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9041 | |
005 | 20200925095521 | |
007 | ta | |
008 | 200925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6519032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565757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20z5 | |
100 | 1 | ▼a 김성훈, ▼g 金成勳 |
245 | 1 0 | ▼a 교육과정 혹은 쿠레레 / ▼d 김성훈 |
246 | 1 1 | ▼a Curriculum or currere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0 | |
300 | ▼a xi, 242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교육과정 에세이(2009) | |
504 | ▼a 참고문헌: p. 177-183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20z5 | 등록번호 1118337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과정 입문서다. 교육과정 분야를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념, 이론, 역사, 유형, 모형 등을 개괄적으로 다루었다.
머리말
이 책은 교육과정 입문서다. 교육과정 분야를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념, 이론, 역사, 유형, 모형 등을 개괄적으로 다루었다. I부에서는 교육과정의 어원적 의미를 추적하고, 학문적 개념을 분석하였다. II부에서는 교육과정의 주요 이론들을 전통주의, 개념적-경험주의, 재개념주의라는 세 가지 패러다임 속에서 고찰하였다. III부에서는 교육과정학의 국내 도입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해방 후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일견하였다. IV부에서는 교육과정의 유형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V부에서는 하버마스의 인식론에 터해 교육과정의 개발-탐구-평가 모형을 살펴보았다. 권말에는 교육과정 이론가들에 대한 필자의 해묵은 essai, 즉 실험적 글쓰기를 실었다.
어느덧 대학에서 교육과정 과목을 강의한 지도 십수 년이 흘렀다. 이 자리를 빌려 그동안 필자의 서툰 강의를 열심히 들어주었던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또, 필자의 성긴 책을 때마다 세상에 내주는 출판사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이번에도 재차 학생들의 호의를 구하고, 출판사에 빚을 진다. 특히 기일에 쫓기며 본서의 출간을 위해 고군분투한 박영스토리 관계자들께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2020년 2월 20일
春川에서 김성훈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성훈(지은이)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다.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캐나다 앨버타 대학에서 교육학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2007년부터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교육에 관한 역사철학적 연구를 해왔고, 최근에는 서양 지성사 및 문화사 전반으로 지적 관심을 넓혀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영국의 교육사상가들』(2010)과 『교육사상 탐구』(2020)가 있고, 옮긴 책으로 『루소 교육 소저작』(2016), 『(에라스무스)아동교육론』(2017/2007), 『(에라스무스)교육방법론』(2019) 등이 있으며, 엮은 책으로 『교육학 명문 100선』(2016/2013)이 있다.

목차
Ⅰ. 교육과정의 개념 1 01 어원적 의미 3 02 교육과정의 개념 6 Ⅱ. 교육과정학의 역사 13 01 전통주의 15 1) 프랭클린 보비트 15 2) 랄프 타일러 30 02 개념적-경험주의 41 1) 제롬 브루너 41 2) 조지 뷰챔프ㆍ마우리츠 존슨 49 03 재개념주의 55 1) 윌리엄 파이너 55 2) 마이클 애플 68 Ⅲ.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83 01 교육과정학의 도입 85 1) 제1기 85 2) 제2기 86 3) 제3기 88 4) 제4기 90 02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 94 1) 과도기 94 2) 제1차 교육과정 95 3) 제2차 교육과정 98 4) 제3차 교육과정 99 5) 제4차 교육과정 100 6) 제5차 교육과정 101 7) 제6차 교육과정 102 8) 제7차 교육과정 103 9) 개정 교육과정 시대 104 Ⅳ. 교육과정의 유형 117 01 실천적 구분 119 1) 공식적 교육과정 119 2) 잠재적 교육과정: 기능론적 해석 122 3) 잠재적 교육과정: 갈등론적 해석 126 4) 영 교육과정 131 02 이론적 구분 136 1) 교육과정의 다섯 가지 유형 136 2) 교육과정 오리엔테이션 프로파일 139 Ⅴ. 교육과정의 모형 149 01 하버마스의 인식론 151 1) 경험-분석적 지식 152 2) 역사-해석적 지식 153 3) 비판 지향적 지식 154 02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7 1) 단선적-전문가 모형 158 2) 순환적 합의 모형 159 3) 대화적 모형 160 03 교육과정 탐구 모형 163 1) 경험 분석적 탐구 모형 164 2) 상황 해석적 탐구 모형 165 3) 비판 반성적 탐구 모형 166 04 교육과정 평가 모형 170 1) 목표-수단/공학적 평가 모형 171 2) 상황 해석적 평가 모형 172 3) 비판적 평가 모형 174 참고문헌 177 부록 교육과정 에세이(2009) 185 01 프롤로그 189 02 고전의 향기 193 03 선구자들 203 04 재개념화 219 05 Alberta의 추억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