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권에서 바라본)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재한, 저 이미나, 저 김동일, 저 나옥희, 저 이영미, 저
서명 / 저자사항
(인권에서 바라본)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 Human rights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student understanding / 신재한 [외]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20  
형태사항
351 p. : 삽화, 서식 ; 25 cm
ISBN
9791165190729
일반주기
공저자: 이미나, 김동일, 나옥희, 이영미  
부록: 1. 피해학생 보호·지원 전담지원기관, 2. (사)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우리아이행복프로젝트' 소개, 3. 푸른나무재단(구, 푸른나무청예단) 학교폭력 통합지원 서비스 소개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7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9337
005 20200929112715
007 ta
008 200928s2020 ulkak b 000c kor
020 ▼a 9791165190729 ▼g 93370
035 ▼a (KERIS)BIB000015618016
040 ▼a 247023 ▼c 247023 ▼d 211009
082 0 4 ▼a 371.782 ▼2 23
085 ▼a 371.782 ▼2 DDCK
090 ▼a 371.782 ▼b 2020z2
245 2 0 ▼a (인권에서 바라본)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 ▼x Human rights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student understanding / ▼d 신재한 [외]
260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0
300 ▼a 351 p. : ▼b 삽화, 서식 ; ▼c 25 cm
500 ▼a 공저자: 이미나, 김동일, 나옥희, 이영미
500 ▼a 부록: 1. 피해학생 보호·지원 전담지원기관, 2. (사)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우리아이행복프로젝트' 소개, 3. 푸른나무재단(구, 푸른나무청예단) 학교폭력 통합지원 서비스 소개 외
504 ▼a 참고문헌: p. 277
700 1 ▼a 신재한, ▼e
700 1 ▼a 이미나, ▼e
700 1 ▼a 김동일, ▼e
700 1 ▼a 나옥희, ▼e
700 1 ▼a 이영미,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782 2020z2 등록번호 1118339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근 학교폭력의 유형을 보면,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스토킹, 사이버 괴롭힘, 신체폭력, 금품갈취, 성추행·성폭력, 강제심부름 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은 지능화, 사이버화, 저연령화 경향을 보이고 더욱 심각한 사회의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살과 등교 거부 등 각종 사회적 문제는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예방과 교육이 주기적으로 선행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학교폭력에 관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학교폭력을 재조명하고 개정사항을 반영한 교재다.

머리말

인권은 인간이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하고 누려야 할 권리이다. 인권은 인간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가지는 권리, 처분이나 양도하지 못하는 자연권이라는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이 타고난 자연성, 모든 이에게 동일한 평등성, 모든 곳에 적용 가능한 보편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인권은 자신과 타인이 모두 지켜야 한다. 인권의 미션은 존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인간이기에 존엄한 것이다. 이러한 인권은 철학이자, 가치이자, 목표이다.
인권침해는 존엄권, 평등권, 자유권 등 한 개인의 기본 권리를 침해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본 권리 중의 하나가 참여 및 표현의 자유이다. 마음껏 드러내는 인생, 다양한 표현, 이것이 민주주의라고 볼 수 있다. 우리 사회는 ‘나서지 마라’,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와 같이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억압하고 있다. 표현하지 않는 것은 죽은 삶이나 다름없다. 사람이면 누구나 갖는 보편적인 권리이기에 아동이나 청소년일지라도 인권은 누구에게나 예외일 수 없는 당연한 권리이다. 따라서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를 인권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학교폭력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권침해 현상 중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 폭력의 유형을 보면,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스토킹, 사이버 괴롭힘, 신체폭력, 금품갈취, 성추행·성폭력, 강제심부름 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은 지능화, 사이버화, 저연령화 경향을 보이고 더욱 심각한 사회의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살과 등교 거부 등 각종 사회적 문제는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예방과 교육이 주기적으로 선행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학교폭력에 관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2004년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개선하고 있다. 또한, 2012년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20년 3월에 시행한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학교폭력 대응절차 개선방안 추진을 위한 입법에 따라, 이와 관련하여 학교폭력을 재조명하고 개정에 따른 교재를 기획하게 되었다.

본 교재는 ‘학교폭력의 이해’, ‘학교폭력의 예방’, ‘학교폭력의 대처 방안’ ‘학교폭력상담 등 큰 맥락에서 제1장 인권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폭력의 이해, 제2장 학교폭력의 발달적 이해, 제3장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제4장 학교폭력에 대한 사안처리, 제5장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제6장 학교폭력 대처 모형, 제7장 유형별 학교폭력 개입 전략, 제8장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의 이해, 제9장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의 이해, 제10장 학교폭력과 다문화교육의 이해, 제11장 학교폭력에 대한 법적 조치, 제12장 학교폭력 화해·분쟁조정의 이해, 제13장 학교폭력과 집단상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록으로는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 등 각종 양식과 학교폭력 지원 서비스를 소개하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을 수록하여 학교폭력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데 길라잡이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발달은 건강한 성격과 사회성 형성을 위해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한 인간을 파괴하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아동·청소년들이 학교폭력에서 벗어나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더불어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는 학교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끝으로 본 교재가 나오기까지 도와주시고 격려하여 주신 모든 분에게 감사를 드리고자 한다. 그리고 출판을 흔쾌히 허락하고 모든 지원을 해주신 박영스토리 노 현 대표와 편집부에게 정중하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2020년 6월
집필자 일동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재한(지은이)

