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자유론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ill, John Stuart, 1806-1873 공민희, 역
서명 / 저자사항
자유론 / 존 스튜어트 밀 지음 ; 공민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더클래식,   2020  
형태사항
267 p. : 삽화 ; 20 cm
총서사항
더클래식 서양고전 ;002
원표제
On liberty
ISBN
9791164453504
일반주기
"존 스튜어트 밀 연보" 수록  
일반주제명
Liberty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6532
005 20231027145414
007 ta
008 201120s2020 ulka 000c kor
020 ▼a 9791164453504 ▼g 03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23.44 ▼2 23
085 ▼a 323.44 ▼2 DDCK
090 ▼a 323.44 ▼b 2020z2
100 1 ▼a Mill, John Stuart, ▼d 1806-1873 ▼0 AUTH(211009)44926
245 1 0 ▼a 자유론 / ▼d 존 스튜어트 밀 지음 ; ▼e 공민희 옮김
246 1 9 ▼a On liberty
260 ▼a 서울 : ▼b 더클래식, ▼c 2020
300 ▼a 267 p. : ▼b 삽화 ; ▼c 20 cm
440 0 0 ▼a 더클래식 서양고전 ; ▼v 002
500 ▼a "존 스튜어트 밀 연보" 수록
650 0 ▼a Liberty
700 1 ▼a 공민희, ▼e▼0 AUTH(211009)87974
900 1 0 ▼a 밀, 존 스튜어트,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44 2020z2 등록번호 1118365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자유론》은 19세기 근대 유럽 시민을 대상으로 쓰였지만, 밀의 혜안대로 마치 우리를 위해 쓰인 듯 시공을 초월해 21세기 대한민국에 적용해도 여전히 유효하다. 자유는 두 사람만 있어도 거론될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두 사람 이상만 모여도 사회가 형성되고 각자 자신의 자유를 주장하다 보면 결국 상대의 자유와 충돌할 수밖에 없으며, 둘 다 자유를 최대한 누리기 위한 실천적 담론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자유는 근대 시민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한 18세기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논쟁해온 주제이다.

밀은 《자유론》에서 ‘시민으로서 개인이 보장받아야 할 자유’와 그 자유에 대해 ‘국가와 사회가 정당하게 제한할 수 있는 한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데 집중한다. 밀의 대원칙은 다른 사람에게 해만 끼치지 않는다면 개인의 자유는 절대적으로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기본적 원칙에는 개인이 누릴 수 있는 자유를 최대로 보장하는 동시에, 국가나 사회가 법의 물리적 처벌 또는 여론의 도덕적 비난을 빌려 그 자유를 강제할 수 있는 경우를 엄격하게 제한하고자 하는 목적이 담겨 있다.

윌리엄 레너드 코트니의 《자유론》 해설 수록!
하버드대·옥스퍼드대·서울대·연세대·고려대 선정 필독서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대중사회의 본질을 파고든
19세기 위대한 정치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당신은 이제 자유로운가?

개인의 자유는 인간다운 삶, 행복한 삶을 위한 기본적 전제 조건,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최소한의 토대.
다른 사람에게 해만 끼치지 않는다면 개인의 자유는 절대적으로 보장돼야 한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이야기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거론되는 인문 고전인 《자유론》은 질적 공리주의를 주창한 19세기 정치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의 대표작으로 그는 《논리학 체계》를 제외하면 자기 저작 중 《자유론》의 생명력이 가장 항구적일 것이라고 믿었다. 《자유론》은 19세기 근대 유럽 시민을 대상으로 쓰였지만, 밀의 혜안대로 마치 우리를 위해 쓰인 듯 시공을 초월해 21세기 대한민국에 적용해도 여전히 유효하다. 자유는 두 사람만 있어도 거론될 수밖에 없는 문제다. 두 사람 이상만 모여도 사회가 형성되고 각자 자신의 자유를 주장하다 보면 결국 상대의 자유와 충돌할 수밖에 없으며, 둘 다 자유를 최대한 누리기 위한 실천적 담론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자유는 근대 시민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한 18세기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논쟁해온 주제다.
밀은 《자유론》에서 ‘시민으로서 개인이 보장받아야 할 자유’와 그 자유에 대해 ‘국가와 사회가 정당하게 제한할 수 있는 한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데 집중한다. 밀의 대원칙은 다른 사람에게 해만 끼치지 않는다면 개인의 자유는 절대적으로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기본적 원칙에는 개인이 누릴 수 있는 자유를 최대로 보장하는 동시에, 국가나 사회가 법의 물리적 처벌 또는 여론의 도덕적 비난을 빌려 그 자유를 강제할 수 있는 경우를 엄격하게 제한하고자 하는 목적이 담겨 있다.

