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5729 | |
005 | 20200911131111 | |
007 | ta | |
008 | 200909s2020 ulkad 001c kor | |
020 | ▼a 9791155901380 ▼g 935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0.72 ▼2 23 |
085 | ▼a 610.72 ▼2 DDCK | |
090 | ▼a 610.72 ▼b 2020z1 | |
100 | 1 | ▼a 原正彦, ▼d 1981- |
245 | 1 0 | ▼a 임상연구 기획부터 영어논문 발표까지 속전속결 비법 / ▼d Hara Masahiko 著 ; ▼e 김지형 譯 |
246 | 1 9 | ▼a 臨床究立ち上げから英語論文表まで最速最短で行うための極意 : ▼b すべての臨床医に捧ぐ超現場重視型の臨床研究指南書 |
246 | 3 | ▼a Rinsho kenkyu tachiage kara eigo ronbun happyo made saisoku saitan de okonau tame no gokui : ▼b subete no rinshōi ni sasagu chō genba jūshigata no rinshō kenkyū shinansho |
260 | ▼a 서울 : ▼b 대한의학, ▼c 2020 | |
300 | ▼a x, 197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지형, ▼e 역 |
900 | 1 0 | ▼a Hara, Masahiko,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0.72 2020z1 | 등록번호 5210052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너무 높아서 오르지 못할 산처럼 보이는 임상 연구와 영어 논문 발표를 산책코스와 같이 쉽게 접근하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마치 강의록을 듣는 것과도 같은 구성으로 전체를 한꺼번에 쭉 읽을 수 있고, 주제에 따라서 필요할 때 골라 읽을 수도 있다.
다른 사람도 나와 똑같은 생각을 하는구나
저자인 HARA Masahiko는 같은 의사이지만, 분야가 달라 한번도 만난 적 없고, 이 책이 아니라면 이름조차 몰랐을 사람이지만, 책을 읽어 보면서 드는 생각이었습니다. 또 한편 한국과 일본의 수많은 의사들이 접한 상황이 어찌 이렇게 비슷할까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너무 높아서 오르지 못할 산처럼 보이는 임상 연구와 영어 논문 발표를 산책코스와 같이 쉽게 접근하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 본인이 그 길을 걸어 올라갔을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을 인도한 가이더이기도 합니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마치 강의록을 듣는 것과도 같은 구성으로 전체를 한꺼번에 쭉 읽기도 좋고, 주제에 따라서 필요할 때 골라 읽기도 좋습니다. 그래서,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이 전체를 한번에 둘러 보고 개략적인 지식과 동기를 얻기에 좋은 약도와다 같고, 곧잘 연구 논문을 써본 사람도 막힐 때마다 그 부분을 찾아 보면서 다시 점검해 보기도 좋은 지도와도 같습니다.
여러분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2020년 1월
김 지 형
정보제공 :

목차
제 1 강 속전속결 비법 ① 임상 연구를 하는 이유, 영어 논문으로 발표하는 이유 1 1.1 자기 소개 2 1.2 수파리의 파를 목표로 3 1.3 임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학술 계층 구조와 모난 돌을 쳐내는 관습 5 1.4 임상의의 경력 쌓기 이론적 지식을 넘어 근거를 이해하기 위해 7 제 2 강 속전속결 비법 ② 임상 연구에 필요한 마음가짐 9 2.1 많은 사람은 생각이 멈춘 상태에 있다. 서커스의 코끼리가 도망치지 않는 이유 10 2.2 실행력의 필요성 감점 정신에서 가점 정신으로 12 2.3 자기 투자의 필요성 13 2.4 겸손함과 사려 깊음의 필요성 14 2.5 혼자서 해내고자 하는 각오를 가져야 한다 목표를 정하자 16 2.6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을 갖추자 17 제 3 강 속전속결 비법 ③ 멘토 찾기 19 3.1 현장 연수가 이상적이다 20 3.2 적절한 멘토란? 