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성교육, 경계에 서다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승환, 저 이상헌, 저 이승원, 저 양재원, 저 구본만, 저 이상민, 저 박일태, 저 이소영, 저 홍우람, 저 김진아, 저 정은기, 저 최복희, 저 백민정, 저 윤인선, 저 이원봉, 저
단체저자명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인성교육, 경계에 서다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엮음
발행사항
성남 :   북코리아,   2020  
형태사항
261 p. ; 24 cm
총서사항
인간·경계 ;05
ISBN
9788963247151
일반주기
집필: 신승환, 이상헌, 이승원, 양재원, 구본만, 이상민, 박일태, 이소영, 홍우람, 김진아, 정은기, 최복희, 백민정, 윤인선, 이원봉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5995
005 20201118163421
007 ta
008 201113s2020 ggk b 001c kor
020 ▼a 9788963247151 ▼g 93370
035 ▼a (KERIS)REQ000051939519
040 ▼a 241027 ▼c 241027 ▼d 211009
082 0 4 ▼a 370.114 ▼2 23
085 ▼a 370.114 ▼2 DDCK
090 ▼a 370.114 ▼b 2020z2
110 ▼a 가톨릭대학교. ▼b 인간학연구소
245 1 0 ▼a 인성교육, 경계에 서다 / ▼d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엮음
260 ▼a 성남 : ▼b 북코리아, ▼c 2020
300 ▼a 261 p. ; ▼c 24 cm
440 0 0 ▼a 인간·경계 ; ▼v 05
500 ▼a 집필: 신승환, 이상헌, 이승원, 양재원, 구본만, 이상민, 박일태, 이소영, 홍우람, 김진아, 정은기, 최복희, 백민정, 윤인선, 이원봉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9S1A5C2A04083120)
700 1 ▼a 신승환, ▼e
700 1 ▼a 이상헌, ▼e
700 1 ▼a 이승원, ▼e
700 1 ▼a 양재원, ▼e
700 1 ▼a 구본만, ▼e
700 1 ▼a 이상민, ▼e
700 1 ▼a 박일태, ▼e
700 1 ▼a 이소영, ▼e
700 1 ▼a 홍우람, ▼e
700 1 ▼a 김진아, ▼e
700 1 ▼a 정은기, ▼e
700 1 ▼a 최복희, ▼e
700 1 ▼a 백민정, ▼e
700 1 ▼a 윤인선, ▼e
700 1 ▼a 이원봉,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4 2020z2 등록번호 1118361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간·경계 시리즈 5권. 인간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심화하기 위해 경계의 시선에서 인간다움을 고찰하고자 기획한 시리즈다. 새로운 경계를 짓기 위해 과감하게 경계를 넘어갈 수 있어야 하고, 새로운 영토 안에서 경계 짓기를 통해 다시 존재를 정립해야 한다. 우리는 그 첫걸음을 ‘인간·경계’ 총서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이 책은 철학·과학·정치학·심리학 영역에서 경계를 바라보는 학문적 의미를 고찰하고, 미래지향적 입장에서 경계에 대한 다채로운 상상력을 펼친 책이다.

