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4714 | |
005 | 20221018165629 | |
007 | ta | |
008 | 201110s2020 ggkac 000c kor | |
020 | ▼a 9791191174595 ▼g 0389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k eng ▼h lat |
082 | 0 4 | ▼a 335.02 ▼2 23 |
085 | ▼a 335.02 ▼2 DDCK | |
090 | ▼a 335.02 ▼b 2020 | |
100 | 1 | ▼a More, Thomas, ▼d 1478-1535 ▼0 AUTH(211009)54602 |
245 | 1 0 | ▼a 유토피아 : ▼b 최상의 공화국 형태와 유토피아라는 새로운 섬에 관하여 / ▼d 토머스 모어 ; ▼e 박문재 옮김 |
246 | 1 | ▼i 영어번역표제: ▼a Utopia |
246 | 1 9 | ▼a De Optimo rei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 |
260 | ▼a 파주 : ▼b 현대지성, ▼c 2020 | |
300 | ▼a 295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 |
440 | 0 0 | ▼a 현대지성 클래식 ; ▼v 33 |
500 | ▼a 연보와 해제수록 | |
546 | ▼a 라틴어로 된 원저작을 영어로 번역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 |
700 | 1 | ▼a 박문재, ▼e 역 ▼0 AUTH(211009)35554 |
900 | 1 0 | ▼a 모어, 토머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02 2020 | 등록번호 11183549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6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5.02 2020 | 등록번호 1513598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02 2020 | 등록번호 11183549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6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5.02 2020 | 등록번호 1513598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독실한 가톨릭교도인 토머스 모어의 신념과 사상이 녹아들어 있으면서도,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로서의 파격적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주는 수작. 저자는 절대왕정의 시대를 살면서도 ‘공화국’을 이상국가로 제시했는데, 당시까지의 이상향에 관한 모든 사상과 철학적 논의를 한데 모았고, 이상국가 시민의 의식주와 경제활동, 정치·사회 생활 등 세밀한 부분까지 눈앞에서 그림을 그리듯 묘사했다.
백년전쟁과 장미전쟁을 거치면서 16세기 영국에서 살아가는 백성의 삶은 고통의 연속이었고, 그 결과 거리에는 거지와 도적 떼가 넘쳐났다. 또한 봉건사회에서 시민사회로 이행하던 과도기에 나타난 절대왕정 아래에서는 가혹한 법률이 제정되고 엄격하게 집행되었다. 양모 가격은 폭등하여 지주들이 목초지를 급격히 늘리는 바람에 대규모로 몰락한 농민들은 도시로 내쫓긴다(“인클로저 운동”). 시대적으로는 종교개혁과 르네상스의 소용돌이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사람들은 ‘새로운 세상’을 꿈꾸기 시작했다.
이 책은 당시까지의 이상향에 관한 사상과 철학적 논의를 한데 모았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고 사유해야 하는 책으로 인정받아왔다. 특히, 자본주의 체계의 한계와 극심한 모순 가운데 포스트-자본주의 사회를 떠올리는 사람들에게, 지금 읽더라도 생생하게 적용점을 찾을 수 있는 놀라운 내용으로 가득하다. 저자가 16세기에 언급한 기본소득, 공공주택, 6시간 노동 정책, 경제적 평등과 같은 여러 급진적 사상은 21세기인 지금 그 도입을 활발히 논의할 정도로 파격적이고 혁신적이다.
기본소득, 공공주택, 6시간 노동, 경제적 평등, 공유사회…
현재 논의되는 이상국가의 기본 틀을 이미 500년 전에 제시하다
독실한 가톨릭교도인 토머스 모어의 신념과 사상이 녹아들어 있으면서도,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로서의 파격적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주는 수작, 『유토피아』가 현대지성 클래식 33번으로 출간되었다. 저자는 절대왕정의 시대를 살면서도 ‘공화국’을 이상국가로 제시했는데, 당시까지의 이상향에 관한 모든 사상과 철학적 논의를 한데 모았고, 이상국가 시민의 의식주와 경제활동, 정치·사회 생활 등 세밀한 부분까지 눈앞에서 그림을 그리듯 묘사했다.
토머스 모어가 살았던 시대에 영국은 백년전쟁과 장미전쟁을 거치며 무법천지가 되어버렸다. 숲에는 도적 떼가 몰려 있었고 상인들은 무사를 고용해야만 했다. 인클로저 운동으로 농민이 몰락하고 런던의 인구는 폭발하여 온갖 사회문제가 발생했다. 모어는 범죄자를 처벌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런 범죄자가 나오지 않도록 예방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보았다.
