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말랑말랑 멜랑콜리 : 멜랑콜리 문화사로 살펴보는 멜랑콜리의 중요성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성현
Title Statement
말랑말랑 멜랑콜리 : 멜랑콜리 문화사로 살펴보는 멜랑콜리의 중요성 / 김성현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HU:iNE :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콘텐츠원,   2020  
Physical Medium
311 p. : 삽화 ; 23 cm
ISBN
979115901812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08-311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6040
005 20201119113918
007 ta
008 201113s2020 ulka b AU 000c kor
020 ▼a 9791159018121 ▼g 039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6.8527 ▼2 23
085 ▼a 616.8527 ▼2 DDCK
090 ▼a 616.8527 ▼b 2020z11
100 1 ▼a 김성현
245 1 0 ▼a 말랑말랑 멜랑콜리 : ▼b 멜랑콜리 문화사로 살펴보는 멜랑콜리의 중요성 / ▼d 김성현 지음
260 ▼a 서울 : ▼b HU:iNE : ▼b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콘텐츠원, ▼c 2020
300 ▼a 311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08-311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527 2020z11 Accession No. 11183622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 문화에서 멜랑콜리가 어떤 의미와 유래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현대사회에서 더욱 선명해지는 그 의미를 대중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주제의 방대함에 비하면 지면이 턱없이 부족하지만, 간략하게나마 현대인의 일상 속에 멜랑콜리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말랑말랑 멜랑콜리
- 멜랑콜리 문화사로 살펴보는 멜랑콜리의 중요성-


멜랑콜리는 자신의 고독과 마주하는 의지라고 할 수 있다. 멜랑콜리를 통한 사색으로 삶에 대한 성찰이 깊어지고, 자신이 선택하는 삶의 풍경이 달라질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책은 서양 문화에서 멜랑콜리가 어떤 의미와 유래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현대사회에서 더욱 선명해지는 그 의미를 대중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주제의 방대함에 비하면 지면이 턱없이 부족하지만, 간략하게나마 현대인의 일상 속에 멜랑콜리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싶었다. 중간에 몇 챕터는 학술지에 발표되었던 논문을 부분적으로 수정, 보충하여 재수록하였다. 이 책으로 멜랑콜리가 좀 더 대중적인 관심을 갖게 되어, 현대 대중문화 속에 나타나는 멜랑콜리의 중요성을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성현(지은이)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현대영미시 전공 현대시, 영화, 문화이론, 동양학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사 삼육대학교 스미스교양대학 강사 연작시집 메트로폴리스 1 메트로폴리스 2 메트로폴리스 3 메트로폴리스 4: 무국적도시의 하드코어 멜랑콜리(예정) 편입이사 한국 T. S. 엘리엇학회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멜랑콜리를 위한 송시 4

서문 7

Chapter 1. 현대사회와 멜랑콜리 12
ㆍ 현대인의 멜랑콜리 15
ㆍ 4차 산업혁명과 일상의 우울 18
ㆍ 멜랑콜리는 결코 환영받지 못하는가? 21
ㆍ 현대인의 우울증 32

Chapter 2. 멜랑콜리의 문화와 역사 40
ㆍ 광기와 고독 43
ㆍ 광기와 멜랑콜리 48
ㆍ 카프카의 『변신』과 멜랑콜리 52
ㆍ 로버트 버튼, 『우울증의 해부』 57
ㆍ 멜랑콜리와 4체액설 64
ㆍ 이성중심주의 시대의 명리학 그리고 멜랑콜리 69
ㆍ 4체액설과 동양의 천문관 75
ㆍ 멜랑콜리와 시간 96

Chapter 3. 현대인의 정신성과 멜랑콜리 106
ㆍ 만들어진 질병: 우울증 109
ㆍ 권태와 멜랑콜리 114
ㆍ 권태와 전쟁 124
ㆍ 슬픔과 멜랑콜리 129
ㆍ 멜랑콜리와 센티멘털리티 134

Chapter 4. 예술 속의 멜랑콜리 142
ㆍ 알브레히트 뒤러의 〈멜랑콜리아 I〉에 대한 도상학적 고찰 145
ㆍ 조르조 데 키리코, 에드워드 호퍼 그리고 멜랑콜리 154
ㆍ 상실과 부재의 멜랑콜리 162
ㆍ 식인성과 멜랑콜리 172
ㆍ T. S. 엘리엇의 『황무지』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도상 177

Chapter 5. 영화와 멜랑콜리 214
ㆍ 앨프리드 히치콕, 〈사이코〉 217
: 주체를 삼켜 버린 상실의 대상
ㆍ 스티븐 스필버그, 〈A.I.〉 222
: 상실은 대체될 수 있는가?, 포스트 휴먼의 딜레마
ㆍ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솔라리스〉 251
: 유령처럼 되돌아오는 상실과 멜랑콜리의 환상성
ㆍ 앤드루 니콜, 〈가타카〉 273
: 불완전함의 멜랑콜리가 만들어 낸 천재적인 열정
ㆍ 리들리 스콧, 〈블레이드 러너〉 280
: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것의 의미와 멜랑콜리의 혁명성
ㆍ 루키노 비스콘티, 〈베니스에서의 죽음〉 292
: 치명적인 자기애의 멜랑콜리

나가며 301
: 곤도 마리에의 정리의 법칙과 멜랑콜리, 그리고 애도의 형식

참고문헌ㆍ이미지 출처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