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4666 | |
005 | 20201110110722 | |
007 | ta | |
008 | 201110s2020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59432095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5603955 | |
040 | ▼a 245011 ▼c 245011 ▼d 211092 | |
082 | 0 4 | ▼a 618.9200757 ▼2 23 |
085 | ▼a 618.9200757 ▼2 DDCK | |
090 | ▼a 618.9200757 ▼b 2020 | |
110 | ▼a 대한소아영상의학회 | |
245 | 0 0 | ▼a 소아영상의학 / ▼d 대한소아영상의학회 지음 |
246 | 1 1 | ▼a Pediatric radiology |
260 | ▼a 서울 : ▼b 범문에듀케이션, ▼c 2020 | |
300 | ▼a xvi, 754 p. : ▼b 천연색삽화 ; ▼c 28 cm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찾아보기(p. 737-754) 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8.9200757 2020 | 등록번호 1310546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안암영상의학 618.9200757 2020 | 등록번호 931002750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부 중추신경계질환, 2부 두경부질환, 3부 흉부질환, 4부 심장질환, 5부 간, 담도, 췌장, 비장 질환, 6부 위장관과 복강 및 복벽이상, 7부 비뇨생식기계질환과 8부 근골격계를 다루었다. 한글 교과서로서 의학용어를 가급적 한글로 표기하고 필요에 따라 영어를 병기하였다.
이 책은 8부 46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중추신경계질환, 2부 두경부질환, 3부 흉부질환, 4부 심장질환, 5부 간, 담도, 췌장, 비장 질환, 6부 위장관과 복강 및 복벽이상, 7부 비뇨생식기계질환과 8부 근골격계를 다루었습니다. 한글 교과서로서 의학용어를 가급적 한글로 표기하고 필요에 따라 영어를 병기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소아영상의학을 공부하는 의학도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길 바라며, 소아청소년과를 주축으로 하여 소아를 진료하는 의료진 모두에게 좋은 참고서가 될 것을 기대합니다.
정보제공 :

목차
발간사 iii
머리말 v
PART 1 중추신경계질환 1
CHAPTER 01 선천성 기형(뇌/척수기형) 3
제보경·정아영
I. 선천성 뇌기형 3
1. 뇌의 발생 과정 3
2. 신경관 형성의 장애 5
3. 뇌소포와 만곡 형성의 장애 10
4. 신경원 증식의 장애 13
5. 신경원 이동의 장애 15
6. 피질 기질화의 장애 17
7. 후두와 기형 20
II. 선천성 척수기형 24
1. 척수의 발생 과정 24
2. 선천성 척수 기형의 영상검사 24
3. 척수기형의 분류 27
4. 피부로 덮여 있지 않은 병변들 27
5. 피부로 덮여 있고 피하종괴를 형성하는 병변 30
6. 피부로 덮여 있고 피하종괴를 형성하지 않는 병변 32
CHAPTER 02 신경피부증후군 41
이소미·천정은
I. Neurocutaneous syndrome 41
1. Neurofibromatosis type 1 (1형 신경섬유종증) 41
2. Neurofibromatosis type 2 (2형 신경섬유종증) 45
3. Tuberous scleorsis complex (결절성 경화증) 47
4. Sturge -Weber syndrome (스터지-웨버 증후군) 52
5. von Hippel-Lindau disease (폰 히펠-린다우병) 52
6. Ataxia-telangiectasia (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 54
7. Neurocutaneous melanosis (신경피부흑색증) 54
8. Incontinentia pigmenti(색소실조증) 56
CHAPTER 03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 59
김인원
1. 서론 59
2. 영상진단 59
3. 감염 및 염증의 종류 59
CHAPTER 04 뇌종양 73
윤혜경
1. 천막하종양 73
2. 천막상부 종양 82
CHAPTER 05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95
김지혜
