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4045 | |
005 | 20201104112650 | |
007 | ta | |
008 | 201103s2015 ulka 001c kor | |
020 | ▼a 9788962783520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3885202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92 | |
082 | 0 | ▼a 618 ▼2 23 |
085 | ▼a 618 ▼2 DDCK | |
090 | ▼a 618 ▼b 2015 | |
110 | ▼a 대한산부인과학회 | |
245 | 1 0 | ▼a 산부인과학 = ▼x Obstetrics & gynecology : ▼b 지침과 개요 / ▼d 대한산부인과학회 지음 |
246 | 3 | ▼a Obstetrics and gynecology |
250 | ▼a 넷째판 | |
260 | ▼a 서울 : ▼b 군자출판사, ▼c 2015 ▼g (2020 3쇄) | |
300 | ▼a xxxii, 648 p. : ▼b 천연색삽화 ; ▼c 27 cm | |
500 | ▼a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8 2015 | 등록번호 1310546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생들이 알아야 할 산부인과 영역의 기본 내용 위주로 수록하였으며, 이에 더 나아가 의사 국가고시를 대비한 내용과 의대생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산부인과 전문적 내용을 일부 담고 있습니다.
산부인과학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신 여러분께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정성껏 준비한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제 4판을 출간하게 되어 대단히 기쁩니다. 아시는 것처럼 그동안 산부인과학 학습교재로 산부인과학회에서 출간한 “산과학’’과 “부인과학’’, 그리고 “Williams Obstetrics’’와 “Novak’s Gynecology’’를 사용하여 왔으나, 산부인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는 너무 전문적이고 그 양이 방대하여 학생 수준에는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학생들만을 위한 표준화된 교과서가 절실히 요구되어 2008년에 “산부인과학지침과 개요” 초판을 발간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개편을 거듭하여 현재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초창기에는 소수의 교수님들이 봉사하는 마음으로 시작하였지만, 이후 차차 체계를 갖추어 이번 4판에서는 산과와 부인과를 나누고 또한 세부 분야를 나누어 많은 전문 교수님들에게 원고집필을 의뢰하였습니다. 책의 내용을 접하시면 아시겠지만 우선적으로 학생들이 알아야 할 산부인과 영역의 기본 내용 위주로 수록하였으며, 이에 더 나아가 의사 국가고시를 대비한 내용과 의대생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산부인과 전문적 내용을 일부 담고 있습니다.
새로운 내용을 완성하기 위하여 노력해주신 박형무 편찬위원장님과 편찬위원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또한 산부인과 학회와 산부인과학 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기꺼이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 주신 집필 교수님들에게 감사와 격려를 드립니다.