저자가 16세기에 언급한 기본소득, 공공주택, 6시간 노동 정책, 경제적 평등과 같은 여러 급진적 사상은 후대에 마르크스의 『자본론』 등으로 연결되었으며, 21세기인 지금도 활발히 논의될 정도로 파격적이고 혁신적이다. 플라톤이 『국가』에서 제시한 최상의 공화국을 철학적 담론이 아닌, 하나의 실제 모델로 생생하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람은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가?”라는 주제를 인문주의자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소설로 풀어낸 이 책은 이 시대의 이상향을 꿈꾸는 독자의 사유에 깊이를 더해줄 것이다.
이상향에 관한 모든 사상과 실천적 논의의 출발점
죽은 다음에 꿈꾸는 행복한 나라, 즉 내세의 이상향이 아니라 철저히 현세의 이상국가를 본격적으로 제시한 인물은 플라톤이었다. 그는 『국가』에서 철학자가 통치하는 공화국을 이상국가로 소개하면서 ‘재산의 공유’가 공평하고 정의로운 사회의 토대라고 주장한다.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한 나라의 대법관이며 르네상스 인문주의자였던 토머스 모어는 이 책 『유토피아』에서 플라톤이 제시한 공화국을 철학적인 담론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모델로 생생하게 묘사해냈다.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려 당시 영국과 유럽 사회가 앓고 있던 온갖 사회문제가 해결된 모습을 그리면서, 그런 사회로 나아가는 길에 필요한 이상국가의 기본 틀을 세웠다.
백년전쟁과 장미전쟁을 거치면서 16세기 영국에서 살아가는 백성의 삶은 고통의 연속이었고, 그 결과 거리에는 거지와 도적 떼가 넘쳐났다. 또한 봉건사회에서 시민사회로 이행하던 과도기에 나타난 절대왕정 아래에서는 가혹한 법률이 제정되고 엄격하게 집행되었다. 양모 가격은 폭등하여 지주들이 목초지를 급격히 늘리는 바람에 대규모로 몰락한 농민들은 도시로 내쫓긴다(“인클로저 운동”). 시대적으로는 종교개혁과 르네상스의 소용돌이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사람들은 ‘새로운 세상’을 꿈꾸기 시작했다.
이 책은 당시까지의 이상향에 관한 사상과 철학적 논의를 한데 모았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고 사유해야 하는 책으로 인정받아왔다. 특히, 자본주의 체계의 한계와 극심한 모순 가운데 포스트-자본주의 사회를 떠올리는 사람들에게, 지금 읽더라도 생생하게 적용점을 찾을 수 있는 놀라운 내용으로 가득하다. 저자가 16세기에 언급한 기본소득, 공공주택, 6시간 노동 정책, 경제적 평등과 같은 여러 급진적 사상은 21세기인 지금 그 도입을 활발히 논의할 정도로 파격적이고 혁신적이다.
이 시대에 논의되는 복지국가의 틀을 500년 전에 제시하다
유토피아 제1권은 제2권에서 본격적으로 설명될 최상의 공화국인 유토피아라는 섬나라를 소개하기 위한 도입부 역할을 한다. 즉, 여기에서 유토피아라는 이상국가를 소개하는 동기나 목적을 밝히는데, 그 직접적인 동기는 당시 영국에 만연되어 있던 불의, 그러니까 공공의 이익에 봉사하는 대다수의 평범한 대중은 먹고살기도 힘들어 물건을 훔치다가 사형을 당하는데 반해, 공공의 이익에 전혀 봉사하지 않는 귀족과 지주는 사치스럽게 살아가는 현실 때문이었다. 토머스 모어는 이 모든 사회악이 결국 근본적으로는 사유재산 제도에 있다고 단언하고, 제2권에서 사유재산 제도가 폐지된 나라가 어떤 모습일지를 유토피아에 대한 묘사를 통해 제시한다.
제2권은 라파엘이 유토피아라는 나라의 제도와 관습을 여러 분야로 나누어 설명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유토피아는 원래 섬이 아니었지만, 그곳을 정복해서 나라를 세운 유토포스라는 장군이 양쪽 모퉁이에 15마일 너비의 수로를 파내 섬이 되었다.
이곳 시민은 하루에 오직 6시간만 일을 하며, 여가는 재량껏 사용한다. 원하는 직업으로 오전 3시간, 오후 3시간만 일함으로써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기본소득 개념을 최초로 소개하였다. 동트기 전에 공공 강좌들이 여럿 개설되는데 자기가 원하는 대로 마음껏 배울 수 있다. 유토피아는 국가의 철저한 주도로 정원이 딸린 집을 모든 시민에게 무상으로 공급한다(공공주택). 공공의 필요가 모두 충족되면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정신의 자유를 추구하고 계발하는 일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국가는 최선을 다해 지원한다. 병원을 아주 크고 넉넉하게 지어 공공의료 체계를 완벽히 갖추어놓았고, 2년 치 물자를 준비해두어 가뭄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했다. 집에서 가까운 관청에서는 정성스러운 음식으로 무료 식사를 제공한다. 이 나라는 ‘경제적 불평등’이란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며, ‘참된 쾌락’을 추구하도록 서로 격려한다. 유토피아에서는 극소수의 법만 존재하고, 따라서 변호사가 필요 없다.