개인의 자유는 어디까지 보호받아야 할까?
국가와 사회가 개인의 자유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존 스튜어트 밀이 ‘절대적으로’ 보호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개인의 자유는 그저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밀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이라고 전제한다. 즉 타인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본인에게만 관계되는 일일 경우에 개인의 자유는 절대적으로 보장돼야 한다. 자신의 몸이나 정신에 대해서는 각자가 당연히 주권자이기 때문이다. 이때 타인에게 미치는 악영향은 간접적이 아닌 직접적 영향이 그 기준이어야 하되, 타인을 위한다는 명목이어도 본인의 자유로운 의사에 반하여 강제해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경우는 오직 그의 행동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때, 그의 행동이 당장에 다른 사람에게 해를 가하리라는, 혹은 그 자신에게도 해가 되리라는 근거가 분명할 때뿐이다. 다른 사람과 그 자신의 보호를 위해 개인의 자유에 대해 국가와 사회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해지는 지점이다.
밀은 개인이 누려야 할 자유의 기본 영역으로 세 가지를 든다. 먼저 종교든 도덕이든 과학이든 모든 주제에 대해 개인은 내면적으로 양심의 자유·생각과 감정의 자유·의견과 주장과 토론의 자유를 누려야 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개성과 취향대로 자기 삶을 설계하고 꾸려갈 자유를 침해당하지 않아야 하며,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는 한, 즉 타인의 자유를 박탈하거나 자유를 누리려는 그의 노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 어떤 목적이든 자유롭게 모일 수 있는 결사의 자유도 보장받아야 한다. 밀은 이 같은 자유를 완전하게 누릴 수 있어야 비로소 자유로운 사회라고 말한다.

하버드대·옥스퍼드대·서울대·연세대·고려대 선정 필독서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당신은 이제 자유로운가?

이렇게까지 존 스튜어트 밀이 자유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이유는 ‘개별성’을 평준화하려는 사회 분위기 때문이다. 밀은 인간은 시키는 대로 따르기만 하는 기계가 아니라고 말한다. 인간은 자기 내면의 힘에 따라 스스로 자라고 발전하려는 나무와 같으므로 개별성은 개인과 사회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토대이자 인간다운 삶을 행복하게 영위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 대중의 등장과 여론의 지배는 국가의 물리적 권력보다 더 적대적인 시선으로 개개인을 검열하여 다수의 관습과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개별성을 억누르고 사회성으로 획일화한다. 이 관습의 전제專制, 즉 ‘다수의 횡포’는 밀이 가장 우려하던 것이었다.
밀 당대의 사회상은 왠지 낯설지가 않다. 인터넷과 SNS의 발전으로 우리는 누구나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드러내며 마음껏 주장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듯하지만, 사실 소수의 목소리는 다수의 목소리에 묻히거나 다수가 일방적으로 조성해가는 분위기에서 비난당하고 혐오 대상이 되기 일쑤다. 소수의 목소리를 억누르려는 다수의 자기 확신은 ‘자신만 옳다’는 생각에 기반한다.
그러나 그런 그들에게 밀은 이렇게 말한다. 모든 의견은 진리의 일부분만을 담고 있을 뿐이라고, 다양한 의견에 토대할수록 진리의 더 많은 부분이 드러나는 법이라고, 어떤 문제에 대해 가장 정확한 진리를 얻기 위해서는 소수의 의견인 데다가 설령 그 의견이 틀릴지라도 일단 들어봐야 한다고, 무엇보다 모든 인간 중에서 딱 한 명이 달리 생각한다고 해서 그 사람에게 침묵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그가 같은 이유로 나머지 전부에게 침묵하라고 요구하는 것만큼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말이다.
우리는 밀의 시대에서 그다지 멀리 나아가지 못한 듯하다. 《자유론》은 그런 우리에게 ‘나’의 자유와 ‘타인’의 자유, 사회성과 개별성, 개인의 자유와 국가의 통제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점을 현명하게 모색하도록 도와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존 스튜어트 밀(지은이)