우리나라의 산부인과 현실이 현재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전공의 지원율은 낮아진 상태이며 여러 산부인과 전문의가 본연의 일과는 다른 일에 종사하게 되는 등 작금의 상태를 보는 학회의 마음은 무겁습니다. 하지만 이제 조금씩 변화의 바람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의학에 있어서도 기본에 충실한 분야가 다시 인정받고 존중받는 사회가 될 것을 기대하며, 산부인과학의 새로운 도약의 시초가 될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가 많은 분들에게 산부인과학의 보람됨을 일깨우길 기대해 봅니다. 아울러 많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산부인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산부인과를 사랑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2015년 8월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장 김장흡
정보제공 :

목차
PArt 1 기초산부인과학
Chapter 01 해부학 3
1. 외음부 3
2. 내부생식기관 6
3. 뼈골반 8
4. 골반 바닥 10
Chapter 02 태생학11
1. 성의 분화 11
2. 생식 세포의 발달 12
3. 성기의 분화 13
Chapter 03 생식 생리17
1. 시상하부 17
2. 뇌하수체 20
3. 생식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성호르몬 22
4. 월경주기 25
5. 난포의 성장 27
PArt 2 일반부인과학
Chapter 04 생식기 기형과 성 발달 이상33
1. 외부 생식기 기형 33
2. 내부 생식기 기형 35
3. 성 발달 이상 36
Chapter 05 유산41
1. 정의 41
2. 자연유산 43
3. 유발유산 47
4. 유산 방법 47
5. 반복유산 51
6. 자궁경부 무력증 54
Chapter 06 자궁외 임신59
1. 정의, 빈도 및 발생 부위 59
2. 난관임신의 원인 및 위험인자 61
3. 난관임신의 병태생리 62
4. 임상적 증상 62
5. 진단 63
6. 치료 64
7. 난관이외 부위의 자궁외 임신 66
Chapter 07 가족계획69
1. 서론 69
2. 자연피임법 71
3. 장벽방법과 살정제 72
4. 자궁내 장치 73
5. 호르몬 피임제 76
6. 응급 피임 81
7. 영구피임 방법 82
Chapter 08 자궁근종85
1. 병태생리 85
2. 위험 인자 86
3. 증상 86
4. 위치에 따른 분류 87
5. 진단 88
6. 감별진단 89
7. 생식능력에 대한 근종의 영향 89
8. 임신과 자궁근종 90
9. 치료 91
Chapter 09 자궁내막증95
1. 정의 95
2. 호발 부위 95
3. 역학 96
4. 위험인자 97
5. 병인론 97
6. 임상 양상 98
7. 진단 99
8. 복강경 소견 100
9. 치료 101
Chapter 10 골반통과 월경통105
1. 서론 105
2. 급성 골반통 105
3. 주기성 통증: 일차성과 이차성 월경통 109
4. 만성 골반통 111
Chapter 11 비정상 자궁출혈115
1. 서론 115
2. 정상 월경의 양상 116
3. 비정상 월경을 설명하는 용어의 정의 116
4. 기능성 자궁출혈의 원인에 따른 분류 116
5. 진단 117
6. 감별진단 118
7. 치료 119
8. 연령에 따른 비정상 자궁출혈 120
Chapter 12 성매개병과 요로감염125
1. 외음부 감염 125
2. 기생충 감염 128
3. 생식기 궤양 131
4. 질염 136
5. 자궁경부염 141
6. 골반염 145
7. 난관난소농양 147
8. 자궁내막염 148
PArt 3 산과학
Chapter 13 서론151
1. 산과학의 정의 151
2. 산과학 용어의 정의 151
3. 역학 및 통계 153
Chapter 14 태아 순환155
1. 정상 태아 순환 155
2. 출생 후 순환 157
Chapter 15 모체의 변화159
1. 대사기능의 변화 159
2. 내분비계의 변화 161
3. 혈액학적 변화 162
4. 심장혈관계의 변화 164
5. 호흡기계의 변화 165
6. 소화기계의 변화 166
7. 비뇨기계의 변화 167
8. 피부의 변화 168
9. 근골격계의 변화 169
10. 중추신경계의 변화 169
11. 유방의 변화 169
12. 생식기 계통 170
Chapter 16 산전관리173
1. 산과용어 173
2. 임신의 진단 174
3. 임신주수 판정과 출산예정일 계산 176
4. 산전관리의 목적 177
5. 초기 산전평가 177
6. 추적 산전관리 180
7. 임신 중 영양 182
8. 임신 중 동반되는 증상과 일반 상식 184
Chapter 17 정상 분만진통 및 분만189
1. 정상 분만의 기전 189
2. 분만진통 194
3. 후두위에서의 정상 분만 기전 198
4. 정상진통의 분만의 관리 202
Chapter 18 비정상 분만진통과 유도분만213
