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1622 | |
005 | 20201012111854 | |
007 | ta | |
008 | 201007s2019 ulka 000c kor | |
020 | ▼a 9788963363868 | |
035 | ▼a (KERIS)BIB000015106002 | |
040 | ▼a 245011 ▼c 245011 ▼d 211009 | |
082 | 0 4 | ▼a 351.076 ▼2 23 |
085 | ▼a 351.076 ▼2 DDCK | |
090 | ▼a 351.076 ▼b 2019z3 | |
100 | 1 | ▼a 이해황 |
245 | 1 0 | ▼a 강화약화 매뉴얼 2.0 : ▼b 평범한 두뇌를 위한 PSAT 언어논리 기본서 / ▼d 이해황 지음 |
260 | ▼a 서울 : ▼b 법률저널, ▼c 2019 | |
300 | ▼a 301 p. : ▼b 삽화 ; ▼c 26 cm + ▼e 해설편 1책(148 p.:삽화;26 cm) | |
500 | ▼a 이 책은 "독해개념 매뉴얼 1.0"의 개정판임 | |
500 | ▼a PSAT는 "Public Service Aptitude Test"의 약어임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51.076 2019z3 | Accession No. 15135149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가 이 책을 쓰며 얻은 성과 중 하나는 PSAT 출제오류 문항을 발굴한 것이다. 로렌츠가설(각인 이론)을 다룬 2009년 언어논리 19번 문항은 복수정답으로 인정되었어야 한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교재/기본서에서 이 문제를 모범문항으로 다룬다. 하지만 이 문제를 오류문항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이후 출제된 고난도 PSAT/LEET 문제를 일관되게 풀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문138로 다뤘다.)
머리말
가설의 강화약화는 PSAT/LEET에 고난도 문항으로 많이 출제됩니다. 그런데 수험생 대부분 이에 대한 이론적 기초가 없습니다. 강화약화를 전문적으로 다룬 수험서/강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개별 기출문항에 대한 해설마저도 해설서와 강사마다 조금씩 달라 혼란을 겪는 수험생이 많습니다. 특히 가설의 강화약화를 단순히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 전제에 부합하는지 여부, 전제와 결론의 연관성 여부로 접근하는 잘못된 방식이 횡행하여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집필 시작할 때는 이 책을 완성하기까지 이렇게 오래 걸릴지 몰랐습니다. 그런데 시작해보니 목차를 짜는 것부터가 난관이었습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최선의 방식이 무엇일지 고민하며 몇 번씩 목차를 뒤집었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문항에 대해서는 명망 높은 교수님께 검토를 의뢰하여 내용을 보충하기도 했습니다. 최종단계에서는 수험과 무관한 제 아내에게 원고를 읽게 하여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다 보니 계획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이 책을 쓰며 얻은 성과 중 하나는 PSAT 출제오류 문항을 발굴한 것입니다. 로렌츠가설(각인 이론)을 다룬 2009년 언어논리 19번 문항은 복수정답으로 인정되었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과학철학 전공 교수님께서도 같은 의견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교재/기본서에서 이 문제를 모범문항으로 다룹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오류문항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이후 출제된 고난도 PSAT/LEET 문제를 일관되게 풀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문138로 다뤘습니다.)
제가 감히 이 책을 통해 일관된 강화약화 판단기준을 제시하겠습니다. 그간 명쾌한 판단기준이 없어 답답했거나, 그때그때 임기응변식으로 풀어왔다면 이 책이 훌륭한 지침이 되어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지침을 충분히 적용해볼 수 있도록 충분히 많은 기출문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주저리주저리 말을 길게 하기보다는, 판단기준에 근거하여 간결하게 푸는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이 책만으로 강화약화 문제를 정복할 수 있도록 해드리겠습니다.
부디 이 책이 독학하는 분들의 좋은 벗이 되어, 강화약화 판단기준 정립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바랍니다.
저자 이해황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해황(지은이)
대학교 3학년 때, 수능 기출문제를 분석한 책 『국어의 기술 1, 2』(舊 『언어의 기술』 1, 2)을 출간했다. 저자가 과외나 학원 강의를 하지 않음에도, 입소문을 타고 『국어의 기술』 시리즈는 10년간 15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이후 예비 고1 학생을 위한 기초 개념서 『국어의 기술 0』, 국어능력인증시험 기출문제 분석서 『이것이 토클이다』, 글 읽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훈련한 『독해력 강화 도구 3가지』, 시험에 필수적인 어휘를 깊게 설명한 『결국은 어휘력』, 5급 공무원 1차시험 PSAT 언어논리 기본서 『논리퀴즈 매뉴얼1.0』, 『독해개념 매뉴얼1.0』 등을 출간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국어시험 기본서를 내며, 또 많은 수험생을 접하며 저자는 깨닫는다. 결국 어휘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문제풀이 기술, 독해방법을 학원이나 과외로 아무리 배운다고 해도, 어휘력이 부족하다면 사상누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문이나 선지의 ‘반대급부’, ‘기꺼워하다’ 같은 단어를 모른다면 어떻게 글을 이해하고 문제를 풀 것인가. 그런데 어휘력은 단기간에 습득이 어려운 영역이다. 그래서 고민 끝에 초등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어휘력이 자녀의 이해력』을 내놓는다. 어휘력이 왜 중요하고, 어떻게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한 강연을 지면에 그대로 옮겼다. (국어의 기술.kr)

Table of Contents
머리말 2
감사의 글 3
여행을 위한 지도 4
목차 6
책의 특징 및 학습 방법 7
일러두기 8
I. 생각의 도구 9
A. 2X2 매트릭스
B. 확률과 조건부확률
C. 콜라보레이션
II. 가설추론 기초 50
A. 가설추론이란
B. 가설추론의 구조
C. 가설의 종류
D. 가설 간 관계
E. 예측 훈련
III. 가설의 형성 115
A. 귀납적 일반화
B. 유비추론
IV. 인과가설 150
A. 밀의 원인발견법
B. 원인의 종류
C. 반사실적 조건문
D. 인과가설 강화약화 판단기준
E. 경쟁하는 가설에 대하여
V. 부록 265
A. 생각의 도구 연습
B. 출제예상 테마
C. 성취도 평가
꼬리말 301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