19세기 영국, 특히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며 사회개혁가로서, 학문적으로는 철학과 경제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루었고, 사회개혁가로서는 노동자들의 지위 향상과 여성참정권 운동 등에 기여했다. 1806년 5월 20일, 현재 런던의 북부 교외에 있는 펜턴빌에서,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며 경제학자인 제임스 밀과 해리엇 바로우의 장남으로 태어났고, 어려서부터 벤담의 동지이자 친구였던 그의 아버지의 교육을 따라 공리주의의 차세대 지도자가 되기 위한 엄격한 영재교육을 받았다. 3살에는 그리스어를, 8살에는 라틴어를 익혔으며, 10대 초에 이미 정치경제학, 논리학, 수학, 자연과학을 섭렵했고, 15살에는 철학, 심리학, 정치철학에 관한 주요 저술을 시작했으며, 벤담식 공리주의의 탁월한 토론가이자 선전가로 활약했다. 그렇지만 밀은 20세에 이르러 자신이 지금까지 추구하던 공리주의적 개혁에 대해서 어떤 정열과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신적 위기를 겪었다. 이런 정신적 위기 속에서 밀은 워즈워드의 시를 통해 감성과 상상력에 눈을 뜨면서 자신의 정신세계를 넓혀 낭만주의 문학과 철학 및 당시의 다양한 학문 사조를 흡수하게 되면서, 벤담식 공리주의와는 다른 밀 자신의 공리주의의 체계를 발전시키게 된다. 이런 시기를 거치면서 밀은 <논리학체계>, <정치경제학 원리>, <윌리엄 해밀턴의 철학>, <자유론>, <대의정부론>, <공리주의>, <여성의 예종> 등의 저술을 출판했고, 사후에 <종교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와 <사회주의론>이 출판되었다. 밀은 학자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현실에도 깊이 관여했는데, 17세인 1823년에 동인도회사에서 통신심사부장인 아버지 제임스 밀의 조수로 근무를 시작해서 그가 56세가 되는 1862년까지 근무했는데, 최종 직책은 현재로 치면 인도를 다스리는 중앙정부의 차관급이었다. 그 후 밀은 1865-68년에 자유당 후보로서 웨스터민스터의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하원의원직에서 물러난 후 아비뇽으로 옮겨 살다가 1873년 사망해서 아비뇽에 있던 자신의 아내 곁에 묻혔다.

공민희(옮긴이)

부산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에서 문화유산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지금 시작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 《제인 오스틴, 19세기 영국에서 보낸 편지》, 《커피 아틀라스》, 《사람을 죽이는 사람들》, 《보이지 않는 것들》, 《와인으로 얼룩진 단상들》, 《죽음 앞에서 선택한 완벽한 삶》, 《편견》, 《당신이 남긴 증오》, 《기억의 제본사》, 《무솔리니 운하》, 《난민, 세 아이 이야기》, 《인권이란 무엇인가》, 《상징의 모든 것》, 《자제력 수업》, 《발명 콘서트》, 《시너지스트》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자유론》을 읽기 전에

제1장 서론
제2장 생각과 토론의 자유
제3장 개별성, 행복의 기본 요소
제4장 사회가 개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의 한계
제5장 적용

《자유론》에 대하여_윌리엄 레너드 코트니
존 스튜어트 밀의 연보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