1. 소아 HIE의 특징과 기전 95
2. 영상기법 96
3. 신생아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96
4. 신생아기 이후 HIE 107
5. HIE의 임상적인 측면 109
CHAPTER 06 뇌혈관 질환 111
유선경·최영훈
1. Arterial infarction 111
2. Venous thrombosis 112
3. Moyamoya disease/syndrome 114
4. Cerebrovascular malformation 119
5. Aneurysm 124
6. Sinus pericranii 125
CHAPTER 07 선천성 대사이상 127
천정은
I 정상 수초화 127
II. 영상기법 127
1. MR imaging: pattern analysis 127
2. MR spectroscopy 127
3. Diffusion weighted image 127
III. 영상소견 130
1. Lysosomal storage diseases 130
2. Peroxisomal disorders 132
3. Mitrochondrial disorders 133
4. 아미노산 대사이상 133
5. 기타 질환 135
IV. 요약 138
CHAPTER 08 두부 외상 141
어 홍
1. 검사 방법 141
2. 두개 외 병변 141
3. 두개골절 142
4. 두개강 내 병변 147
5. 아동학대 152
PART 2 두경부 157
CHAPTER 09 안와 질환 159
황재연
1. 안와의 해부학 및 영상 진단 159
2. 선천성 및 신생아 질환 161
3. 감염 및 염증성 질환 164
4. 혈관성 질환 169
5. 종양성 질환 171
CHAPTER 10 측두골 질환 185
홍현숙
1. 발생과 선천성 이상 185
2. 염증성 질환 198
3. 종양 204
CHAPTER 11 선천성 경부 질환 213
임계연
1. 서론 213
2. 발생 213
3. 경부의 선천성 기형 216
CHAPTER 12 염증성 경부 종괴 229
윤병재·천정은
1. 서론 229
2. 해부학 230
3. 경부 염증성 질환 234
CHAPTER 13 두경부 종양 243
임윤정
1. 양성 종양 244
2. 악성 종양 250
PART 3 흉부 255
CHAPTER 14 신생아 흉부 질환 257
이영석
1. 신생아 흉부 영상 257
CHAPTER 15 선천성 폐질환 279
제보경·김우선
1. 폐의 발생 과정 279
2. 기관지 이상 280
3. 폐 실질 이상 283
4. 혈관이상 288
5. 혈관 이상을 동반한 폐 실질 이상 290
6. 하이브리드 병변 296
CHAPTER 16 상기도 질환 299
구현우
I. 소아 기도의 특징 299
II. 상기도 해부학 299
III. 상기도 폐쇄의 임상증상 299
IV. 소아 기도의 영상진단 기법 300
1. 단순방사선촬영 300
2. 투시촬영 300
3. 전산화단층촬영 300
4. 자기공명영상 302
V. 상기도 질환의 영상진단 및 소견 302
1. 후비공폐쇄 302
2. 설하수 302
3. 후두연화증 302
4. 후두덮개염 303
5. 크루프 304
6. 성문하협착 304
7. 성문하 혈관종 305
8. 기도내 이물질 흡인 305
9. 혈관성 기도 압박 309
10. 기관기관지연화증 311
11. 기관기관지 외상 312
CHAPTER 17 감염성 폐질환 315
신수미·김우선
I. 서문 315
1. 소아 폐감염의 임상 양상 315
2. 소아폐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특징 315
3. 흉부X선 소견상의 형태학적 분류 315
4. 연령과 면역상태에 따른 흔한 원인균 316
II. 소아 폐감염 317
1. 신생아폐렴 317
2. 클라미디아폐렴 317
3. 바이러스성 폐렴 317
4. 세균성 폐렴 320
5.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322
6. 소아 폐결핵 324
7. 기생충 감염 325
8. 진균감염 326
III. 감염후 폐쇄세기관지염 327
IV. 소아 폐감염에서 고려할 문제 330
1. 반복되는 폐렴 330
2. CT의 적응증 331
3. 원형폐렴 332
4. 연관통 332
CHAPTER 18 미만성 폐질환 335
이진성
1. Disorders of infancy 335
2. Disorders of childhood 336
3. Specific systemic diseases with lung
involvement 339
4. Pulmonary conditions occurring with
generalized systemic illness 340
5. Lung injury caused by extrinsic agents 343
CHAPTER 19 흉부종양 349
유소영
1. 개요 349
2. 폐종양 349
3. 종격동 종양 355
CHAPTER 20 흉벽 및 횡격막 질환 367
김지영·김우선
1. 흉벽 367
