Ⅰ. 서론 235
Ⅱ. 본론 236
1. 고교평준화제도 때문에 학생들의 학력이 하향평준화되었는가?_236
2. 고교평준화제도 때문에 공교육 붕괴가 발생했는가?_240
3. 고교평준화제도 때문에 학교선택권이 침해되었는가?_245
4. 고교평준화제도 때문에 사학의 자율성이 침해받는가?_251
Ⅲ. 결론 254

제12장
학교선택제
-학교선택제의 시행에 대한 비판적 접근-

Ⅰ. 서론 259
Ⅱ. 본론 261
1. 사회정의적 접근_261
2. 교육법적 접근_267
3. 공교육적 접근_270
4. 실제적 접근_273
Ⅲ. 결론 280

제13장
능력별 집단편성
-학생의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Ⅰ. 서론 285
Ⅱ. 본론 286
1.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도_286
2.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생의 자아개념_289
3.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생의 학습기회_290
4. 능력별 집단편성과 교사의 기대_293
5. 능력별 집단편성과 교수(teaching) 선호도_295
6.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급의 실제_297
Ⅲ. 결론 301

제14장
영어강의
-대학의 영어강의 확대에 대한 비판적 논의-

Ⅰ. 서론 307
Ⅱ. 본론 310
1. 영어강의 확대는 효과성이 있는가?_310
2. 영어강의 확대는 국제화 및 대학경쟁력 강화의 준거로 적합한가?_313
3. 영어강의 확대는 사회 불평등 문제와 무관한가?_319
4. 영어강의 확대는 우리말의 언어적 가치에 무해한가?_322
Ⅲ. 결론 327

제15장
교수재임용거부 사건
-교수재임용거부 사건의 유형별에 따른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 분석-

Ⅰ. 서론 333
Ⅱ. 대학교수재임용의 역사적 배경 336
Ⅲ. 분석 틀 341
Ⅳ. 연구결과 344
1. 실적(평가) 기준 미달_345
2. 임용기간 만료_348
3. 품위유지 및 불성실_351
4. 폐과 및 폐강_353
5. 기타_354
Ⅴ. 결론 및 논의 357

참고문헌 361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