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9080 | |
005 | 20210325130430 | |
007 | ta | |
008 | 200925m20202021ulk b 001c kor | |
020 | ▼a 9791130335605 (상) ▼g 94360 | |
020 | ▼a 9791130338088 (하) ▼g 94360 | |
020 | 1 | ▼a 9791130335599 (세트) |
020 | 1 | ▼a 9791130338064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557003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342.51906 ▼2 23 |
085 | ▼a 342.5306 ▼2 DDCK | |
090 | ▼a 342.5306 ▼b 2020z17 | |
100 | 1 | ▼a 박균성, ▼g 朴均省, ▼d 1957- |
245 | 1 0 | ▼a 행정법론 / ▼d 박균성 |
246 | 0 | ▼i 한자표제: ▼a 行政法論 |
250 | ▼a 제19판(2020-2021년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20-2021 | |
300 | ▼a 2책(xxxi, 1561 ; xxv, 933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2.5306 2020z17 1 | Accession No. 11183384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7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2.5306 2020z17 2 | Accession No. 1118461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9년 2월 25일 간행된 제18판 이후의 이론 및 판례의 발전과 법령의 개정을 모두 반영하였다. 특히 신의성실의 원칙,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신고, 행정입법, 재량행위, 허가와 특허의 구별, 개정 법령의 적용, 처분변경의 근거, 규제샌드박스에서의 임시허가, 공법상 계약, 가산세, 가산금, 명단의 공표, 관허사업의 제한 등 판결의 효력 등에 관하여 의미있는 추가·보완이 있었다. 행정절차법의 개정,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약칭 ‘공공재정환수법’)의 제정, 국세기본법과 국세징수법의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등 법령 개정사항도 반영하였다.
제19판 머리말
이번 개정에서는 2019년 2월 25일 간행된 제18판 이후의 이론 및 판례의 발전과 법령의 개정을 모두 반영하였다. 특히 신의성실의 원칙,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신고, 행정입법, 재량행위, 허가와 특허의 구별, 개정 법령의 적용, 처분변경의 근거, 규제샌드박스에서의 임시허가, 공법상 계약, 가산세, 가산금, 명단의 공표, 관허사업의 제한, 행정영장, 행정절차, 국가배상, 손실보상, 행정소송법상 처분, 원고적격, 협의의 소의 이익, 당사자소송의 피고, 원상회복의무(위법상태제거의무) 등 판결의 효력 등에 관하여 의미있는 추가·보완이 있었다. 행정절차법의 개정,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약칭 ‘공공재정환수법’)의 제정, 국세기본법과 국세징수법의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등 법령 개정사항도 반영하였다.
정부는 가칭 ‘행정기본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기본법은 행정에 관한 기본원칙과 인·허가의제 등 개별행정작용에 공통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2020년 2월말경 초안이 마련될 예정이고, 부처간 협의와 국민의 의견수렴을 거쳐 새로 구성될 제21대 국회에 정부의 1호 법률로 제출될 예정이다. 학계, 실무계 및 국민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행정기본법이 제정될 것을 기대하고, 학계가 일치하여 요구하는 의무이행소송과 행정가처분을 도입하는 행정소송법 개정안이 올 해에는 반드시 통과되어 공백없는 권리구제가 실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편집을 담당해 준 한두희 대리님, 개정작업을 지원해 준 안상준 대표님, 손준호 대리님 등 박영사 관계자 여러분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2020년 1월 30일
저자 씀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균성(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석사 프랑스 액스-마르세이유대학 법학박사 프랑스 액스-마르세이유대학 초청교수(Professeur invite) 단국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서울대학교·사법연수원 강사 한국공법학회 학술장려상 수상(1996. 6), 2018년 법의 날 황조근정훈장 수훈 세계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후 등재(2007. 11), 법제처 자체평가위원장 한국법학교수회 회장, 사법행정자문회의 위원 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 법원행정처 행정소송법개정위원회 위원, 헌법재판소법 개정위원회 자문위원 한국법제연구원 자문위원, 법제처 행정심판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 법제처 법령해석심의위원회 위원, 감사원 정책자문위원,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위원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대법원장 추천)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대법원장 추천), 법무부 정책위원회 위원 한국공법학회 회장, 한국인터넷법학회 회장, 한국행정판례연구회 연구이사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회장, 한국토지공법학회 부회장, 입법이론실무학회 회장 사법시험, 행정고시, 입법고시, 변호사시험, 승진시험, 외무고시, 변리사, 기술고시, 감정평가사, 관세사, 세무사, 서울시·경기도 등 공무원시험 등 시험위원 현재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고황명예교수 한국공법학회 고문, 한국행정법학회 법정이사 [주요저서] 행정법강의(제20판), 박영사, 2023 행정법 기본강의(제15판), 박영사, 2023 행정법론(상)(제22판), 박영사, 2023 행정법론(하)(제21판), 박영사, 2023 박균성 교수의 경세치국론, 박영북스, 2012 정책, 규제와 입법, 박영사, 2022 행정법연습(제5판), 삼조사, 2015 행정법입문(제9판), 박영사, 2022 환경법(제10판, 공저), 박영사, 2021 경찰행정법(제6판, 공저), 박영사, 2023 경찰행정법입문(제7판, 공저), 박영사, 2023 종합행정법 기본서(공저), 박영사, 2021 2022 종합행정법 총론 객관식(9급)(개정판, 공저), 박영사, 2021 2022 종합행정법 총론 객관식(7급)(공저), 박영사, 2021 2022 종합행정법 각론 객관식(공저), 박영사, 2022

Table of Contents
제1편 행정법 서론 제1장 행정과 행정법 제2장 행정법의 법원 제3장 행정법관계(공법관계)와 사법관계 제2편 일반 행정작용법 제1장 행정입법 제2장 행정계획 제3장 행정행위 제4장 공법상 계약 제5장 행정상 사실행위 제6장 행정지도 제7장 행정조사 제8장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제9장 행정절차 제10장 정보공개와 개인정보의 보호 제3편 행정구제법 제1장 행정구제법 개설 제2장 행정상 손해전보 제3장 행정쟁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