2. 횡격막 375
PART 4 심장 381
CHAPTER 21 선천성심장병 단순촬영진단 383
이 활
1. 선천성 심장병에서 단순촬영의 역할 383
2. 심장음영 및 폐혈관음영 383
3. 좌우단락과 우좌단락 384
4. 선천성 심장병의 단순촬영 소견 385
CHAPTER 22 선천성심장병 CT 진단 391
구현우
1. 심장CT의 장단점 391
2. 선천성심장병 심장CT 영상 기법 391
3. 수술 및 시술 전 CT 영상진단 392
4. 수술 및 시술 후 CT 영상진단 396
CHAPTER 23 선천성심장병 MR 진단 399
유시준·구현우
1. 선천성심장병의 중요성 399
2. 선천성심장병 진단의 세 가지 요소 399
3. 선천성심장병 중 MR이 필요한 상황 399
4. MR 검사 프로토콜 400
5. MR 검사 결과의 분석 403
CHAPTER 24 후천성심혈관질환 405
구현우
1. 혈관병증 405
2. 심근병증 406
3. 심낭질환 408
CHAPTER 25 심장종괴 411
추기석·구현우
I. 서론 411
II. 각론 411
1. 양성종괴 411
2. 악성종괴 414
PART 5 간, 담도, 췌장, 비장 417
CHAPTER 26 간 질환 419
이미정
1. 정상 간의 발생 419
2. 간의 영상 검사 419
3. 미만성 간질환 419
4. 대사성 간질환 420
5. 간종양 424
6. 간 외상 432
7. 간 이식 432
CHAPTER 27 담도 및 담낭질환 435
이희정
1. 정상 소견 435
2. 담낭 및 담도 기형 435
3. 신생아 황달 438
4. Bile plug 증후군 442
5. 담낭 수종 442
6. 담석증과 담낭염 443
7. 자발적 총담관 천공 444
8.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444
9. 횡문근육종 445
CHAPTER 28 췌장 및 비장질환 447
이무숙
I. 췌장 447
1. 선천성 췌장 질환 447
2. 췌장을 침범하는 유전 질환 449
3. 췌장염 450
4. 췌장 종양 452
5. 췌장 외상 453
II. 비장 453
1. 선천성 비장 질환 453
2. 비장비대증 455
3. 비장 농양 457
4. 낭성 비장 질환 457
5. 양성 비장종양 457
6. 악성 비장종양 459
PART 6 위장관과 복강 및 복벽이상 463
CHAPTER 29 신생아기 위장관 이상 465
조현혜·이선화
1. 식도 465
2. 위 469
3. 십이지장 471
4. 소장 474
5. 대장 480
CHAPTER 30 신생아기이후 위장관질환 485
이관섭
1. 위식도 역류 485
2. 식도무이완증 486
3. 비후성 유문협착증 486
4. 위석 488
5. 위십이지장궤양 488
6. 상장간동맥증후군 489
7. 헤노흐-쉔라인 자반증 491
8. 메켈 게실 492
9. 이물 섭취 494
10. 장중첩증 495
11. 용종 499
CHAPTER 31 염증성장질환 503
조영아
1. Crohn’s disease(크론병) 503
2. Ulcerative colitis(궤양성 결장염) 504
3. 결핵성 장염 507
4. 감염성 장염 507
5. 급성 충수염 507
6. Bechet disease 510
7. Hemolytic uremic syndrome 510
8. Neutropenic enterocolitis (호중구감소성 소장결장염) 511
9. Pseudomembranous colitis (가막성 결장염) 512
10. Graft-versus-Host disease (이식대숙주병) 512
11. Pneumatosis coli 513
CHAPTER 32 복강 및 복벽이상 515
이미정
1. 복강 515
2. 복벽 520
PART 7 비뇨생식기계 529
CHAPTER 33 신장과 요관의 선천성 질환 531
김승철
1. 비뇨기의 발생 과정과 태아 초음파 531
2. 신장의 선천성 기형 534
3. 요관의 선천성 기형 538
CHAPTER 34 종양 및 낭성 신질환 545
김명준
1. 신장 종양 545
2. 낭성 신 질환 552
CHAPTER 35 요로감염, 결석, 혈관질환, 외상 561
장윤우
I. 요로감염 561
Imaging algorithms for evaluation and follow up of UTI 561
1. Acute pyelonephritis 562
2. Pyonephrosis 564
3. Candidiasis 564
4. Renal tuberculosis 565
5. Xant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566
6. Renal scars 566
II. 방광요관역류 567
1. Imaging techniques 567
2. Etiology of VUR 568
3. Grading system, natural history of VUR 569
4. Treatment of VUR 570
III. 결석 570
1. Nephrocalcinosis 570
