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는 바다로 간다 : 여성 멘토들의 리더십 이야기 : 서여리강 : 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 강연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양현아, 편 권오남, 편 홍찬숙, 편 고윤경, 편 정연순, 강연 이진순, 강연 유여원, 강연 윤인숙, 강연 허윤정, 강연 김진애, 강연
서명 / 저자사항
우리는 바다로 간다 : 여성 멘토들의 리더십 이야기 : 서여리강 : 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 강연 / 양현아 외 편저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   2020  
형태사항
251 p. : 삽화, 초상화 ; 22 cm
ISBN
9791162731352
일반주기
공편자: 권오남, 홍찬숙, 고윤경 ; 강연: 정연순, 이진순, 유여원, 윤인숙, 허윤정, 김진애  
기획: 서울대 여성연구소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52792
005 20201028094811
007 ta
008 201026s2020 ulkac 000c kor
020 ▼a 9791162731352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3.34082 ▼2 23
085 ▼a 303.34082 ▼2 DDCK
090 ▼a 303.34082 ▼b 2020
245 0 0 ▼a 우리는 바다로 간다 : ▼b 여성 멘토들의 리더십 이야기 : ▼b 서여리강 : 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 강연 / ▼d 양현아 외 편저
246 3 0 ▼a 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 강연
260 ▼a 서울 : ▼b 사회평론, ▼c 2020
300 ▼a 251 p. : ▼b 삽화, 초상화 ; ▼c 22 cm
500 ▼a 공편자: 권오남, 홍찬숙, 고윤경 ; 강연: 정연순, 이진순, 유여원, 윤인숙, 허윤정, 김진애
500 ▼a 기획: 서울대 여성연구소
700 1 ▼a 양현아, ▼e
700 1 ▼a 권오남, ▼e
700 1 ▼a 홍찬숙, ▼e
700 1 ▼a 고윤경, ▼e
700 1 ▼a 정연순, ▼e 강연
700 1 ▼a 이진순, ▼e 강연
700 1 ▼a 유여원, ▼e 강연
700 1 ▼a 윤인숙, ▼e 강연
700 1 ▼a 허윤정, ▼e 강연
700 1 ▼a 김진애, ▼e 강연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34082 2020 등록번호 1118350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34082 2020 등록번호 1513526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34082 2020 등록번호 1118350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34082 2020 등록번호 1513526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똑똑한 여성이 종종 듣는 얘기가 있다. “여자는 적당히 똑똑해야 한다.” 맡은 바에 충실히 임했을 뿐인데 돌아온 말이 고작 이런 핀잔이다. 예전보다 퍽 나아졌다고 하지만 실상은 여전하다. 바뀐 것이라면 예전에는 이런 힐난을 면전에서 직접 들었다면 이제는 은근히 견제하는 눈빛이나 뒷말로 전달받는다는 정도다.

이런 편견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자리에서 일당백 역할을 하며 리더로 성장한 여성들이 있다. ‘서여리강(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 강연)’은 이러한 여성 리더들의 삶과 경험, 지혜를 나누기 위해 기획되었다. 정치, 법률, 의료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자신의 존재와 역할을 끊임없이 탐구해 온 여성 리더들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리더십을 발견할 수 있다.

한 여성의 삶은 그 여성만의 것이 아닙니다.
그전부터 살아온 많은 여성의 삶이 우리 속에 농축되어 있습니다.

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 강연을 책으로 만나다

『우리는 바다로 간다』에는 서울대 여성연구소가 기획한 ‘서여리강(서울대 여성 동문 리더십강연)’의 강연과 문답이 수록됐다. 서울대 여성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양현아 교수는 이 기획을 통해 우리 사회 각 분야 여성 리더를 발견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한데 모으고자 했다.
연사들의 선정 기준도 단순한 유명세보다는 그가 어떻게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는가에 주목했으며 ‘젠더 인지적 시각’도 고려하였다. 그렇게 초청된 연사들의 면면은 다채롭다. 국회의원, 변호사부터 세계적인 국악연주자나 생태마을의 비폭력 대화 전문가까지 사회 각 분야에서 전방위로 활동하는 리더들이 연단에 섰다.

여성 리더십, 모진 토양에서 피어난 부드러운 강함

여성과 리더.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흔치 않은 조합이다. 생경한 만큼 새롭다. 이 책의 연사들은 학연, 지연, 인척 등으로 얽힌 남성 연고 사회에서 자신만의 길을 개척했다. 그리고 리더가 된 지금, 그들이 선보이는 리더십은 이전의 그것과는 다르다.
여성 리더들은 정복하고 뛰어넘기보다는 연대하고 포용하라고 조언한다.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관심을 가지고, 앞에서 이끄는 리더(Leader)보다는 개개인의 마음을 잘 읽는 리더(Reader)가 되라고 귀띔한다.
또, 여전히 견고한 남성 주도 사회 속에서 분투 중인 여성들에게 강물은 결국 바다에 다다르기 마련이니 여유를 가지고 좌절하지 말라고 격려한다. 강연은 일방통행에 그치지 않는다. 현장에서 관객들이 던지는 열띠고 날카로운 질문들과 연사들의 솔직하고 연륜 깊은 답변으로 강연은 풍성한 공론의 장이 된다.

