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51453 | |
005 | 20201005160926 | |
007 | ta | |
008 | 201005s2019 ggka 001c kor | |
020 | ▼a 9791187139218 ▼g 9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6.31 ▼2 23 |
085 | ▼a 006.31 ▼2 DDCK | |
090 | ▼a 006.31 ▼b 2019z44 | |
100 | 1 | ▼a Osinga, Douwe |
245 | 1 0 | ▼a Deep learning cookbook : ▼b 딥러닝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실무 예제 / ▼d Douwe Osinga 지음 ; ▼e 김백기 외 5인 번역 |
246 | 1 9 | ▼a Deep learning cookbook : ▼b practical recipes to get started quickly |
250 | ▼a 초판 2쇄 | |
260 | ▼a 남양주 : ▼b 느린생각, ▼c 2019 | |
300 | ▼a 355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공역자: 김종민(가), 이정우, 김종민(나), 최동호, 나익희 | |
650 | 0 | ▼a Machine learning |
700 | 1 | ▼a 김백기, ▼e 역 |
700 | 1 | ▼a 김종민, ▼e 역 |
700 | 1 | ▼a 이정우, ▼e 역 |
700 | 1 | ▼a 최동호, ▼e 역 |
700 | 1 | ▼a 나익희,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6.31 2019z44 | Accession No. 12125447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체가 예제로 구성되어 있는 Deep Learning책이다. 그것도 기초적인 예제가 아닌 Deep Learning을 공부하면서 꼭 알고 싶었던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Cookbook형식으로 되어 있어 바로 찾아서 원하는 주제를 공부할 수 있다.
저자는 친절하게 모든 예제를 Jupyter Notebook으로 제공한다. 이 파일에는 모든 코드와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들어 있어 간편하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어떤 예제는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구하는데만 몇 일이 걸릴 수 있지만 이 파일을 이용하면 쉽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분명, Deep Learning은 어려운 분야이다. 많은 수학 수식과 통계 지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Google사가 tensorflow를 내놓은지 몇 년이 지난 지금, Keras가 등장하고 수 많은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많은 연구자들이 이 분야를 연구하면서 Deep Learning은 조금씩 쉬워지고 있다.
모든 분야가 그렇듯 Deep Learning분야도 실전에 바로 쓰일 수 있는 예제를 통해 공부할 때 확실하게 배울 수 있다.
수 많은 Deep Learning책이 있지만 대부분 신경망의 기초 원리에 대해서만 다루고 심도 있는 실전 예제를 다루지 않는다.
이 책은 전체가 예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도 기초적인 예제가 아닌 Deep Learning을 공부하면서 꼭 알고 싶었던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Cookbook형식으로 되어 있어 바로 찾아서 원하는 주제를 공부할 수 있다.
저자는 친절하게 모든 예제를 Jupyter Notebook으로 제공한다. 이 파일에는 모든 코드와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들어 있어 간편하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어떤 예제는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구하는데만 몇 일이 걸릴 수 있지만 이 파일을 이용하면 쉽게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IT분야에는 수 많은 주제가 탄생하고 사라진다. 인공지능, Deep Learning는 어떻게 될까? 앞 날을 알 수는 없지만 이 주제는 분명 꽤 오랜 시간 남아 발전할 것이다. Google사가 DeepMind사를 인수하고 알파고가 등장했을 때만 해도 이 분야를 공부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세계 곳곳에서 수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쏟아내고 있다.
모든 분야가 그렇게 예제를 통해 공부할 때 가장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기존 신경망 관련된 책은 아주 기초적인 예제만 다루고 지나치게 이론적인 부분을 많이 다룬다.
때로는 예제를 통해 그 뒤에 숨어 있는 이론적인 부분을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이 책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예제는 신경망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분명히 도울 것이다.
신경망을 다루는 것은 예전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쉬워졌다. 그리고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구하는 것도 아주 많이 쉬워졌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훌륭한 연구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