1. 난산 213
2. 유도분만 215
3. 비정상 태위 218
4. 급속 분만 223
Chapter 19 생식관의 이상225
1. 생식관의 발달이상 225
2. 후천성 생식기계 이상 229
Chapter 20 수술적 산과학233
1. 흡입분만 233
2. 제왕절개술 235
3. 제왕절개술 후의 질식분만 237
Chapter 21 산과마취241
1. 부위마취 241
2. 부위마취의 합병증 242
Chapter 22 산후관리245
1. 산욕기의 정의 245
2. 산욕기의 변화 245
3. 모유수유 248
4. 산욕기 이상 250
Chapter 23 산전 태아 안녕평가257
1. 서론 257
2. 태아운동 257
3. 태아호흡 259
4. 비수축검사 260
5. 생물리학계수 261
6. 탯줄동맥 도플러 초음파 검사 262
Chapter 24 분만 중 태아 건강평가265
1. 분만 중 자궁수축 265
2. 태아 심박동수의 양상 265
3. 태아곤란증 270
Chapter 25 조산273
1. 용어의 정의 273
2. 조산의 개괄 274
3. 조산의 원인 275
4.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의 예측 및 조기 발견 277
5. 임신 유지에 있어서 Progesterone의 역할 278
6. 조기양막파수의 관리 279
7. 양막파수가 없는 상태에서의 조기진통 280
Chapter 26 과숙임신285
1. 정의 285
2. 빈도 285
3. 원인 285
4. 진단 285
5. 과숙임신의 병태생리 286
6. 과숙임신의 합병증 287
7. 과숙임신의 처치 287
Chapter 27 태아성장 이상289
1. 정상 태아 발육 289
2. 태아 발육부전 290
3. 태아과도성장 293
Chapter 28 양수량의 이상295
1. 양수량의 조절과 측정방법 295
2. 양수과다증 296
3. 양수과소증 297
Chapter 29 다태임신301
1. 다태임신의 원인 301
2. 다태임신의 진단 305
3. 다태임신 모체의 임신적응 305
4. 임신 결과 306
5. 다태임신의 특이 합병증 309
6. 다태임신의 분만 312
7. 선택적 감수술 및 중절술 314
Chapter 30 태아 및 신생아 질환315
I. 조산 태아 및 신생아 질환315
1.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315
2. 미숙아 망막병증 317
3. 뇌실내 출혈 318
4. 뇌실주위백질연화증 318
5. 괴사성 장염 319
6. 뇌성마비 319
7. 동종면역 321
8. 태아수종 324
II. 만삭 태아 및 신생아 질환326
1. 태변흡인증후군 326
2. 신생아 뇌병증과 뇌성마비 327
3. 신생아 혈액학적 이상 329
4. 신생아 손상 331
5. 자궁내 태아사망 333
Chapter 31 산과적 출혈337
1. 서론 337
2. 산과적 출혈의 원인 338
3. 소모성 혈액응고장애 352
4. 출혈의 관리 355
Chapter 32 임신 중 고혈압357
1. 임신 중 합병되는 고혈압의 진단 기준 357
2. 전자간증 358
3. 자간증 365
4. 만성고혈압 369
5. 중복전자간증 371
Chapter 33 임신과 당뇨373
1. 빈도 및 역학 373
2. 임신 중 당뇨병의 분류 373
3. 임신성 당뇨병 374
4. 현성 당뇨 379
Chapter 34 임신과 동반된 내외과 질환383
I. 심혈관 질환 383
1. 역학 383
2. 임신 중 심혈관계의 생리적 변화 384
3. 정상임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및 소견 384
4. 임신 중 심장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 또는 진찰 소견 385
5. 심장 질환 환자의 임신 전 상담 385
6. 심장질환 임산부의 처치 386
II. 폐 및 호흡기계 질환389
1. 임신과 인플루엔자 폐렴 389
2. 임신과 수두 389
3. 임신 중 결핵 치료 390
4. 임신과 천식 390
III. 간 및 위장관 질환392
1. 임신 중 위장관계 기능의 변화 392
2. 입덧 392
3. 역류성 식도염 393
4. 소화성 궤양 393
5. 충수돌기염 393
6. 염증성 장질환 394
7. 임신성 급성 지방간 395
8. HELLP 증후군 396
9. 바이러스성 간염과 임신 397
IV. 요로계 감염399
1. 요로 감염 399
2. 요로 감염의 진단 399
3. 무증상 세균뇨 400
4. 급성 신우신염 400
V. 저혈소판증 402
1. 빈도 및 정의 402
2. 임신성 저혈소판증 402