경계를 찾아 나서다

“새롭게 경계를 만들어내는 일은 가슴 뛰는 일이면서도 두려운 일이고, 창조적이면서 무모한 일이기도 하다. 우리는 얼마나 수많은 경계를 만들고 허물어가며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인간·경계’ 총서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심화하기 위해 경계의 시선에서 인간다움을 고찰하고자 기획한 시리즈다. 그 첫 출발이 이 책 《인성교육, 경계에 서다》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삶의 환경부터 인간관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바뀌고 있다. … 우리는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낯선 환경에 놓여 있다. 그 안에서 바뀌고 있는 모든 것을 새로운 틀 안에서 다시 정리해야 한다. 지금 바로 이 순간에 우리는 경계에 서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익숙한 곳에서 낯선 곳으로 넘어가야 하는 경계 위에 서 있다고 해서 언제까지나 불안해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새로운 경계를 짓기 위해 과감하게 경계를 넘어갈 수 있어야 하고, 새로운 영토 안에서 경계 짓기를 통해 다시 존재를 정립해야 한다. 우리는 그 첫걸음을 ‘인간·경계’ 총서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이 책은 철학·과학·정치학·심리학 영역에서 경계를 바라보는 학문적 의미를 고찰하고, 미래지향적 입장에서 경계에 대한 다채로운 상상력을 펼친 책이다.
1부에서는 이분법적 사고를 경계하고 상호성을 통해 경계를 극복하고 넘나드는 철학적 사유의 과정을 따라가는 ‘경계와 경계 넘나들기’, 과학과 비과학 사이에서 혹은 과학적인 것과 의미 있는 것 사이에서 경계를 구분 짓고 경계를 넘나드는 과학적 상상력이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궁극적 질문에 닿아 있다고 밝히는 ‘과학적 지식의 경계와 인간 탐구’, 정치적 경계 차원에서 파생되는 두 축 국민국가의 경계인 국경과 개인의 존엄한 삶의 경계인 권리를 다루면서 자유를 향한 경계 넘기를 시도하는 ‘정치학에서의 경계 개념과 인간 이해’, 심리학 측면에서 성격의 형성과 인성교육의 상관관계를 다룬 ‘심리학에서 본 인성교육’에 이르기까지 각 학문 영역에서 경계의 개념과 의미, 그리고 그로부터 도출되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교육을 규명하고 있다.
2부에서는 ‘경계-모듈형 CUK 인성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포문을 열었다. 인성교육의 메카인 가톨릭대학교 산하 인간학연구소에서는 보편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경계-모듈형 인성교육으로의 특화된 인성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경계의 개념을 ‘구분 짓기’, ‘넘어가기’, ‘넘나들기’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양상을 집요하게 사유하여 가장 올바른 방향으로, 가장 인간다운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는 내재적 힘을 길러주는 것이 연구 목표다. 인간으로서 품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는 진정한 시민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타인과 공동체에 너그러울 수 있는 지적 민감성을 갖도록 사유의 체계를 개방하는 것, 내면을 향한 응시로 자기 고유의 지식을 생산해낼 수 있는 것이 바로 ‘경계-모듈형 CUK 인성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저자 소개

신승환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
이상헌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교수
이승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양재원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구본만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학부대학장
이상민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인간학연구소장
박일태 한라대학교 운곡교양교육원 교수
이소영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홍우람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김진아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정은기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최복희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백민정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
윤인선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이원봉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엮은이)

현대 사회의 사회·문화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대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학을 깊고 폭넓게 연구한다. 본 연구소는 2019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경계-모듈형 CUK인성교육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CUK인성교육과정사업단에서는 미래사회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윤리적 인간으로 성장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과학기술 중심의 세상에서 인성과 도덕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지금, 인간학연구소에서는 인간다운 삶을 향해 한 걸음 도약할 수 있는 인성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부 경계와 인성
1장. 경계와 경계 넘나들기 _ 신승환
들어가면서
생명철학적 경계 넘나들기
이분법적 경계와 상호성을 통한 경계 극복
경계 넘나들기의 철학
문화적 경계 넘나들기
맺음말

2장. 과학적 지식의 경계와 인간 탐구 _ 이상헌
들어가면서
21세기의 연금술?
과학과 과학적 지식의 성격
과학과 과학 아닌 것의 경계 기준
반증 가능성과 반증
사이비과학, 과학 아닌 것
과학 아닌 것 세 가지
과학적인 것과 의미 있는 것
대담한 상상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3장. 정치학에서의 경계 개념과 인간 이해 _ 이승원
정치적 경계의 두 축: 국경과 권리
국민국가의 경계: 국경
개인의 존엄한 삶의 경계: 권리
자유를 향한 경계 넘기

4장. 심리학에서 본 인성교육 _ 양재원
인성교육과 관련한 심리학 연구: 규범과 과학의 경계
심리학에서의 성격 개념
5요인 성격모형
5요인 성격모형과 좋은 성격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공감 능력과 인성교육
인성교육, 공감 능력 향상과 심리학의 과제

2부 경계에 선 인간
1장. 총론 _ 구본만, 이상민
‘경계-모듈형 CUK 인성교육’과 경계의 사유
경계의 사유: 구분 짓기
경계의 사유: 넘어가기
경계의 사유: 넘나들기

2장. 구분 짓기 _ 박일태, 이소영, 홍우람
다름-틀림
의무-배려
비판-공감
선택-포기
다가서기-거리 두기
소유-나눔

3장. 넘어가기 _ 김진아, 정은기, 최복희
손님에서 주인으로 넘어가기
익명에서 실명으로 넘어가기
의존에서 독립으로 넘어가기
아마추어에서 프로페셔널로 넘어가기
무관심에서 참여로 넘어가기
혐오에서 관용으로 넘어가기

4장. 넘나들기 _ 백민정, 윤인선, 이원봉
내 속의 넘나들기: ‘내면적 갈등’
너와 나의 넘나들기: ‘관계적 갈등’
공동체 넘나들기: ‘집단적 갈등’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