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5536 | |
005 | 20201112095347 | |
007 | ta | |
008 | 201111s2018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6616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934848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287 ▼2 23 |
085 | ▼a 150.287 ▼2 DDCK | |
090 | ▼a 150.287 ▼b 2018 | |
100 | 1 | ▼a Wilson, Mark, ▼d 1954- |
245 | 2 0 | ▼a (과정중심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한 척도개발 / ▼d Mark R. Wilson 지음 ; ▼e 백순근 [외]옮김 |
246 | 1 9 | ▼a Constructing measures : ▼b an item response modeling approach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8 | |
300 | ▼a xiv, 24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평가도구 개발을 준비하는 연구자와 교사들을 위한 알기 쉬운 평가도구 개발 지침서 | |
500 | ▼a 공역자: 이용상, 신동광, 이문수, 전유아 | |
504 | ▼a 참고문헌 (p. 218-23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metrics |
650 | 0 | ▼a Psychology ▼x Research ▼x Methodology |
700 | 1 | ▼a 백순근, ▼e 역 |
700 | 1 | ▼a 이용상, ▼e 역 |
700 | 1 | ▼a 신동광, ▼e 역 |
700 | 1 | ▼a 이문수, ▼e 역 |
700 | 1 | ▼a 전유아, ▼e 역 |
900 | 1 0 | ▼a 윌슨, 마크,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0.287 2018 | 등록번호 12125523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2-06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선 측정 및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를 이해하고 직접 개발해 보고자 하는 연구자들, 검사도구 개발 절차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들, 그리고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에 대해 가르치고자 하는 강의자들 모두에게 유용할 것이다. 아울러 초·중·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사별 학생평가와 과정중심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교사용 연수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Mark Wilson 교수의 대학원 박사과정 지도학생이었던 역자는 이 책이 한국의 많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이 책을 통해 연구자들과 학생들이 더욱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측정 및 평가 분야의 전문성을 쌓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역자 서문]
측정 및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혹은 척도)의 개발은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이론적인 검토에서 시작하여 검사 문항 개발과 자료 수집,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에 대한 분석과 결과 보고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을 가지고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검사도구 자체는 물론 그 검사도구를 활용하는 해당 연구의 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건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검사도구 개발과 관련하여 네 가지 구성 요소(four building blocks: 구인지도(construct map), 문항 설계(item design), 반응공간(outcome space), 측정 모형(measurement model))를 제안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를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절차를 다양한 예제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이 실제로 검사도구 개발을 해 볼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측정 및 평가를 위해 좋은 검사도구를 만드는 과정은 일방향 일회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각 단계의 결과가 이전 단계나 이후 단계에 적절히 반영되어 지속적으로 수정·보완되는 순환적이고 종합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관통하는 검사도구 개발 절차의 핵심 아이디어는 바로 각 단계별 결과에 대한 피드백과 이를 통한 검사도구의 지속적인 수정·보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인 Mark Wilson 교수는 1986년부터 UC Berkeley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을 지도해왔으며, 측정·평가 연구소인 BEAR Center를 설립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습니다. 저자는 또한 심리측정학회, 교육측정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측정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이며, 이 책의 많은 부분은 그동안 저자가 학생들을 가르치고 프로젝트들을 수행하면서 얻은 경험과 함께 전문적인 식견과 노하우들이 잘 반영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검사도구 개발 절차는 저자가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네 가지 구성요소(four building blocks)’의 체계를 충실히 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저자는 ‘네 가지 구성요소’가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이자 동시에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함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우선 측정 및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를 이해하고 직접 개발해 보고자 하는 연구자들, 검사도구 개발 절차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들, 그리고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에 대해 가르치고자 하는 강의자들 모두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아울러 초·중·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사별 학생평가와 과정중심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교사용 연수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Mark Wilson 교수의 대학원 박사과정 지도학생이었던 역자는 이 책이 한국의 많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특히 이 책을 통해 연구자들과 학생들이 더욱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측정 및 평가 분야의 전문성을 쌓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번역하는 데 헌신적으로 참여해주신 동료 역자들과 출판을 위해 성심성의껏 도움을 주신 한국문화사와 편집실 관계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정보제공 :

목차
■ 역자 서문 ■ 저자 서문 1부 측정에 대한 구성적 접근법 1. 구인 설계: 네 가지 구성 요소 접근법 1.0 개관 및 주요 개념 1.1 측정이란 무엇인가? 1.2 구인지도(The Construct Map) 1.3 문항 설계(The Item Design) 1.4 반응공간(The Outcome Space) 1.5 측정 모형(The Measurement Model) 1.6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네 가지 구성 요소 활용 1.7 참고자료 2부 네 가지 구성 요소 2. 구인지도(The Construct Map) 2.0 개관 및 주요 개념 2.1 구인지도 2.2 구인지도 예시 2.3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구인지도 활용 2.4 참고자료 3. 문항 설계(The Item Design) 3.0 개관 및 주요 개념 3.1 문항 구상 3.2 문항 설계 구성 요소 3.3 문항 개발에 있어서의 문항 형식과 절차 3.4 응답자에게 귀 기울이기 3.5 참고자료 4. 반응공간(The Outcome Space) 4.0 개관 및 주요 개념 4.1 반응공간의 특성 4.2 반응공간과 구인지도 4.3 반응공간 구성의 일반적 방법 4.4 참고자료 5. 측정 모형(The Measurement Model) 5.0 개관 및 주요 개념 5.1 두 가지 접근법의 결합 5.2 구인지도와 Rasch 모형 5.3 두 개 이상의 점수 범주 5.4 참고자료 3부 질관리 방안 6. 측정 모형 선택 및 평가 6.0 개관 및 주요 개념 6.1 측정 모형의 요구조건 6.2 측정 6.3 참고자료 7. 신뢰도 7.0 개관 및 주요 개념 7.1 측정 오차 7.2 측정 오차에 대한 요약 7.3 채점자 간 일치도 7.4 참고자료 8. 타당도 8.0 개관 및 주요 개념 8.1 도구 내용에 기반한 증거 8.2 반응 절차에 기반한 증거 8.3 내적 구조에 기반한 증거 8.4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에 기반한 증거 8.5 도구 사용의 결과에 근거한 증거 8.6 타당한 주장 만들기 8.7 참고자료 4부 새로운 출발을 위한 제언 9. 측정이 나아가야 할 길 9.0 개관 및 주요 개념 9.1 구인지도를 넘어 : 인지심리학과의 연계 9.2 측정모형의 가능성: 통계적 모형 자료 9.3 특정한 적용 영역에 대한 더 깊은 인식: 교육평가 9.4 참고 자료 : 폭넓은 이론적 관점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