디스토피아에서 살며 유토피아를 꿈꾸다
현대지성 클래식 33권으로 소개하는 『유토피아』는 라틴어?원문을?텍스트로?삼아 번역했으며, 에라스무스가 추가한 난외주 및 184개에 달하는 역자의 상세한 각주와 친절한 해제를 통해 작품의 배경과 디테일한 부분까지 독자가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토머스 모어는 당시 온갖 사회악의 근본 원인이 사유재산에 있으며,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를 위해서는 사유재산 제도를 폐기하고 공동 생산과 공동소유를 통해 정신의 가치를 극대화하며 살아가야 한다고 강조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즉, 사유재산 제도가 사라진 곳에서는 인류가 어떤 모습을 향유하며 살아갈지를 그려낸 것이다.
플라톤이 『국가』에서 묘사한 이상국가는 『유토피아』를 거쳐 이탈리아 철학자 캄파넬라의 『태양의 나라』(1602), 그리고 영국 사상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뉴 아틀란티스』(1627)로 이어지다가 결국은 근대에 이르러 마르크스의 『자본론』(1867)으로 이론적인 토대를 얻어 한층 더 구체화한다.
사실, ‘유토피아’(Utopia)는 그리스어로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는 뜻이다. 토머스 모어는 유토피아를 꿈꾸었으나 그가 실제로 살아가야 했던 세상은 디스토피아 세상이었다. 그리고 이 책에 나오는 유토피아의 모습이 지금 이 시대에 그대로 재현된다고 해도 사람들은 그곳을 이상향이라고 여길지 궁금하다.
하지만 이 책이 지닌 미덕은 그렇게 디스토피아 같은 세상에 살면서도 유토피아를 꿈꾸게 하는 데에 있지 않을까? 책을 읽고 저마다 떠올리는 유토피아는 결국 제각각이겠지만, “사람은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가?”라는 주제를 당대 최고 수준의 인문주의자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소설로 풀어낸 이 책은 앞으로의 이상향과 복지국가를 꿈꾸는 독자의 사유에 깊이를 더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토머스 모어(지은이)
영국의 정치가이자 문필가. 법률가인 조 모어의 아들로 태어나 옥스퍼드에서 수학했으며 링컨법학원에서 일반법을 공부한 후 1500년 변호사 자격증을 땄다. 1504년 의회에 진출했으나 헨리 7세의 세금법안에 반대했다가 공직에서 물러났다. 1509년 헨리 8세가 왕위에 오르자 런던의 민선행정관 대리로 일하면서 공평한 재판관이자 빈민들의 보호자로서 시민들의 사랑을 받았다. 1521년 재무장관으로 승진했고 기사 작위를 수여받았다. 1523년 하원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529년에는 대법관을 겸하는 상서경에 올랐다. 그러나 1534년 헨리 8세와 앤 불린의 결혼에 반대하고, 왕위계승법에 서명하길 거부하여 런던탑에 감금되었다. 1535년에 열린 재판에서 반역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참수되었다. 로마 교황청은 사후 400년이 지난 1935년에 그에게 성인의 칭호를 부여했다.
박문재(옮긴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후에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나와 같은 대학원에서 신학석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비블리카 아카데미아에서 히브리어, 헬라어, 라틴어 등 고전어를 수학했다. 번역 사역에 헌신하며 수많은 책을 번역했는데, 대표적인 역서로는 칼빈 주석, 매튜 헨리 주석, 스펄전 설교 전집(이상 CH북스), 『변증신학 강요 1』, 『이론과 실천 신학 1, 2』, 『개혁파 조직신학 1, 2』, 『개혁파 윤리학』(이상 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목차
서문 | 토머스 모어가 페터 힐레스에게 보낸 서신 제1권 제2권 1. 유토피아 섬 2. 유토피아의 도시들, 특히 아마우로스 3. 관리들 4. 직업 5. 사회 조직 6. 여행 7. 생산물의 공평한 분배 8. 양육과 학문 9. 노예 10. 전쟁 11. 종교 12. 유토피아 공화국을 칭송함 서신과 시 토머스 모어가 페터 힐레스에게 에라스무스가 요한 프로벤에게 기욤 뷔데가 토머스 럽셋에게 아네몰리오스의 단시 페터 힐레스가 히에로니무스 부스리디우스에게 히에로니무스 부스리디우스가 토머스 모어에게 헤라르트 홀덴하우버의 시 베아투스 레나누스가 피르크하이머에게 데마레가 페터 힐레스에게 데마레의 시 유토피아어 알파벳 코르넬리우스 데 슈레이버가 독자에게 용어 해설 해제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