여기 그런 고수들의 노하우가 담긴 책을 발간한다. 저자의 어깨 위에서 위를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책은 놀라운 책이다. 저자가 겪은 실패와 성공을 단번에 정리하여 이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꽃 길만 걷게 한다. 책 내용을 보면 이 어려운 주제를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 해도 되나 싶을 정도로 깔끔하게 정리해 설명한다. 독자는 그 위에 자신만의 새로운 연구를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서문 Chapter_01 도구와 기술 ____1.1 신경망의 종류 ____1.2 데이터 구하기 ____1.3 데이터 전처리하기 Chapter_02 문제 해결하기 ____2.1 문제에 빠졌는지 판단하기 ____2.2 런타임 오류 해결하기 ____2.3 중간 결괏값을 확인하기 ____2.4 옳은 (마지막 레이어) 활성화 함수 고르기 ____2.5 정규화와 드롭아웃 ____2.6 네트워크 구조, 배치 크기, 학습 속도 Chapter_03 단어 임베딩을 사용하여 텍스트 유사성 계산하기 ____3.1. 미리 학습된 단어 임베딩을 이용하여 단어 유사성 찾기 ____3.2. Word2vec 수학 ____3.3. 단어 임베딩 시각화 ____3.4. 임베딩에서 개체의 클래스 찾기 ____3.5. 항목 내에서 시멘틱 거리 계산 ____3.6. 국가 데이터를 지도로 시각화하기 Chapter_04 위키피디아 외부 링크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구축 ____4.1. 데이터 수집 ____4.2. 영화 임베딩 학습하기 ____4.3. 영화 추천 시스템 만들기 ____4.4 단순 영화 평점 예측 Chapter_05 특정 문체를 흉내 내는 문장 생성하기 ____5.1 공개 도서에서 문장 추출하기 ____5.2 셰익스피어가 쓴 것 같은 문장 생성하기 ____5.3 RNN을 사용하여 자등으로 파이썬 코드 생성하기 ____5.4 결과물의 변동성 제어하기 ____5.5 RNN 동작 시각화하기 Chapter_06 질문, 답변 매칭 ____6.1 StackExchange에서 데이터 획득하기 ____6.2 Pandas를 사용하여 데이터 탐색하기 ____6.3 Keras를 사용하여 특징화된 텍스트 사용하기 ____6.4 질문, 답변 모델 만들기 ____6.5 Pandas로 모델 훈련하기 ____6.6 유사도 검증 Chapter_07 이모티콘 추천하기 ____7.1 간단한 감정 분류기 만들기 ____7.2 단순 분류기 분석 ____7.3 CNN을 이용한 감정 분석 ____7.4 트위터 데이터 수집 ____7.5 단순 이모티콘 예측기 ____7.6 드롭아웃과 다중 윈도우 ____7.7 단어 레벨 모델 구축하기 ____7.8 자신만의 임베딩 만들기 ____7.9 RNN을 이용하여 분류하기 ____7.10 결과를 시각화하여 평가하기 ____7.11 모델 조합하기 Chapter_08 sequence-to-sequence 맵핑 ____8.1 간단한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훈련하기 ____8.2. 텍스트로부터 대화 내용을 추출하기 ____8.3. 공개 어휘집 처리 ____8.4. seq2seq 챗봇 훈련하기 Chapter_09 이미 훈련된 이미지 인식 신경망 재사용하기 ____9.1 사전 훈련된 신경망 로드하기 ____9.2 이미지 사전 처리하기 ____9.3 이미지 추론 ____9.4 Flickr API를 사용하여 레이블 된 이미지를 수집하기 ____9.5 개와 고양이를 구별할 수 있는 분류기 구축하기 ____9.6 검색 품질 개선하기 ____9.7 이미지 인식 신경망 유지 보수하기 Chapter_10 입력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 찾는 서비스 구축하기 ____10.1. 위키피디아에서 이미지 얻기. ____10.2. N 차원 공간으로 이미지 투영하기 ____10.3. 고차원 공간에서 최근접 이웃 찾기 ____10.4. 임베딩 공간에서 로컬 클러스터 시각화 Chapter_11 한 이미지에서 여러 객체 검출하기 ____11.1 사전 학습된 이미지 분류 신경망을 사용하여 다중 객체 검출하기 ____11.2 Faster RCNN을 이용해 다중 객체 검출하기 ____11.3 자체 이미지로 Faster RCNN 실행하기. Chapter_12 이미지 스타일 ____12.1. CNN 활성화 시각화하기 ____12.2. 옥타브와 스케일링 ____12.3. 신경망이 감지한 것을 시각화하기 ____12.4. 이미지의 스타일 포착하기 ____12.5. 이미지 일관성 증가를 위한 손실 기능 개선 ____12.6. 스타일을 다른 이미지에 적용하기 ____12.7. 스타일 보간(Interpolation) Chapter_13 Autoencoder를 사용하여 이미지 생성하기 ____13.1 Google Quick Draw에서 낙서 가져오기 ____13.2 이미지용 Autoencoder만들기 ____13.3 Autoencoder 결과 시각화 ____13.4 정확한 분포로부터 이미지 표본 추출하기 ____13.5 VAE 공간 시각화 ____13.6 Conditional Variational Autoencoders Chapter_14 DeepNets을 사용하여 아이콘 생성하기 ____14.1 학습에 필요한 아이콘 세트 얻기 ____14.2 아이콘을 벡터로 변환하기 ____14.3 VAE를 사용하여 아이콘 생성하기 ____14.4 데이터 증강을 이용해 Autoencoder의 성능 향상 시키기 ____14.5 GAN(생산적 적대 신경망) 만들기 ____14.6 GAN 학습하기 ____14.7 GAN이 생성한 아이콘 표시 ____14.8 그리기 명령어로 아이콘 인코딩하기 ____14.9 RNN에 그리기 명령어 학습시키기 ____14.10 RNN을 사용하여 아이콘 생성하기 Chapter_15 음악과 딥러닝 ____15.1 음악 분류기를 위한 훈련 세트 만들기 ____15.2 음악 장르 감지기 훈련 ____15.3 혼동(Confusion) 시각화 ____15.4 기존 음악 인덱싱 ____15.5 Spotify API 사용하기 ____15.6 Spotify에서 재생 목록 및 노래 수집하기 ____15.7 음악 추천시스템 훈련 ____15.8 word2vec 모델을 사용한 노래 추천 Chapter_16 머신 러닝 시스템 제품화하기 ____16.1. 임베딩을 위해 Scikit-Learn의 최근접 이웃 탐색 기능 사용하기 ____16.2. 임베딩 저장을 위해 PostgreSQL 사용하기 ____16.3. 임베딩을 PostgreSQL에 저장하고 쿼리하기 ____16.4 PostgreSQL에 고차원 모델 저장하기 ____16.5 Python으로 마이크로 서비스 만들기 ____16.6 Keras 모델을 마이크로 서비스로 배포하기 ____16.7 웹 프레임워크에서 마이크로 서비스 호출하기 ____16.8 TensorFlow의 seq2seq 모델 제품화하기 ____16.9 브라우저에서 딥러닝 모델 실행하기 ____16.10 TensorFlow Serving을 사용하여 Keras 모델 ____16.11 iOS에서 Keras 모델 사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