IV. 혈관질환 573
1. Renal vein thrombosis 573
2. Renal artery thrombosis, embolism, and
infarction 573
3. Nutcracker syndrome 575
4. Miscellaneous arterial lesions 575
V. 외상 575
1. Renal injury 575
2. Bladder injury 576
3. Urethral injury 577
CHAPTER 36 부신질환 579
김위경·유소영
I. 정상 부신 579
1. Anatomy and development 579
2. Imaging studies 579
II. 부신 종괴 579
1. Adrenal hemorrhage 579
2. Neuroblastoma 582
3. Ganglioneuroma 588
4. Pheochromocytoma 589
5. Adrenocortical neoplasm (adrenal adenoma and adrenal cortical carcinoma) 589
6. Metastasis 591
III. 대사성 부신 질환 591
1.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591
2. Wolman disease 592
CHAPTER 37 방광 질환 595
신현주·김명준
1. 해부학 및 정상 구조물 595
2. 신경인성 방광 596
3. 방광 게실 596
4. 요막관 이상 597
5. 방광 외번 598
6. 말린대추배증후군 598
7. 방광 염증성 질환 599
8. 방광 종양 601
9. 요도 이상 603
CHAPTER 38 여아의 골반 내 이상 607
한병희
1. 검사기법 607
2. 자궁과 난소의 발달 609
3. 선천성 기형 609
4. 골반 내 비 종양성 병변 612
5. 골반 내 종양 616
6. 성조숙증 618
CHAPTER 39 음낭질환 619
임경자
1. 해부학 619
2. 선천성 질환 621
3. 급성질환 622
4. 양성질환 626
5. 음낭종양 629
PART 8 근골격계 633
CHAPTER 40 외상성 질환 635
김용우
I. 외상성 질환 635
1. 영상진단법 635
2. 성인과 소아에서 뼈의 차이점들 635
3. 소아 골절의 형태 636
4. 소아의 나이에 따른 특수한 골절 형태들 639
5. Non-accidental injury (child abuse, 아동학대) 644
6. Normal anatomy and variants mimicking trauma(외상으로 오인될 수 있는 정상 해부학
적 구조물이나 정상 변이들) 645
CHAPTER 41 감염성 질환 및 관절염 649
김지영
1. 감염성 질환 649
2. 비감염성 관절염 657
CHAPTER 42 연부조직종양 663
최영훈
I. 서론 663
1. 분류 663
2. 임상소견 및 영상평가 방법 663
II. 양성 연부조직 종양 664
1. 혈관성 병변 664
2. 지방성 종괴 669
3. Fibroblastic / Myofibroblastic tumors 670
4. 신경원성 종양 672
5. 기타 종양 675
III. 가성 종양 676
1. 외상성 연부 종괴 676
2. 염증성 종괴 676
3. 관절주위 낭종 678
IV. 악성 연부조직 종양 680
CHAPTER 43 골종양 685
윤혜경
I. 골종양 685
1. 양성 골종양 685
2. 악성 골종양 694
CHAPTER 44 대사성 및 내분비 질환 701
김현지·윤춘식
1. 대사성 질환 701
2. 내분비 질환 706
CHAPTER 45 소아 고관절 질환 711
전태연
1. 선천성 발달성 고관절 질환 711
2. 후천적 고관절 질환 713
CHAPTER 46 선천성 기형 및 기타질환 721
윤희망·천정은
I. 선천성 기형 721
1.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type 3 (FGFR3) group 721
2. Type II collagenopathy 722
3. Multiple epiphyseal dysplasia and pseudoachondroplasia group 725
4. Asphyxiating thoracic dysplasia 726
5. Chondrodysplasia punctate (stippled epiphyses) 727
6. Mucopolysaccharidosis 727
7. Cleidocranial dysplasia 728
8. Osteogenesis imperfecta 729
II. 기타 질환 730
1. Club foot 730
2. Tarsal coalition 731
3. Blount disease 732
4. Osgood-Schlatter disease 732
5. Fibromatosis colli 733
6. Scoliosis 734
찾아보기 737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