홀로 분투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여성 멘토들의 응원

연사들의 다채로운 이력만큼이나 그들이 가진 리더십의 형태도 저마다 다르다. 그러나 한 가지 공통된 결이 존재한다. 바로 ‘연대’다. 모두의 의견이 소중하게 경청 되고, 다 함께 숙의 끝에 해답을 얻는 공동체. 이를 위해 권력의 분산과 수평적인 관계를 중요하게 강조한다. ‘나란히 옆에 서 있어주는 연대’를 통해 우리는 홀로 떨어진 물방울이 아니라 함께 바다로 흘러가는 거대한 물결이 된다.
이 책은 학교, 회사, 가정, 혹은 예상치 못한 여러 장소에서 보이지 않는 유리 천장에 맞서고 있는 이들에게 가슴 뜨거운 응원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오남(엮은이)

창의적인 강의에 남다른 열정을 지닌 수학교육자로, 아시아 최초로 스톡홀름대학교 스벤드 페데르센 교육상을 수상했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소장, 한국과학창의재단 비상임이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여성과학기술총연합회의 제12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양현아(엮은이)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젠더법학과 법사회학을 담당해 왔다. 2005년에는 한국젠더법학연구회를 창립하였고, 2011년부터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일본군 ‘위안부’ 연구회의 회장으로 있다. 편집한 책으로는 『성적 소수자의 인권』(2001), 『법여성학, 가지 않은 길을 향하여』(2004), 『낙태죄에서 재생산권으로』(2005), 『군대와 성평등』(2009), Law and Society in Korea (2011) 등이 있고, 저서로는 『한국가족법 읽기-전통, 식민지성, 젠더의 교차로에서』(2011)가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석사를 마친 후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박사학위(사회학)를 받았으며, 페미니즘 이론, 포스트식민주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피해자의 증언 연구방법, 재생산권, 법과 사회이론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홍찬숙(엮은이)

서울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대학원 여성학과를 거쳐 독일 뮌헨 대학 사회학과에서 울리히 벡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강사이며 서울대 여성연구소 객원연구원이다. 저서로 『울리히 벡』 『울리히 벡 읽기』 『개인화: 해방과 위험의 양면성』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공저서로 『문화사회학의 이해』 『정보혁명』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장거리 사랑』(공역) 『자기만의 신』 등이 있다.

고윤경(엮은이)

서울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 박사과정. 「탈주와 저항: 한강의 『채식주의자』에 나타난 여성의 ‘되기’」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기획)

여성 및 젠더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조사연구와 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서울대학교 여러 학과 교수들이 참여하여 2001년 설립되었다. 독자성과 학제성을 아울러 지니는 여성학의 특성에 맞게, 대학원 여성학협동과정을 비롯한 여러 분과학문의 인력과 자원을 필요에 따라 수시로 결합하고 협력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조건과 역사를 기반으로 한 젠더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특별히 연구의 중심을 두고 있다. 그동안 정책·운동·노동·가족·문화·일상 등 여러 분야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한국 여성의 다양한 역사적 경험에 관한 자료 수집에도 주력하고 있다.

정연순(강의)

변호사 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이며 2006년 국가인권위원회에 신설된 차별시정본부의 본부장을 역임했다.

이진순(강의)

재단법인 와글의 이사장으로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시민정치 방식을 실험하고 있다.

유여원(강의)

살림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상무이사 여성주의 단체 언니네트워크에서 전업활동가로 활동했으며 현재 여성주의 의료협동조합의 모델을 만들고 있다.

윤인숙(강의)

비폭력대화 강사 생태마을인 산청간디숲속마을 대표를 역임했으며 비폭력 대화 강사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허윤정(강의)

서울대 국악과 교수 세계적인 거문고 연주자이자 ‘블랙스트링’ 팀의 리더이다. 예술감독을 맡아 국악 연주회를 기획하기도 하며,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김진애(강의)

국회의원 도시계획학을 전공한 도시건축가이자 21대 국회에서 열린민주당 원내대표로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우리는 바다로 간다

1 여성 리더십을 찾아서|정연순

2 꽃이 아니어서 좋아라|이진순

3 여성주의자라 행복한 사회적 기업가|유여원

4 농촌에서 꾸는 새로운 꿈|윤인숙

5 국악으로 경계를 넘다|허윤정

6 디어 걸즈, 거인을 가슴에 품어라|김진애

에필로그: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이야기한다

관련분야 신착자료

권승태 (2023)
연세대학교. 디지털사회과학센터 (2023)
이성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