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 : 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주필, 尹柱弼, 1956-
서명 / 저자사항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 : 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 윤주필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20  
형태사항
375 p. : 삽화(일부천연색) ; 24 cm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 Minsokwon archebooks ;173
ISBN
9788928514892 9788928503599 (Set)
서지주기
참고문헌(p. 367-368)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erformance art --Korea --History Court dancing --Korea --History Korean poetry --1392-1894 --History and criticism
주제명(지명)
Korea --History --Chosŏn dynasty, 1392-191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4740
005 20220809134248
007 ta
008 201110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88928514892 ▼g 94380
020 1 ▼a 9788928503599 (Set)
035 ▼a (KERIS)BIB000015699992
040 ▼a 211015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02 ▼a 394.209519 ▼2 23
085 ▼a 953.05 ▼2 DDCK
090 ▼a 953.05 ▼b 2020z11
100 1 ▼a 윤주필, ▼g 尹柱弼, ▼d 1956- ▼0 AUTH(211009)116953
245 1 0 ▼a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 : ▼b 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 ▼d 윤주필
246 1 1 ▼a The close reading on the last spectacle of festival 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246 3 1 ▼a Close reading on the last spectacle of festival 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260 ▼a 서울 : ▼b 민속원, ▼c 2020
300 ▼a 375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4 cm
490 1 0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a Minsokwon archebooks ; ▼v 173
504 ▼a 참고문헌(p. 367-368)과 색인수록
650 0 ▼a Performance art ▼z Korea ▼x History
650 0 ▼a Court dancing ▼z Korea ▼x History
650 0 ▼a Korean poetry ▼y 1392-1894 ▼x History and criticism
651 0 ▼a Korea ▼x History ▼y Chosŏn dynasty, 1392-1910
830 0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v 173
830 0 ▼a Minsokwon archebooks ; ▼v 173
900 1 0 ▼a Yun, Jupil,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1118355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5110536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5210069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1513527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1118355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5110536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5210069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 2020z11 등록번호 1513527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복궁 중건이 비단 정치적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가장 중요한 국가적 차원의 문화사업이었음에 착안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노력한 책이다. 또한 건축을 위한 노동, 문화적 놀이로서의 연희, 국가적 이념의 고취를 위한 송축이 한 데 어우러진 조선 최후의 대사업이었음을 살펴보았다.

건축 현장의 노동, 축제문화의 연희, 국가 이념의 송축
경복궁 중건을 언급한 관변 자료로는『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경복궁 영건일기』 등이 대표적이다. 이것들은 중건에 대한 논의 과정, 문제점, 대안 마련, 중건 사업의 과정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경복궁 중건이 가져온 사회적 파장, 공사판의 광경, 특히 개인적 소감 등을 구체적으로 증언해 주는 자료가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화적으로는 경복궁 중건을 소재로 삼아 문학작품으로 꾸려낸 자료가 더 요긴하다 할 수 있다. 이 책은 경복궁 중건이 비단 정치적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가장 중요한 국가적 차원의 문화사업이었음에 착안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건축을 위한 노동, 문화적 놀이로서의 연희, 국가적 이념의 고취를 위한 송축이 한 데 어우러진 조선 최후의 대사업이었음을 살펴보았다.

경복궁 중건은 엄청난 일거리와 함께 볼거리로서 다양한 공연문화를 창출해 냈다. 조선전기 경복궁 광화문 앞에서 설행됐던 국가 차원의 대규모 산대놀이가 임진왜란 이후 창덕궁 앞으로 옮겨져 소규모로 축소되고, 그나마도 정조 이후로는 아예 폐지됐던 상황에서 경복궁 중건 때 광화문 앞마당과 대궐터 전역에서 놀아졌던 거리 축제와 궁중놀이는 한국 고전연극사에서 종주가곡終奏佳曲의 대미를 장식한 일대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이것은 마치 불꽃놀이처럼 터져서 밤하늘에 수를 놓고 조선왕조의 쇠망과 함께 사라져 우리에게 전승되지 못했던 괄호 안의 전통이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윤주필(지은이)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1회 나손학술상(1991)을 수상하고 단국대 조교수(1992)에 임용됐다. 「조선 전기 연희시에 나타난 문학사조상의 특징」, 『한국의 방외인문학』(집문당, 1999)의 집필 이래로 단국대 나손문고에서 벽동병객의 <기완별록>을 발굴하여 『문헌과해석』(1999)을 통해 학계에 알리고, 관련 후속 논문과 글을 여러 편 썼다. 「연희시가의 전통에서 본 <관우희>」, 『열상고전연구』(2013)에서는 구사회 교수 소장본 『판교초집』의 문헌비평과 수록 작품집 「관우희」의 성격을 논했다. 한국 한문학의 관점에서 고전연극사에 대해 지속적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윤리의 서사화―<오륜전비기> 수용 연구』, 『한국우언문학사 1』, 『한국 고전문학의 넘터』 등의 저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서론
1. 경복궁 무엇을 복원할 것인가?
2. 한국 연극사와 관극의 비평사
3. 경복궁 중건 시역에서의 연희 공연
4. 연구 전망과 남은 과제

제1부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에 나타난 연희 공연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
3. 관변사서 및 야사에 나타난 경복궁 중건의 연희 상황
4.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의 존재방식과 의미
5. 국문 가사로 쓴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의 의미
6. 맺음말

제2부
경복궁 중건 연희 공연의 도상성과 미학
1. 머리말
2. 상하 질서와 경복궁 송축의 도상성
3. 사방 질서와 부역터 노동의 도상성
4. 상하·사방의 갈등과 화합 그리고 신명풀이의 미학
5. 맺음말

제3부
경복궁 중건 연희 공연의 실상과 의의
1. 머리말
2. 경복궁 중건의 노래
3. 경복궁 중건의 현장과 연희 공연
4. 경복궁 중건터 잡희 공연의 담당층
5. 경복궁 중건의 참여자와 관극시가의 작가층
6. 맺음말

제4부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의 원전 비평
1. 머리말
2. 경복궁 중건 관련 작품의 개요
3. 경복궁 중건 관극시가 작품의 원전 비평
(1) 경복궁 중건승덕가
(2) 국문가사 〈경복궁가〉
(3) 기완별록
(4) 북궐중건가北闕重建歌
(5) 경복궁 중건의 관련 민요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앙박물관 (2022)
길승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