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6160 | |
005 | 20220603154329 | |
007 | ta | |
008 | 200914s2020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30318549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5529086 | |
040 | ▼a 241027 ▼c 241027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02 ▼2 DDCK | |
090 | ▼a 497.702 ▼b 2020z1 | |
100 | 1 | ▼a 고영근, ▼g 高永根, ▼d 1936- ▼0 AUTH(211009)57949 |
245 | 1 0 | ▼a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 ▼d 고영근 |
246 | 0 | ▼i 한자표제: ▼a 標準中世國語文法論 |
250 | ▼a 제4판 | |
260 | ▼a 서울 : ▼b 집문당, ▼c 2020 ▼g (2021 3쇄) | |
300 | ▼a xix, 523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486-505)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20z1 | 등록번호 11183351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20z1 | 등록번호 11186497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3-30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4판에서는 지난 10년 동안에 나온 중세어 관련 문법 업적을 주로 각주와 심화 학습을 통해 보충하였다. 총 3편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은 총론으로서 문자와 표기법, 개별 글자들의 발음, 문법자료의 성격, 중세 국어의 특징 등 문법학습에 있어 알아 두어야 할 예비사항을 다루었다. 제2편은 품사론을 포함한 형태론을, 제3편은 문법요소의 기능과 의미를 포함한 통사론을 다루었다.
제4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에서는 지난 10년 동안에 나온 중세어 관련 문법 업적을 주로 각주와 심화 학습을 통해 보충하였다.
이 책은 3편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은 총론으로서 문자와 표기법, 개별 글자들의 발음, 문법자료의 성격, 중세 국어의 특징 등 문법학습에 있어 알아 두어야 할 예비사항을 다루었다. 제2편은 품사론을 포함한 형태론이고 제3편은 문법요소의 기능과 의미를 포함한 통사론으로, 두 부문 사이에 중복되는 기술도 없지 않음을 밝혀 둔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고영근(지은이)
1936년 경남 진양군 (현재 진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같은 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학박사). 훔볼트 초빙교수로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만하임 소재 독일어 연구원, 보훔, 콘스탄츠, 함부르크,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이 론문법과 텍스트과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어학전문 국제학술지 『형태론』의 편집고문과 <이극로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짖고 엮은 책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2018),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2018),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2004/2007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1981/1986 재판/1998 보정판/2011 제4판),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1993), 국어형태론연구(1989/1999 증보판), 텍스트이론(1999), 텍스트과학(2011), 단어·문장·텍스트(1995/2004 보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1997/2009 개정판/2010 제3판/2020 제4판),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2001), 한국의 언어연구(2001), 국어문법의 연구(1983),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2008),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2011), 한국어문 운동과 근대화(1998), 북한의 언어문화(1999),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의 응용화(2008),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1995), 통일시대의 語文問題(1994), 표준국어문법론(공저 1985/1993 개정판/2011 제3판/2014 제4판),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2019 전면개정판),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교육(공저 2004),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공저 2001), 문법과 텍스트(공저 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공저 2003), 우리말 문법론(공저 2008/2018 개정판), 중세어자료강해(공편 1997), 문법(국정단일통일 고등학교 1985, 1992), 주시경의 『국어문법』(공동교감 1986), 역대한국문법대계 153책(공편 1977~2015), 우리 언어 문화의 뿌리를 찾아(어문수상집 1996), 우리 언어 문화의 바른 길을 찾아서(어문수상집 2020) 등 50여 종 수상 세종문화상(1996), 일석국어학상(2004), 삼일문화상(2008), 외솔문화상(2020)

목차
제4판 머리말 지난 머리말 제1편 총 론 제 1 장 문자, 표기법, 발음 1.1. 문자 1.2. 표기법 1.3. 발음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2 장 문법 자료와 그 성격 2.1. 문법 자료 2.2. 문법 자료의 성격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3 장 중세 국어의 특징 3.1. 형태적 특징 3.2. 통사적 특징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4 장 중세 국어 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ㆍ 연습 문제 제2편 형태론 제 5 장 중세 국어의 단어의 특징과 품사 분류 5.1. 형태소와 단어 5.2. 중세 국어의 품사 분류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6 장 체언과 조사 6.1. 명사 6.2. 대명사와 수사 6.3. 복수 표시법 6.4. 조사 6.5. 체언의 형태 교체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7 장 활용론 7.1. 활용어 7.2.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7.3. 선어말 어미 7.4. 어말 어미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8 장 관형사, 부사, 감탄사 8.1. 관형사 8.2. 부사 8.3. 감탄사 ㆍ 연습 문제 제 9 장 품사의 통용 ㆍ 연습 문제 제 10 장 단어 형성의 원리 10.1. 단어의 짜임새 10.2. 파생법 10.3. 합성법 10.4. 파생 합성법, 혼종어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3편 통사론 제 11 장 문장의 성분 11.1. 문장의 성분과 재료 11.2. 주성분 11.2.1. 주어 11.2.2. 서술어 11.2.3. 목적어 11.2.4. 보어 11.3. 부속 성분 11.3.1. 관형어 11.3.2. 부사어 11.4. 독립 성분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12 장 일과 관련된 문법 범주 12.1. 부정법 ㆍ 연습 문제 12.2. 사동법 12.3. 피동법 12.4. 피동법과 능격 표현 ㆍ 연습 문제 제 13 장 앎과 시간에 관련된 문법 범주 13.1. 기본 서법과 시제 13.2. 부차 서법과 앎 ㆍ 느낌 13.3. 동작상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14 장 사람과 관련된 문법 범주 14.1. 결어법 14.1.1. 문체법 14.1.2. 존비법 14.2. 공대법 14.2.1. 존경법 14.2.2. 겸손법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15 장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15.1. 화자 표시법 15.2. 대상 표시법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제 16 장 문장과 이야기의 짜임새 16.1. 겹문장과 이야기 16.2. 안은 문장 16.3. 이어진 문장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16.4. 이야기 ㆍ 심화 학습 자료 ㆍ 연습 문제 붙 임 1. 문법 자료 2. 본문 예문 해석 참고논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