교육자 정신 알기 21 3.3 멘토와 잘 어울리기 위해 24 제 4 강 속전속결 비법 ④ 연구 과제 설정하기 27 4.1 연구 과제를 설정한다 28 4.2 연구 과제는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로 정한다 목록에서 어떤 것을 고를까? 30 4.3 3개의 씨를 뿌려 하나를 수확하자는 마음으로 32 제 5 강 속전속결 비법 ⑤ 연구 디자인하기 35 5.1 PICO/PECO를 생각한다 36 5.2 FINER를 안다 중요한 것은 F와 R 37 5.3 추천은 2군 비교의 후향적 관찰 연구 30예가 기준 41 5.4 Outcome 설정 시 주의 사항 44 5.5 근거 피라미드를 이해한 후 RCT 지상주의에서 벗어나기 46 5.6 윤리심사 통과하기 48 5.7 블루오션으로 세계를 겨냥하자 51 제 6 강 속전속결 비법 ⑥ 통계 지식 습득하기 55 6.1 의학 통계가 가장 큰 걸림돌로 생각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이것은 착각이다) 56 6.2 의학 통계에서 흔한 함정 ① 이론을 배우다 vs 방식을 배우다 58 6.3 의학 통계에서 흔한 함정 ② 올바른 방법 vs 상대를 설득하는 수단 59 6.4 무료 통계 프로그램이면 충분하다 R 또는 EZR 62 6.5 성향점수 매칭을 안다 64 6.6 통계 전문가와 친분을 쌓는다는 것 66 제 7 강 속전속결 비법 ⑦ 데이터를 수집하고 평가하기 69 7.1 데이터를 수집한다 70 7.2 데이터를 정리한다 75 7.3 분석과 해석 자신만이 볼 수 있는 세계가 있다 78 7.4 유의차가 나지 않았을 때가 바로 기회이다 솔직하게 데이터를 해석한다 80 7.5 활용 능력을 몸에 익힌다 표절과 조작 문제 82 제 8 강 속전속결 비법 ⑧ 저항 세력과 공저 문제 해결하기 87 8.1 저항 세력의 존재를 안다는 것 당신이 논문을 쓰면 곤란해하는 사람이 있다 88 8.2 상사의 벽 지위를 이용한 대화의 존재 의식하기 90 8.3 공저 문제 해결하기 93 8.4 간접 부서의 벽 97 제 9 강 속전속결 비법 ⑨ 학회에서 발표하는 의의 101 9.1 학회 발표의 장점 102 9.2 학회 발표를 잘하는 요령 104 9.3 학회 발표로 생길 수 있는 단점 106 9.4 학회 발표와 논문은 하늘과 땅 Publish or Perish 108 제 10 강 속전속결 비법 ⑩ 영어 능력을 손에 넣는다 111 10.1 영어 능력은 어디까지 필요할까? 112 10.2 영어에 서툰 이유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점을 의식하라 114 10.3 읽기와 쓰기 어순을 의식하라 116 10.4 듣기와 말하기 억양과 리듬을 의식하라 117 10.5 효율적인 훈련 방법 118 10.6 영어 학습은 몇 살까지 가능한가? 119 제 11 강 속전속결 비법 ⑪ 논문 작성하기 123 11.1 논문 작성 총론 스토리성을 의식하라 126 11.2 Introduction이 90% Evidence의 퍼즐 조각을 의식하라 127 11.3 Methods와 Results 130 11.4 Discussion과 Conclusion 133 11.5 언제 써야 할까? 틈새 시간파 vs 시간 고정파 138 제 12 강 속전속결 비법 ⑫ 논문 투고하기 141 12.1 투고 전에 해야 할 것 142 12.2 투고처를 정한다 143 12.3 논문을 투고한다 145 12.4 투고 이후 Reject 당해도 포기하지 않도록 150 12.5 학술 신디게이트의 존재를 의식하라 Editorial Board Member와 사이좋게 지내라 153 12.6 결과가 좀처럼 돌아오지 않는 경우 155 제 13 강 속전속결 비법 ⑬ Revise를 하자 159 13.1 Revise가 최종 보스 투고는 사실 아직 반환 지점 160 13.2 Revise 총론 상대에게 인정받는 기술 162 13.3 Revise 각론 답변의 난이도별 공략법 164 13.4 논문 재투고하기 168 13.5 Accept 그 후 이런 기쁜 일이 있나요! 171 제 14 강 속전속결 비법 ⑭ 청출어람과 앞으로의 미래 175 14.1 초현장형 임상 연구에 힘써야 한다 176 14.2 심사를 하는 입장이 되자 잘못된 비판적 음미를 하지 않는다 177 14.3 기업의 기부금은 나쁜가? 현실론 vs 이상론 사이에서 180 14.4 일본 최초로 의사를 주제로 한 약제 RCT Hungovercome 시험 183 14.5 산학 연계의 의미 아이디어는 현장에 닿아 있다 184 저자 후기 190 색인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