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6251 | |
005 | 20201117134752 | |
007 | ta | |
008 | 201116s2020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70068787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664819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370 ▼2 23 |
085 | ▼a 370 ▼2 DDCK | |
090 | ▼a 370 ▼b 2020z2 | |
245 | 2 0 | ▼a (에센스) 교육학 개론 = ▼x Essence introduction to education / ▼d 박아청 [외] |
246 | 3 1 | ▼a Introduction to education |
260 | ▼a 파주 : ▼b 지구문화, ▼c 2020 | |
300 | ▼a 299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이인학, 이기영, 박지은, 최성열, 김무영, 류관열, 김용성 | |
504 | ▼a 참고문헌(p. 289-29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아청, ▼e 저 |
700 | 1 | ▼a 이인학, ▼e 저 |
700 | 1 | ▼a 이기영, ▼e 저 |
700 | 1 | ▼a 박지은, ▼e 저 |
700 | 1 | ▼a 최성열, ▼e 저 |
700 | 1 | ▼a 김무영, ▼e 저 |
700 | 1 | ▼a 류관열, ▼e 저 |
700 | 1 | ▼a 김용성,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 2020z2 | Accession No. 1118364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학은 네 가지의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 학문적 가치,교육의 도덕적 가치,교육의 효율성 추구,그리고 교육의 사회정의성 추구가 그것이다. 따라서 교육학은 교육의 현실과 이상 사이에 객관적이면서 분석적인 가교를 건설하려는 비판적 활동이다. 교육학의 폭넓은 영역에 대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구성된 교재다.
핵심내용을 간추린 교육학 ! "교육학"은 4가지의 가치를 지향!!
다년간 다져 온 교육이론 및 교육실천에 유익한 정보제공!!
교육학은 "인간은 왜 배워야 하는가"와 "어떻게 하면 옳게 가르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교육학의 기본적인 질문은 "왜""누가""어디서""누구를""무엇을""어떻게" 가르치며, "가르친 결과는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탐구하면서 교육학은 네 가지의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 학문적 가치,교육의 도덕적 가치,교육의 효율성 추구,그리고 교육의 사회정의성 추구가 그것이다.
따라서 교육학은 교육의 현실과 이상 사이에 객관적이면서 분석적인 가교를 건설하려는 비판적 활동이다. 또한 교육이 본질적으로 사회적 과정이며 조직화된 거대 사업이기 때문에, 교육학은 심리학적,사회학적,행정학적,정책적 질문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오늘날 교육이 거대한 사회조직으로 발전됨에 따라 사회변화에의 적응성,사회평등과 교육평등의 문제,관료화와 상품화에 대한 인간화의 문제 등 현대사회 속에서의 교육적,인간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교육학은 미래사회와 인류문명의 장래에 대한 교육적 포부도 안고 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교육학의 폭넓은 영역에 대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집필에 참여한 분들은 모두가 교육학의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다년간 교육현장에서 교육학을 강의해 온 교수들이기에 아마도 이 책에서 제공되는 교육학에 관한 지식은 교육이론 뿐만 아니라 교육실천에 관심을 가진 분들에게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아청(지은이)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B.A),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문학석사(M.A), 일본 국립오사카대학교 (大阪大學)대학원 학술 박사(M.A)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캔사스시티대학교(UMKC) 사범대학 연구교수,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및 교육대학원 원장, 한국교육학회 감사 및 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을 거쳐, 현재 계명대학교 명예교수이며 한국아동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초대교회의 기원과 본질』(CLC, 2020), 『바울 프로테우스적 인간』(CLC, 2019)이 있다.

Table of Contents
Chapter ?1 교육의 개념 Chapter? 2?교육의 역사적 기초 Chapter? 3?교육의 철학적 기초 Chapter? 4?교육심리 Chapter? 5 교육사회 Chapter? 6 교육과정 Chapter? 7 교육방법 및 공학 Chapter? 8 교육평가 Chapter? 9 교육행정 Chapter 10 교사론 Chapter 11 학교폭력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