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 동사 교육론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경태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 동사 교육론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 고경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5  
형태사항
x, 465 p. ; 23 cm
ISBN
978896817197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43-46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6224
005 20201117101538
007 ta
008 201116s2015 ulk b 000c kor
020 ▼a 9788968171970 ▼g 93710
035 ▼a (KERIS)BIB000013699927
040 ▼a 211020 ▼c 211020 ▼d 211020 ▼d 211009
082 0 4 ▼a 495.756071 ▼2 23
085 ▼a 497.56071 ▼2 DDCK
090 ▼a 497.56071 ▼b 2015
100 1 ▼a 고경태
245 1 0 ▼a 한국어 동사 교육론 : ▼b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 ▼d 고경태 지음
246 1 1 ▼a Korean verb education
246 3 ▼a 패턴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5
300 ▼a x, 465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43-465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6071 2015 등록번호 1118364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8년도에 「한국어 동사 교육 연구 : 동사의 통사 및 의미 교육을 위한 패턴(pattern) 선정을 중심으로」라는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출간한 책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각종 오류들을 한국어 교사의 입장에서 다룬다고 할 때, 어떤 것에 중점을 둘 것인지를 고민하다가, 그 하나의 대안으로서 개별 동사가 갖는 격틀 혹은 문형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책은 2008년도에 <한국어 동사 교육 연구 : 동사의 통사 및 의미 교육을 위한 패턴(pattern) 선정을 중심으로>라는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출간한 것이다. 학위논문을 집필할 당시 필자는 한국어 교사로서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말하기와 쓰기들을 볼 기회가 많았다. 이때의 체험으로 필자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각종 오류들을 한국어 교사의 입장에서 다룬다고 할 때, 어떤 것에 중점을 둘 것인지를 고민하다가, 그 하나의 대안으로서 개별 동사가 갖는 격틀 혹은 문형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이 한국어 교육 내용론에 있어서 획기적인 아이디어나 선구적인 결과물들을 담고 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내어놓는 것은, 한국어교육계에서 교육 내용론 관련 연구들이 진작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이고, 기왕의 각종 언어 교수 이론에서 제기되었던 내용들을 토대로 교육 내용들을 구성한다면 이 책의 시각과 같은 연구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고경태(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어교육학으로 박사학위(2008년)를 했고 현재 고려대, 동국대, 디지털서울문예대 등에 출강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들머리에 / ‘한국어 동사’의 중요성과 ‘패턴 학습’의 필요성

1부 논의와 이론: 패턴 중심의 동사 교육론
1. 검토: 기존의 동사 교육 관련 논의들
1.1. 문법 항목 교육론
1.2. 격 조사 교육론
1.3. 문형 교육론
1.4. 다의어 교육론

2. 왜 ‘패턴’인가?: 패턴의 개념과 효용
2.1. 패턴(pattern)의 개념과 역사
2.2. 패턴의 범위와 유사 개념어들
2.3. 패턴의 교육적 효용성

3. 탐색: 동사 패턴, 무엇을 어떻게 추출할 것인가?
3.1. 주요 동사의 선정을 위한 논의
3.2. 말뭉치의 관찰과 한국어 동사 패턴의 유형
3.3. 말뭉치의 가공과 활용

4. 수립: 교육용 동사 패턴,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4.1. 패턴 선정을 위한 판단 기준
4.2. 통사 교육을 위한 패턴의 선정 원리
4.3. 의미 교육을 위한 패턴의 선정 원리

5. 결론
5.1. 요약과 정리
5.2. 남은 문제

제2부 응용: 동사 교육용 패턴의 목록
■색인
1. ‘가다’
2. ‘가지다’, ‘갖다’
3. ‘걷다’ (발을 번갈아 떼어 옮기다)
4. ‘걸리다’ (매달리다)
5. ‘기다리다’
6. ‘끌다’
7. ‘끝나다’
8. ‘나가다’
9. ‘나누다’
10. ‘나다’ (바닥에서 솟아나다)
11. ‘나오다’
12. ‘나타나다’
13. ‘남다’
14. ‘낳다’
15. ‘내리다’
16. ‘넘다’
17. ‘넣다’
18. ‘놓다’
19. ‘느끼다’
20. ‘다니다’
21. ‘당하다’
22. ‘대하다’
23. ‘돌리다’ (‘돌다’의 사동사)
24. ‘돌아가다’
25. ‘돌아오다’
26. ‘두다’
27. ‘듣다’
28. ‘들다1’ (안으로~), ‘들다2’ (물건을~)
29. ‘들리다’ (‘듣다’의 피동사)
30. ‘들어가다’
31. ‘들어오다’
32. ‘따르다’ (뒤를 좇다)
33. ‘떠나다’
34. ‘떨어지다’
35. ‘마시다’
36. ‘만나다’
37. ‘만들다’
38. ‘말하다’
39. ‘맞다1’ (틀리지 않다), ‘맞다2’ (외부의 충격으로 해를 입다)
40. ‘맡다’ (책임을 지고 담당하다)
41. ‘먹다’
42. ‘모르다’
43. ‘모으다’
44. ‘묻다’ (대답이나 설명을 요구하다)
45. ‘미치다’ (닿거나 이르다)
46. ‘믿다’
47. ‘바꾸다’
48. ‘바라보다’
49. ‘받다’ (남이 주어 가지다)
50. ‘밝히다’
51. ‘배우다’
52. ‘보내다’
53. ‘보다’
54. ‘보이다’ (‘보다’의 피동사)
55. ‘부르다’ (오라고 하다)
56. ‘빠지다1’ (밖으로 나오다), ‘빠지다2’ (떨어지다)
57. ‘사다’
58. ‘살다’
59. ‘생각하다’
60. ‘생기다’
61. ‘서다’
62. ‘세우다’
63. ‘시작하다’
64. ‘쓰다1’ (글을~), ‘쓰다2’ (모자를~), ‘쓰다3’ (사용하다)
65. ‘앉다’
66. ‘알다’
67. ‘얻다’
68. ‘열다’
69. ‘열리다’ (‘열다’의 피동사)
70. ‘오다’
71. ‘오르다’
72. ‘올리다’
73. ‘울다’, ‘웃다’
74. ‘위하다’
75. ‘이루다’
76. ‘이르다’ (목적지에 닿다)
77. ‘일어나다’
78. ‘일으키다‘
79. ‘읽다’
80. ‘입다’
81. ‘잇다’
82. ‘잡다’
83. ‘주다’
84. ‘죽다’
85. ‘지나다’
86. ‘지내다’
87. ‘지키다’
88. ‘짓다’
89. ‘찾다’
90. ‘치다’ (때리다)
91. ‘타다’ (올라서 자리를 잡다)
92. ‘통하다’
93. ‘팔다’
94. ‘향하다’
95. ‘흐르다’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