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2903 | |
005 | 20201029135107 | |
007 | ta | |
008 | 201028s2020 ulk 000c kor | |
020 | ▼a 9791190812030 ▼g 03800 | |
035 | ▼a (KERIS)BIB000015617988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28 ▼2 23 |
085 | ▼a 028 ▼2 DDCK | |
090 | ▼a 028 ▼b 2020z4 | |
245 | 0 0 | ▼a 질문하는 독서의 힘 : ▼b 토론을 위한 논제 만들기 / ▼d 김민영 [외] |
260 | ▼a 서울 : ▼b 북바이북, ▼c 2020 | |
300 | ▼a 308 p. ; ▼c 22 cm | |
500 | ▼a 공저자: 권선영, 윤석윤, 장정윤 | |
500 | ▼a 부록: 독서토론 논제 만들기 | |
700 | 1 | ▼a 김민영, ▼e 저 |
700 | 1 | ▼a 권선영, ▼e 저 |
700 | 1 | ▼a 윤석윤, ▼e 저 |
700 | 1 | ▼a 장정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 2020z4 | 등록번호 11183515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3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 청구기호 028 2020z4 | 등록번호 13105552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7-0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 2020z4 | 등록번호 11183515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3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 청구기호 028 2020z4 | 등록번호 13105552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7-0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책모임 및 독서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저자들의 독서 토론 논제 만들기 노하우를 한데 모았다. 독서 토론 논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책을 읽고 토론할 거리를 정리한 뒤, 책의 발췌문을 토대로 논제문을 써야 한다. 독서하는 힘은 물론, 생각하는 힘, 질문하는 힘, 정리하는 힘, 글 쓰는 힘, 심지어 말하는 힘까지 필요한 셈이다.
홀로 읽고 질문하는 독서법, 독서 모임을 위한 논제 발제법, 아이들과 논제로 대화하는 법 등 『질문하는 독서의 힘』에 담긴 친절한 설명과 논제 예시 자료를 살피다 보면, 이러한 힘들은 물론 세상과 소통하는 힘까지 세진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거대한 물음표의 세계로 걸어 들어가는 일, 바로 독서다.
자신이 궁금해했던 것, 관심사, 고민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재발견하는
자기 탐색의 과정인 셈이다.”
책을 읽고 난 후 무엇을 생각하고 말할 것인가
책을 읽었지만 머릿속에 남는 게 없다, 책모임을 하고 싶지만 어떤 이야기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 아이와 읽은 책으로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쉽지 않다. 많은 이들이 책을 읽고 난 후 무엇을 생각하고 말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한다. 독서를 통해 뭔가를 얻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리의 책 읽기를 더욱 힘들게 한다.
책모임 및 독서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저자들이 우리의 책 읽기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나섰다. 이들은 『질문하는 독서의 힘』을 통해 작가와 생각을 나누고, 자신의 고민에 대한 답을 찾으며, 관심사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독서법을 제시한다. 바로 ‘질문하는 독서’다. 책에서 질문을 찾고 답을 찾아 쓰거나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다 보면, 책의 내용을 누구보다 깊고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는 건 물론, 타인과 사회를 이해하는 힘까지 기를 수 있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말하기와 읽기, 쓰기 실력을 키워주는 독서 토론 논제 만들기
질문하는 독서는 어렵지 않다. 책을 읽고 감동적인 부분이나 인상적인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페이지 귀퉁이를 접어둔 다음, 그 이유를 스스로에게 묻고 그에 대한 답을 정리하면 된다.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은 부분을 표시해도 좋다. 여러 사람과 책에 표시한 부분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싶다면 논제를 만들어 독서 토론을 할 수도 있고, 아이들이 있다면 아이들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책의 한 구절에서 끌어내 질문해볼 수도 있다.
책에서는 이 과정들을 어떻게 이끌면 좋을지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문과 사례, 방법을 제시해 안내한다. 질문하는 독서를 위한 마음가짐을 단단히 하기 위해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1장. 질문하는 독서를 위한 마음가짐), 홀로 책을 읽으며 어떻게 질문을 만들고 어떤 방법으로 답하면 좋은지(2장. 홀로 책 읽는 이를 위한 질문 독서), 독서 모임에서 많은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기 위한 논제(질문)문은 어떻게 써서 이야기해야 하는지(3장. 독서 모임을 위한 논제 독서), 아이들과 책을 읽고 어떤 질문을 하는 게 좋을지(4장. 독서 교육을 위한 논제 독서), 장별로 각각의 저자가 관련 내용을 깊이 있게 다뤄 쉽게 읽고 실천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논제 만들기가 어렵다면, 부록의 독서 토론 논제 예시들을 참고해보자.