-대구교대 국어교육학 학사 -경북대 석,박사(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논문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뇌교육 기반 인성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집중력 스톤을 활용한 자석놀이가 초등학생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테니스 운동 경력자와 비경력자의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두뇌활용능력의 이론 및 원리 탐색 학술연구 ·인성교육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 ·2015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연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장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진로캠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저서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뇌기반 자기주도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자유학기제의 이론과 실제 ·구조중심 협동학습 전략 ·수업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이미나(지은이)

아동가족학박사 상담심리학박사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광신대학교 대학원 휴먼서비스교육학과 주임교수 <주요 저서> 영유아발달, 부모교육, 모래상자치료 입문 임상미술치료이론과 실제, 다문화가족복지와 상담 청소년교육론,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중독상담과 재활, 노인돌봄과 노인상담

김동일(지은이)

평생교육학박사 광신대학교 대학원 휴먼서비스교육학과 외래교수 사회복지대학원 평생교육학과 외래교수 초당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외래교수 광주인재개발원 전임교수 (주)톡톡교육연구소 교육이사

나옥희(지은이)

교육학박사 광주전남심리상담센터장 국립목포대학교 객원교수 호신대학교 겸임교수

이영미(지은이)

광주광역시 남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폭력 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PART 01 인권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폭력의 이해
1. 인권(人權)의 이해 7
2. 아동·청소년을 위한 인권교육 목적 14
3. 학교폭력과 인권 21
4. 학교폭력의 유형 26
5. 학교폭력의 원인 34
6. 학교폭력으로 인한 인권침해 37

PART 02 학교폭력의 발달적 이해
1. 청소년기 신체적 발달의 이해 42
2. 청소년기 인지적 발달의 이해 43
3. 청소년기 정서적 발달의 이해 44
4. 청소년기 사회적 발달의 이해 45
5. 청소년기 성의 발달적 이해 46

PART 0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1. 학교폭력 예방과 인성교육 49
2. 사회적 기술 55
3. 대인관계 능력 65
4. 회복탄력성 증진 69

PART 04 학교폭력에 대한 사안처리
1. 학교의 학교폭력 대응 75
2. 사안조사 88
3. 학교장 자체해결 및 관계회복 92
4. 조치결정 및 이행 98

PART 05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1.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109
2.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실제 121

PART 06 학교폭력 대처 모형
1. 학교폭력 대처 모형 141
2. 학교폭력 대처 방안 151

PART 07 유형별 학교폭력 개입 전략
1. 집단 따돌림과 괴롭힘 163
2. 집단폭력 166
3. 폭력에 대한 학습 효과 168
4. 언어적 폭력 169
5. 미디어 폭력 171
6. 성폭력 172

PART 08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의 이해
1.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179
2.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180
3. 한국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 181
4.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182
5. 우울평가척도 184
6. MBTI 검사 184
7. MMPI 검사 186
8. HTP(House-Tree-Person Test) 188
9. SCT(Sentence Completion Test) 189

PART 09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의 이해
1. 비행과 비행청소년의 이해 191
2. 아동·청소년의 우울증 193
3. 자해와 자해행동 196
4. 청소년의 자살과 자살이론 200
5. 은둔형 외톨이 203
6.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205

PART 10 학교폭력과 다문화교육의 이해
1. 다문화사회의 이해 209
2. 다문화교육의 이해 209
3. 다문화학생의 현황 및 문제점 210
4. 다문화교육과 전문역량 강화 211
5. 다문화 이민 정책 214

PART 11 학교폭력에 대한 법적조치
1. 학교폭력 관계 법령의 이해 219
2.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 절차와 기관의 책무 221
3. 학교폭력 관련 위원회의 조직과 기능 230

PART 12 학교폭력 화해·분쟁조정의 이해
1. 학교폭력 화해·분쟁조정 243
2. 학교폭력 화해·분쟁조정의 실제 246

PART 13 학교폭력과 집단상담
1. 학생상담의 이해 257
2. 상담전략 258
3. 집단상담 264
4. 상담진행과정 267
5. Wee 클래스와 전문상담교사 274

참고문헌 277

부 록 01 피해학생 보호·지원 전담지원기관 279
부 록 02 (사)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우리아이행복프로젝트’ 소개 283
부 록 03 푸른나무재단(구, 푸른나무 청예단) 학교폭력 통합지원 서비스 소개 285
부 록 04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 등 각종 양식 287
부 록 05 성폭력 사안처리 가이드 305
부 록 06 학교폭력예방법 및 시행령 317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