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문화콘텐츠 기획 핸드북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태지호
Title Statement
문화콘텐츠 기획 핸드북 / 태지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북코리아,   2019  
Physical Medium
215 p. : 도표 ; 23 cm
ISBN
978896324669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12)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5504
005 20200911152833
007 ta
008 200909s2019 ulkd b 001c kor
020 ▼a 9788963246697
035 ▼a (KERIS)BIB000015417985
040 ▼a 247017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103 ▼2 23
085 ▼a 700.103 ▼2 DDCK
090 ▼a 700.103 ▼b 2019z2
100 1 ▼a 태지호
245 1 0 ▼a 문화콘텐츠 기획 핸드북 / ▼d 태지호 지음
246 1 1 ▼a Cultural content planning
260 ▼a 서울 : ▼b 북코리아, ▼c 2019
300 ▼a 215 p. : ▼b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12)과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03 2019z2 Accession No. 15135130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화콘텐츠 기획을 다룬다. 문화콘텐츠 기획이란 문화적 소재를 구체적으로 가공하고 이를 매체에 체화시킨 무형의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특정한 대표 사례를 분석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문화콘텐츠 기획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위해 집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하면 각 영역들에 대한 개론적이면서도 이론적 논의를 문화콘텐츠 기획이라는 범주 속에서 다루고자 했다.

문화콘텐츠 기획을 위한 포괄적 이해를 돕는 참고서!
이 책은 문화콘텐츠 기획을 다룬다. 문화콘텐츠 기획이란 문화적 소재를 구체적으로 가공하고 이를 매체에 체화시킨 무형의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문화콘텐츠 기획의 중요성은 문화콘텐츠라는 개념이 태동한 직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강조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콘텐츠 기획은 일반화하기가 쉽지 않다. 이는 문화콘텐츠의 범위가 매우 넓고 그 영역도 다양하기 때문일 것이다. 덧붙여 문화콘텐츠 자체 및 문화콘텐츠를 둘러싸고 있는 미디어 환경을 포함한 일상 문화의 다변화, 그리고 대중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의 표출 등과 같은 모습들은 문화콘텐츠 기획의 방향성 제시를 더욱 어렵게 한다.
문화콘텐츠는 그 자체가 매우 광범위한 개념이기 때문에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콘텐츠 기획 또한 쉽게 정리되기 어려운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동시에 문화콘텐츠 기획이 정립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이 책의 여러 내용은 기존의 다양한 선행 연구들과 이론 및 방법론들을 수용하며 응용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지만, 이 책은 특정한 대표 사례를 분석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이 책은 문화콘텐츠 기획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위해 집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하면 각 영역들에 대한 개론적이면서도 이론적 논의를 문화콘텐츠 기획이라는 범주 속에서 다루고자 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태지호(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문학사(사학),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문학석사(문화콘텐츠학), 서강대학교에서 영상매체학박사(영상매체학)를 취득했고, 콘텐츠 업체인 BEATCAST를 운영했으며, 호서대학교 문화기획학과 겸임교수 등을 거쳐, 현재 안동대학교 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화콘텐츠, 기억문화연구, 문화연구, 영상커뮤니케이션이다. 저서로는 『기억문화연구』(단독), 『공간형 콘텐츠』(단독)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의 토대에 대한 모색: ‘문화’와 ‘콘텐츠’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문화적 재전유의 공간 모색을 위한 <국립한글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문화콘텐츠에 재현된 집단 기억의 문화기호학적 의미 연구」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Ⅰ. 문화콘텐츠 기획 입문 = 11
 1. 문화콘텐츠 기획의 기초 개념들 = 13
 2. 문화콘텐츠와 문화 산업 영역 = 30
 3. 문화콘텐츠 기획의 환경 = 46
Ⅱ. 문화콘텐츠 기획 = 59
 1. 기획이란 무엇인가 = 61
 2. 기획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 70
 3. 기획 들어가기 : 계획ㆍ입안 영역 = 73
 4. 기획의 진행 : 관리ㆍ마케팅 영역 = 91
 5. 기획의 완성 : 실천 영역 = 98
Ⅲ. 문화콘텐츠 경영과 문화 정책 = 117
 1. 문화콘텐츠 경영이란 무엇인가 = 119
 2. 문화콘텐츠 경영의 맥락 = 129
 3. 문화콘텐츠 경영의 실제 과정 = 136
 4. 전략적 문화콘텐츠 경영 = 145
Ⅳ. 문화콘텐츠 마케팅 = 165
 1. 문화콘텐츠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 167
 2.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4P 전략 = 177
 3.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STP 전략 = 189
 4. 브랜드 구축 = 201
찾아보기 = 21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