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김담은 2017년부터 빠짐없이 통일 걷기 행사에 참여해 민통선에 얽힌 전쟁과 삶의 역사와 상처 그리고 생태계를 눈으로 확인하고 몸으로 겪은 기록을 책으로 묶어 냈다. 소설가로서도 꾸준히 작품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저자는 이 땅의 모든 생명들의 평화를 기원하며 한 문장 한 문장 간절한 발걸음으로 써내려갔다.
존재는 알고 있지만 다가설 수 없었던 민통선이 민간인 출입 통제선이 아닌 전쟁의 상처를 딛고 평화로 가는 길이어야 함을, 생태계의 보고로서 한반도를 숨 쉬게 할 허파로 남아있어야 함을 저자의 맑고 단단한 문장들이 호소한다. 이 책은 337km 민통선 오솔길에 새겨진 역사와 뿌리내린 생명의 이야기를 통해 평화의 여정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그리고 저자의 개성이 뚜렷한 문체는 책 읽기의 즐거움을 덤으로 선사한다.
“비무장 지대, 변화의 바람을 염원하는 한 걸음 내딛다.”
잔잔한 휘파람 소리와 함께 시작되는 스콜피언스의 는 냉전시대의 종언과 독일 통일을 상징하는 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19년 총 337km, 12박 13일의 민통선 도보 횡단의 기록과 사색이 이 책이 되었고 도보 아흐렛날, 지금은 통일부 장관 임명을 앞두고 있는 이인영 의원의 스마트폰에서 흘러나왔던 이 곡이 책의 제목이 되었다. 통일 걷기의 취지와 책의 저자 김담 작가의 지향이 오롯이 담긴 노래이기 때문이다.
2017년 시작된 통일 걷기는 “통일이 멀어지는 이 시간에 통일이 그저 다가오기를 넋 놓고 기다릴 수 없”었던 이인영 의원이 시작했다. 행사를 시작했던 당시 악화 일로였던 남북 관계는 물론 북미 관계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의 물꼬가 트이기 시작했다. 이후 역사적인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과 싱가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이 연이어 성사되면서 북핵 문제 해결과 남북 평화 체제가 성큼 다가서는 듯 했으나 국제질서라는 모호하지만 강고한 현실의 벽에 가로막혀 다시 침체기에 접어든 형국이다.
이러한 정치·외교적 현실과 관계없이 2020년 네 번째 통일 걷기 행사가 8월 1일 양양에서 시작될 예정이다. <윈드 오브 체인지>의 저자 김담은 2017년부터 빠짐없이 통일 걷기 행사에 참여해 민통선에 얽힌 전쟁과 삶의 역사와 상처 그리고 생태계를 눈으로 확인하고 몸으로 겪은 기록을 책으로 묶어 냈다. 소설가로서도 꾸준히 작품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저자는 이 땅의 모든 생명들의 평화를 기원하며 한 문장 한 문장 간절한 발걸음으로 써내려갔다.
존재는 알고 있지만 다가설 수 없었던 민통선이 민간인 출입 통제선이 아닌 전쟁의 상처를 딛고 평화로 가는 길이어야 함을, 생태계의 보고로서 한반도를 숨 쉬게 할 허파로 남아있어야 함을 저자의 맑고 단단한 문장들이 호소한다. 이 책은 337km 민통선 오솔길에 새겨진 역사와 뿌리내린 생명의 이야기를 통해 평화의 여정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그리고 저자의 개성이 뚜렷한 문체는 책 읽기의 즐거움을 덤으로 선사한다.
“어제의 당신들 핏물 위로 오늘의 내가 걸어가고 있었다.”
<윈드 오브 체인지>는 고향 강원도 고성의 숲을 산책하며 생명의 사계에 대한 사색을 담은 에세이 <숲의 인문학>으로 숲 인문 에세이의 새로운 지평을 선보인 김담 작가의 민통선 도보 횡단 기록을 담은 책이다. 민통선의 역사와 생태에 대한 탐사와 연구 결과를 책으로 엮은 사례는 더러 있지만 소설가의 벼린 문장의 묵직한 산문으로 나온 책은 처음이다.
70년 전 무명의 남북 젊은이들이 목숨을 바친 전쟁의 현재적 의미를 자문하며 “어제의 당신들 핏물 위로 오늘의 내가 걸어가고 있었다”는 작가의 독백 아닌 독백에 담긴 아물지 않은 상처를 만날 때 우리는 사뭇 숙연해지는 마음과 함께 분단의 현실을 되새기게 된다. 작가는 이념과 체제가 내세우는 뻔한 수사들과 거리를 두며 담담하게 지난 역사와 현재의 삶과 생명의 이야기를 풀어가지만 그 담담함이 오히려 읽는 이의 마음에 잔잔한 물결을 일으킨다. 실천적 당위가 아닌 철조망을 넘어 나아갈 내일의 꿈으로 이끄는 것이다. 지나는 장소와 그곳을 터전으로 삶을 이어가는 사람들에 대한 꼼꼼한 취재와 세심한 자료 조사는 독자들에게 생생한 현장감을 전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숲의 인문학>에 이어 곧 출간될 예정인 산문집에도 오롯이 담긴 생태와 생명에 대한 저자의 지극한 마음은 이 책에서도 곳곳에 숨 쉬고 있다. “맹금을 편애하는 나로서는 흰꼬리수리와 말똥가리 같은 날짐승들의 이름만 들어도 입이 벌어”진다는 저자는 민통선을 걷는 동안 만난 땅과 물에 깃든 생명들의 이름을 호명하는 것으로 가만가만 민통선의 생태적 가치를 역설한다. 이 역시 지켜야 한다는 당위를 역설하지 않고 이 땅에 뿌리내린 생명체인 풀과 꽃, 나무를 사진과 글에 담았다.
민통선을 평화구역으로 일구고 생태 환경을 보호하고자 시작된 통일 걷기의 취지를 작가는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이처럼 적절히 담아낸 건 우연은 아닌 듯하다. 이인영 통일부장관 후보자가 작가에게 직접 출간을 권유한 까닭이 있었으리라. 통일 걷기의 의의를 다시 돌아보면서 교착 상태에 놓인 남북 평화협정의 디딤돌이 되길, 변화의 바람을 불러올 나직한 속삭임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 담긴 이 한 권의 책의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
Information Provi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