3. 면역성 저혈소판증 403
VI. 갑상선 질환404
1. 갑상샘과다증 404
2. 갑상샘저하증 406
3. 산후 갑상샘염 406
VII. 결합조직계 질환408
1. 전신홍반루푸스 408
2. 항인지질항체증후군 410
VIII. 혈전색전질환412
1. 역학 412
2. 심부정맥혈전증 412
3. 폐색전증 413
IX. 신경 정신학적 질환415
1. 간질 415
2. 산욕기에 발생하는 정신과적 질환 416
X. 피부질환418
1. 임신성 간내 쓸개즙 정체 418
2. 임신소양성두드러기성 구진 및 판 419
3. 임신유사천포창 420
XI. 감염성 질환422
1. 바이러스 감염 422
2. 세균감염 428
3. 원충감염 429
XII. 성매개질환432
1. 매독 432
2. 임질 433
3. 클라미디아 감염 433
Chapter 35 산과 의료윤리439
1. 서론 439
2. 의료윤리의 4원칙 439
3. 의사-환자관계에서의 일반적 윤리 441
4. 임신중절 관련 법령 444
5. 산과 의료윤리 445
PArt 4 생식 내분비학
Chapter 36 사춘기451
1. 정의 451
2. 정상 사춘기 발달 451
3. 사춘기 발달이상 455
Chapter 37 무월경459
1. 무월경의 정의와 분류 459
2. 2차 성징의 발현이 없는 원발성 무월경 461
3. 2차 성징의 발현이 있고 골반 구조가 비정상적인 경우의 무월경 464
4. 2차 성징의 발현이 있고 골반 구조가 정상인 경우의 무월경 465
Chapter 38 내분비 질환473
1. 고안드로겐증 473
2. Prolactin disorder 477
Chapter 39 폐경481
1. 정의 481
2. 폐경 주변기 및 폐경기의 생리학 482
3.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표적 장기의 반응 484
4. 폐경기의 임상적 양상 485
5. 호르몬 요법 489
Chapter 40 여성 불임493
1. 서론 493
2. 여성의 연령과 Fecundity 494
3. 각 불임 요인에 대한 검사와 처치 496
4. 원인불명 불임 503
5. 보조생식술 503
PArt 5 종양학
Chapter 41 난소 양성 종양509
1. 기능성 낭종 509
2. 종양성 양성 종양 510
3. 기타 난소 종양 513
Chapter 42 난소암515
1. 상피성 종양 515
2. 임상적 평가 520
3. 병기결정 520
4. 상피성 난소암의 병리 522
5. 전이양상 522
6. 예후인자 522
7. 치료 525
8. 생존율 529
9. 난소 생식세포종양 529
10. 성기삭 간질 종양 533
Chapter 43 자궁경부의 질환과 종양537
1. 역학 537
2. 발병기전 538
3. 분류 538
4. 진단 539
5. 자궁경부상피내종양의 치료 543
6. 자궁경부암의 병기 545
7. 치료 방법 546
8. 진행되지 않고, 크지 않은 자궁경부암의 치료549
9. 진행되지 않았으나 지름 4 cm를 넘는 자궁경부암 치료 551
10. 진행된 자궁경부암 치료 551
11. 특수한 상황의 자궁경부암 치료 551
12. 치료 후 추적검사 552
Chapter 44 외음부 및 질의 질환555
1. 선천성 기형 555
2. 양성 상피성 질환 557
3. 양성 낭종 및 종양 560
4. 감염성 질환 561
5. 외음부의 비궤양성 감염질환 566
6. 악성질환 567
Chapter 45 자궁내막증식증과 자궁내막암575
I. 자궁내막증식증575
1. 분류 576
2. 위험요인 577
3. 진단 577
4. 치료 578
II. 자궁내막암579
1. 병태생리 579
2. 자궁내막암의 전이경로 579
3. 선별검사 580
4. 증상 580
5. 이학적 검사 581
6. 진단 581
7. 치료 전 평가 582
8. 조직학적 분류 582
9. 예후 583
10. 치료 584
11. 자궁내막암의 재발 586
12. 치료 후 추적관찰 587
13. 자궁내막암으로 수술 후 난포호르몬 투여 588
Chapter 46 임신성 융모성 질환589
1. 포상기태 590
2. 악성 임신성 융모성 질환 593
PArt 6 비뇨부인과 성학
Chapter 47 비뇨부인과와 골반장기탈출증601
1. 배뇨의 생리학 601
2. 요실금 605
3. 골반장기탈출증 610
Chapter 48 성징, 성기능 장애, 성폭행615
1. 성징 615
2. 성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617
3. 성기능 장애 619
4. 성폭행 621
찾아보기 627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