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2159 | |
005 | 20201016135001 | |
007 | ta | |
008 | 201016s2020 ulkd 000c kor | |
020 | ▼a 9791165362188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5560879 | |
040 | ▼d 221016 ▼a 221016 ▼c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330.9519 ▼2 23 |
085 | ▼a 330.953 ▼2 DDCK | |
090 | ▼a 330.953 ▼b 2020z4 | |
100 | 1 | ▼a 김정성 |
245 | 1 0 | ▼a 부동산 인플레이션, 일자리 디플레이션 = ▼x Real estate inflation, job deflation / ▼d 김정성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땅, ▼c 2020 | |
300 | ▼a 201 p. : ▼b 도표 ; ▼c 23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953 2020z4 | Accession No. 1118346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거대한 이슈인 ‘수출’, ‘성장’이 아니라 ‘오르는 집값’과 ‘침체된 일자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집값과 일자리는 개개인이 접하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금융인이기 이전에 평범한 가장인 저자는 자신 또한 가장 크게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라고 한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그의 시선을 빌려 부동산과 일자리를 살펴볼 수 있다.
한국 경제는 ‘부의 과잉’과 ‘노동의 빈곤’에 처해 있다
지금 한국 경제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부동산 인플레이션, 일자리 디플레이션의 다른 말인 ‘부의 과잉’과 ‘노동의 빈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부동산 인플레이션, 일자리 디플레이션』의 저자 김정성은 ‘부’라는 경제적 현상과 ‘노동’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연결시켜 우리나라의 현실을 살펴보았다.
한국은행에 입행한 이후부터 15년간 경제 데이터, 경제 현안 검토 등의 일을 해 온 김정성은 최근 2년간은 국회 업무를 담당했다. 그 덕분에 집값과 일자리에 대해 더욱 폭넓은 이슈를 다룰 수 있었는데 이러한 그의 경험들은 『부동산 인플레이션, 일자리 디플레이션』을 쓰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경제학의 검증된 도구들을 사용하였기에 독자들은 우리 시대의 집값과 일자리에 대한 추상적 내용이 아닌 구체적이고 다양한 현상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며 대중적인 서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경제적 인사이트 또한 확인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정성(지은이)
2003년 한국은행에 입행한 이후 조사국, 금융시장국, 국제국, 기획국 등에서 경제 전망, 채권, 주식, 외환시장 분석, 국회 업무 등을 담당하였으며, 美 Duke University 경제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문은 「한국 노동시장 경제활동상태 변화의 결정요인 분석 및 시사점」(입법과 정책/국회입법조사처, 2018년),「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무위험 이자율 평행조건의 동태성 변화 분석」(한국개발연구/한국개발연구원, 2014년) 등이 있다. 지금은 아내의 경력을 지원하고 아이를 돌보기 위해 육아휴직 중에 있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Ⅰ. 부동산 인플레이션 1. 들어가며 2. 주택은 고평가되었는가, 이론영역에서의 주택가치 평가 3. 주택은 고평가되었는가, 경험의 영역 4. 사라지는 사람들, 주택시장의 위기? 5. 우리나라 주택시장 구조, 매매 - 전세 - 월세 6. 주택시장 사이클 7. 주택 공급을 보는 한 시선 8. 주택시장의 미래 9. 맺으며, 부의 과잉 Ⅱ. 일자리 디플레이션 1. 들어가며 2. 청년고용의 빈곤 3. 분열된 노동시장 - 현황 4. 분열된 노동시장 - 원인 5. 노동경맥, 경제활력 저하의 원인 6. 3포의 굴레 7. 어쩔 수 없는 선택… 자영업자 공화국 8. 맺으며, 노동의 빈곤… 그럼에도 희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