질문하는 독서로 읽기 능력뿐 아니라 생각하는 능력도 키우자
독서를 통해 반드시 뭔가를 얻어야 할 필요는 없다. 때로는 생각 없이 재밌게 읽은 책 한 권이 머릿속에 더 오래 남기도 한다. 독서야 안 해도 그만이지만, 그래도 해야겠다면 조금 더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다면, 더 많은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고 싶다면, 사회의 부조리를 짚어보고 싶다면, 독서만큼 좋은 매개체도 없을 것이다.
책을 읽으며 자신이 만든 질문을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서는 독서 토론 논제를 만들어야 한다. 이름이 거창해 독서 토론 논제지, 질문을 간략하게 정리한다고 생각하면 쉽겠다. 독서 토론 논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책을 읽고 토론할 거리를 정리한 뒤, 책의 발췌문을 토대로 논제문을 써야 한다. 독서하는 힘은 물론, 생각하는 힘, 질문하는 힘, 정리하는 힘, 글 쓰는 힘, 심지어 말하는 힘까지 필요한 셈이다. 『질문하는 독서의 힘』에 담긴 친절한 설명과 논제 예시 자료를 살피다 보면, 이러한 힘들은 물론 세상과 소통하는 힘까지 세진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민영(지은이)
방송작가, 영화비평 활동가, 출판 기자로 일했다. 저술과 강의가 업인 프리랜서 15년 차 작가다. 서울시교육청, 국립중앙도서관, 서울교대, 숙명여대, 중앙대에서 독서 토론과 글쓰기를 강의했다. 하루를 책 모임과 글쓰기, 운동으로 구성하며 ‘글 쓰는 도넛’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한다. 지은 책으로 『나는 오늘도 책 모임에 간다』 『첫 문장의 두려움을 없애라』 공저 『질문하는 독서의 힘』 『서평 글쓰기 특강』 등이 있다.
윤석윤(지은이)
‘나는 학생이다’라는 신조를 가지고서 ‘평생학습’의 실천자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학당에서는 필사 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저자로 『이젠, 함께 읽기다』, 『책으로 다시 살다』, 『질문하는 독서의 힘』, 『은퇴자의 공부법』 등에 참여했고, 단독 저서로 『나는 액티브 시니어다』가 있습니다.
권선영(지은이)
실천하는 삶을 살기 위해 읽고 토론한다. 반려견과 매일 걸으며 실천의 동력을 얻는다. 함께 쓴 책으로 『생각 정리 공부법』이 있다. 블로그_ 책 읽는 강아지(blog.naver.com/wooyu0705)
장정윤(지은이)
경영학 박사 수료 후 전략컨설팅 업무를 하다 책에 매료, 현재 『코스모스』 『이기적 유전자』 『사피엔스』 『정의란 무엇인가』 그리고 원서 함께 읽기로 『노인과 바다』 『달과 6펜스』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저로 『질문하는 독서의 힘』이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장. 질문하는 독서를 위한 마음가짐(김민영) 집중력을 높이는 독서 습관 고정관념을 깨는 소소한 질문 만들기 질문은 깊게 읽기를 위한 징검다리다 질문은 사고의 폭을 넓히는 마중물이다 책 읽고 질문하며 자기 입장 찾기 2장. 홀로 책 읽는 이를 위한 질문 독서(권선영) 책에 표시하며 질문 찾기 질문하는 습관 기르기 성찰과 사유를 위한 질문 만들기 나와 타인을 깊이 이해하는 질문 만들기 사회를 보는 다양한 관점의 질문 만들기 생각을 정리하는 질문 글쓰기 3장. 독서 모임을 위한 논제 독서(윤석윤) 논제를 위한 질문 탐색하기 논제 글쓰기와 논제문 만들기 분야별 도서의 논제 발제하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논제 글쓰기 논제 발제 시 흔히 하는 질문 독서 토론에 임하는 자세 4장. 독서 교육을 위한 논제 독서(장정윤) 책과 친해지는 질문하기 눈높이에 맞는 질문하기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질문하기 창의성을 키워주는 질문하기 치유와 해소의 질문 공동체 부록. 독서 토론 논제 만들기 어린이 청소년 성인(소설) 성인(비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